[현대문학사] 1970년대 민족문학

 1  [현대문학사] 1970년대 민족문학-1
 2  [현대문학사] 1970년대 민족문학-2
 3  [현대문학사] 1970년대 민족문학-3
 4  [현대문학사] 1970년대 민족문학-4
 5  [현대문학사] 1970년대 민족문학-5
 6  [현대문학사] 1970년대 민족문학-6
 7  [현대문학사] 1970년대 민족문학-7
 8  [현대문학사] 1970년대 민족문학-8
 9  [현대문학사] 1970년대 민족문학-9
 10  [현대문학사] 1970년대 민족문학-10
 11  [현대문학사] 1970년대 민족문학-11
 12  [현대문학사] 1970년대 민족문학-12
 13  [현대문학사] 1970년대 민족문학-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1970년대 민족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민족문학의 개념
Ⅲ. 민족문학의 논쟁과 흐름
Ⅳ. 1970년대 민족문학 작품 살펴보기
1. 현기영의 『순이삼촌』
2. 황석영의『객지』, 조세희의『난쏘공』
3. 이문구의 『관촌수필』
Ⅴ. 맺음말

본문내용
1970년대는 경제 개발 논리에 의한 체제 유지 이데올로기의 정립 아래 권위주의적 경제개발 독재체제를 확립하면서 한편으로 이에 저항하는 민중들을 ‘반체제’ 집단으로 몰고 간 사회이다. 군부의 권위주의에 의존했던 당시 지배층은 한편으로 반공이라는 기치를 체제이데올로기로 전화시켜 생존권이나 인권차원의 저항조차 좌익으로 몰고 갔다. 따라서 폭압적인 유신 시대에 대응하던 1970년대의 문학은 체제 저항적일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1970년대 문학은 산업화로 인한 농촌의 궁핍화와 해체, 노동현실의 열악함과 그에 대한 저항, 도시빈민의 모습, 분단에 대한 새로운 인식, 그리고 이러한 여러 사회적 모순에 대한 민중들의 새로운 부상 등으로 나타나 1970년대 문학사에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발표 조는 이러한 1970년대의 시대적 상황 아래에서 민족 문학의 흐름과 그 성격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당시의 문학이 민족문학으로 불릴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지, 민족문학론에 대하여 당시의 구체적인 소설 작품을 통해 1970년대 민족문학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참고문헌
1. 하정일, 『분단 자본주의 시대의 민족문학사론』, 소명출판, 2002
2. 강진호, 「분단현실의 자기화와 주체적 극복의지」, 『1970년대 문학연구』, 소명출판, 2000.
3. 「순이삼촌」, 한국문학대계, 동아출판사, 1995
4. 하정일, 「민중의 발견과 민족문학의 새로운 도약」, 『민족문학사 강좌 下』, 민족문학사연구소, 창작과 비평사, 1995
5. 이건청, 「소외된 민중과 서정적 진실-신경림의 시세계」,『해방 후 한국시인 연구』, 새미, 2004
6. 김윤식, 김우종 외 34인, 『한국현대 문학사』, 현대문학, 2003
7. 김희수, 『한국 민족문학과 민족시인론』, 푸른사상, 2002
8. 김영민, 「1970~1980년대 민족․민중문학론」, 『한국 현대문학비평사』, 소명출판, 2000
9. 신승엽, 『민족문학을 넘어서』, 소명출판, 2000
10. 하정일, 『20세기 한국문학과 근대성의 변증법』, 소명출판, 2000
11. 고명철, 『1970년대의 유신체제를 넘는 민족문학론』, 보고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