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사상] 회재 이언적

 1  [실학사상] 회재 이언적-1
 2  [실학사상] 회재 이언적-2
 3  [실학사상] 회재 이언적-3
 4  [실학사상] 회재 이언적-4
 5  [실학사상] 회재 이언적-5
 6  [실학사상] 회재 이언적-6
 7  [실학사상] 회재 이언적-7
 8  [실학사상] 회재 이언적-8
 9  [실학사상] 회재 이언적-9
 10  [실학사상] 회재 이언적-10
 11  [실학사상] 회재 이언적-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실학사상] 회재 이언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인물

2. 저술

3. 사상
1) 태극관(太極觀)
2) 심성관(心性觀)
①심(心)과 성(性)과 정(情)
②심(心)과 성(性)과 정(情)
3) 수양론(修養論)
①성(誠)과 천도(天道)
②궁리(窮理)와 거경(居敬)
4) 경세관(經世觀)
①경세의 처방
②제왕학(帝王學)

4. 결론
본문내용
3. 사상
이언적이 서신을 통해 조한보와 벌인 논쟁은 태극논쟁, 또는 무극태극논쟁이라고 불리운다. 이는 송나라 때 성리학의 기초를 닦는 염계 주돈이(廉係 周敦頤)의 「태극도설(太極圖說)」에 대한 이해의 차이에서 시작된 것이다. 이들의 논쟁은 중국의 주희와 육상신이 벌였던 논쟁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써 이언적은 기본적으로 주희의 입장에서 논쟁을 하나, 단순히 주희의 견해를 답습하는 데에 머무르지 않고, 인간의 수양과 실천의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한국적인 성리학의 기초를 다졌다. 이 논쟁은 총 4번의 서신 교환을 통해 이루어진다.

1) 태극관(太極觀)
이언적에 있어서 태극이란 만물의 근원이자 모든 변화의 원인이며, 따라서 그것을 영원불변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태극이란 노자의 ‘무(無)에서 나와 유(有)에로 들어간다’는 주장이나 불가의 ‘공(空)’과는 다른 것이라고 강조한다. 그는 태극을 이기설과 연관시켜 해석하면서 태극을 이(理), 음양을 기(氣)로 보고 이선기후(理先氣後)의 정주설(程朱說)의 입장에 충실하면서도 이기불상리(理氣不相離), 이기불상잡(理氣不相雜)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는 이의 영원불멸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천지에 앞서 있으면서도 그 시초를 볼 수 없고, 천지의 뒤에 있으면서도 그 끝을 볼 수 없으니 이 이(理)가 실현(實現)하여 허공(虛空)이 아님을 정확히 알 수 있지 않겠는가?
참고문헌
1. 한국철학사상연구회,「이야기 한국철학(전통사상의 뿌리와 줄기1)」, 풀빛, 1996.
2. 한국철학사상연구회,「논쟁으로 보는 한국철학」, 예문서원, 1996.
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사상연구소,「자료와 해설 한국의 철학사상」, 예문서원, 2002.
4. 정대환,「조선조 성리학 연구」, 강원대학교 출판부,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