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산문교육론] 전우치전의 고전소설교육적 의의

 1  [한국고전산문교육론] 전우치전의 고전소설교육적 의의-1
 2  [한국고전산문교육론] 전우치전의 고전소설교육적 의의-2
 3  [한국고전산문교육론] 전우치전의 고전소설교육적 의의-3
 4  [한국고전산문교육론] 전우치전의 고전소설교육적 의의-4
 5  [한국고전산문교육론] 전우치전의 고전소설교육적 의의-5
 6  [한국고전산문교육론] 전우치전의 고전소설교육적 의의-6
 7  [한국고전산문교육론] 전우치전의 고전소설교육적 의의-7
 8  [한국고전산문교육론] 전우치전의 고전소설교육적 의의-8
 9  [한국고전산문교육론] 전우치전의 고전소설교육적 의의-9
 10  [한국고전산문교육론] 전우치전의 고전소설교육적 의의-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고전산문교육론] 전우치전의 고전소설교육적 의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전우치전 소개하기
1. 줄거리
2. 실제 인물의 기록과 기록 과정
3. 상이한 작품구조를 가진 이본 -작자층의 추정
4. 다양한 도술의 활용 (특히 판본에서)

Ⅱ. 전우치전, 교육적 텍스트?!
1. 전우치전 교과서 수록 현황
2. 전우치전과 홍길동전 비교
3. 고전문학 교육의 목표 및 교과서 제재 선정의 기준
4. 홍길동전의 고전소설교육적 의의 (전우치전에 비해 부각되는)
4. 전우치전의 고전소설교육적 의의 (홍길동전에 비해 부각되는)

Ⅲ. 전우치전을 활용한 학습활동 구상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① (한글) 필사본 계열 -영웅 일대기의 서사구조

조선 강원도에 관노 전중부가 살았다. 전중부는 흉년을 만나자 적선을 하여 백성을 구한다. 임금이 이것을 이유로 전중부에게 동래 첨사의 벼슬을 주고, 부인은 우치를 출산한다. 전중부는 임기가 끝나자 고향에 돌아오고, 우치는 구함산 송월암에서 수학한다. 그 곳에서 우치는 객승을 돕게 되고, 객승이 보답으로 명당자리를 알려주자 우치는 그곳으로 조부의 묘를 이장한다. 우치는 사방으로 다니면서 도술을 배운다. 우치의 사주에 제왕의 기상이 있다는 것을 알고 아버지는 멸문지화를 두려워하여 우치를 죽이려 한다. 우치는 집을 떠나고, 12제국을 유람한 후 도적의 상장군이 된다.
우치는 천축사의 재물을 탈취하고, 황제로부터 황금들보를 빼앗아 빈민을 구제한다. 황제는 우치를 체포하려 하나, 전우치는 도술로 변신하고 조선으로 도망간다. 황제는 조선에 사신을 보내 우치를 잡아 보내라고 하고, 우치는 조선왕에게 아버지 전중부를 강원감사에 제수해달라는 요청을 하고 스스로 중국에 잡혀간다. 황제에게서 탈출한 뒤, 전우치는 연국왕의 부마로 간택되어 대국 천자의 부마가 된다. 조선왕으로부터 병조판서에 제수되고, 부친과 연국으로 입국한다. 우치는 연왕의 사위로 왕위에 오른다.
참고문헌
1. 박삼서, ⌜전우치전의 교육소 발견과 그 의미⌟, 이상익 외, ⌜고전산문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집문당, 1994.

2. 방대수, ⌜전우치전 이본군의 작품구조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 논문, 1988.

3. 변우복, ⌜전우치전 연구⌟, 도서출판 보고사, 1998.

4. 양정실, ⌜문학독서 교육의 제재⌟, 구인환 외,⌜문학독서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푸른사상, 2005.

5. 유연석, ⌜전우치전의 사상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3.

6. 이문규, ⌜홍길동전의 교수방법론 시고⌟, 이상익 외, ⌜고전산문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집문당, 1994.

7. 이상익 외, ⌜고전산문교육의 이론⌟, 집문당,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