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사] 조선시대의 과학수사 - 법의학서 신주무원록

 1  [한국과학사] 조선시대의 과학수사 - 법의학서 신주무원록-1
 2  [한국과학사] 조선시대의 과학수사 - 법의학서 신주무원록-2
 3  [한국과학사] 조선시대의 과학수사 - 법의학서 신주무원록-3
 4  [한국과학사] 조선시대의 과학수사 - 법의학서 신주무원록-4
 5  [한국과학사] 조선시대의 과학수사 - 법의학서 신주무원록-5
 6  [한국과학사] 조선시대의 과학수사 - 법의학서 신주무원록-6
 7  [한국과학사] 조선시대의 과학수사 - 법의학서 신주무원록-7
 8  [한국과학사] 조선시대의 과학수사 - 법의학서 신주무원록-8
 9  [한국과학사] 조선시대의 과학수사 - 법의학서 신주무원록-9
 10  [한국과학사] 조선시대의 과학수사 - 법의학서 신주무원록-10
 11  [한국과학사] 조선시대의 과학수사 - 법의학서 신주무원록-11
 12  [한국과학사] 조선시대의 과학수사 - 법의학서 신주무원록-12
 13  [한국과학사] 조선시대의 과학수사 - 법의학서 신주무원록-13
 14  [한국과학사] 조선시대의 과학수사 - 법의학서 신주무원록-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과학사] 조선시대의 과학수사 - 법의학서 신주무원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Ⅰ. 법의학서 신주무원록(新註無寃錄) - 동기와 개요


❏ 본론
Ⅰ. 「신주무원록(新註無寃錄) 」과 조선 전기의 검시(檢屍)
1. 머리말
2. 「신주무원록(新註無寃錄) 」의 간행과 구성
3. 신주무원록의 검시방법 - 卷上
4. 현장 검시 절차와 보고 과정
5. 新註無寃錄 卷上 - 정리

Ⅱ. 신주무원록 격례(格例) - 卷下


❏ 결론
본문내용
처음 이 책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추석 연휴 모 방송국에서 방영된 연휴 특집드라마 때문이었다. 평소에도 과학수사에 관심이 많았기에 조선시대 과학수사라는 내용은 너무나 흥미로웠고, 결국 그 드라마로 우리 조가 발표하게 된 라는 책을 접하게 되었다.
은 조선 시대에 간행된 법의학서적이다. 원래 은 중국 원나라 학자인 왕여가 1308년에 편찬한 것으로 각종 과학적인 수사방법이 적혀 있었다. 이는 명대인 1384년에 한 번 더 중간되었고 이를 여말 선초의 어느 시기엔가 조선 정부가 수입하여 활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원의 관청 공문서의 말투와 서식이 그대로 드러나 있던 을 선초 관리들이 이해하고 현실에 활용하기란 쉽지 않았다. 결국 세종은 최치운 등의 학자들에게 에 주석을 달도록 명하였고, 이에 1438년 신주를 붙인 조선판 이 만들어진 것이다.
그로부터 수백 년이 지나 조선 후기에 이르자, 그 동안 축적된 조선의 법의학 지식과 현실의 변화를 반영하여 선초의 을 증보하려는 계획이 수립되었다. 바로 영조대에 구택규가 증보․간행한 이 첫 번째 결과였다. 그리고 이 작업은 아버지를 이어받은 아들 구윤명에 의해 더욱 완비되고 수정되었으니 이 그 완결판이었다. 1796년 은 이를 한글로 풀이한 와 함께 출간되었고, 이후 20세기 초반 새로운 법의학 지식과 형법체계가 도입되기 전까지 조선 법의학의 표준이 되었다. 우리 조가 발표 자료로 삼은 이 책은 위에서 밝힌 조선시대 무원록들을 정리하여 번역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