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고찰

 1  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고찰-1
 2  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고찰-2
 3  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고찰-3
 4  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고찰-4
 5  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고찰-5
 6  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고찰-6
 7  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고찰-7
 8  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고찰-8
 9  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고찰-9
 10  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고찰-10
 11  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고찰-11
 12  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고찰-12
 13  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고찰-13
 14  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고찰-14
 15  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고찰-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모더니즘과의 비교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고찰
Ⅰ.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포스트모더니즘(post modernism)이라는 용어는 영국의 역사학자인 아널드 토인비(Arnold J. Toynbee)가 『역사연구』에서 19세기 말 이후 서구 근대 문명의 위기를 지칭하면서 최초로 사용한 개념이다. 포스트 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이 내포하고 있는 데카르트의 사념에 기초한 이성중심의 철학 사조에 대해 근본적인 회의를 내포하고 있는 사상적 경향을 총칭한다. 이전 철학 사상의 흐름과 유사한 양상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에 대한 반동에서 출발하였다고 할 수 있다. 장영주, “포스트모더니즘 연구”, 디자인과학연구 4호, 2002, 47-50면.
시대적으로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포스트모더니즘은 문학을 비롯해서 대중음악 뿐만 아니라 미술과 패션 등 그 시대의 다양한 예술 분야로 확산되어 발현되는 양상을 보였다. 포스트모던 예술은 모더니즘의 폐쇄적 엘리트주의에 반대하는 영미권의 대중예술가들에 의해 주도적으로 이루어졌다. 모더니즘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엘리트 중심의 문화적 성향을 비판하고, 고급문화의 위계를 부인하고 해체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오늘날 대중문화(subculture)의 확산을 가능케 한 사상적 토대를 제공했다고 볼 수도 있다. 철학과 미술을 비롯한 문학영역에서 의미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은 깊이 있게 살펴보면 기본적 바탕만이 유사하거나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 완전히 다른 내용을 함유하고 있다. 노정호, “포스트 모더니즘의 이해와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동화와 번역 9권, 1990, 310-314면.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이 되는 후기 구조주의 철학은 다양한 의견을 존중하고 담론을 추구하는 것에 중점을 두게 된다. 정형화되고 획일화된 기존의 사고를 비판하고, 그동안 이성에 밀려 무시되어 왔던 감성, 주류에 대응하는 비주류, 백인 남성에 대응하는 여성, 아이, 유색인 등의 요소를 재조명하자는 것이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이다. 장영주, 전게논문, 49-52면.
Ⅱ.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분야별 검토
1. ‘사실’이 아닌 ‘주장’으로서의 역사
역사학계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은 승자의 기록, 즉, 위로부터 기록된 역사가 아니라 아래로부터 기록된 역사를 중점으로 역사를 서술하자는 흐름으로 역사학자인 토인비가『역사연구』에서 19세기 말 이후 서구 근대 문명의 위기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최초로 사용한 개념이라는 점에서 역사분야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은 선구적 의의를 지닌다.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역사는 객관적인 불변의 ‘사실’이 아닌 역사학자의 주장으로, 역사가 어떻게 형성되어왔느냐가 중심이 된다. 장영주, 전게논문, 43-49면.
서양에서 중세시대 이후 근대 국가가 형성되는 시기에는 집단의 정체성을 강조한 민족주의가 주류를 이뤘고 냉전시대에는 이데올로기에 사로잡혀 역사의 기술이 이루어졌다. 모더니즘 역사의 영향으로 엘리트 중심의 역사 서술이 이루어졌다. 데탕트 시대에 이르러 역사 서술의 중심이 여성, 소수 집단, 노동자 등으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집단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한 역사를 비판하며 ‘역사적 진실’이라는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였다. 역사학이 주관적일 수밖에 없는 학문일지라도 과학적 방법론을 가지고 사실에 접근한다는 점에서 문학과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차하순,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의 자율성”, 대한민국학술원논문집 제54권 제1호, 2015, 55-59면.
2. 이성주의에 대한 비판적 담론으로서의 철학
리오타르(Jean-Francois Lyotard)는 이성주의와 합리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메타 서사(metarecit)에 대한 기본적인 불신을 포스트모던으로 정당화하는 사상으로 규정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은 거대 서사가 지향하는 완전한 이상향에 대해서도 거부하며, 개별자들 간의 불일치와 차이를 인정할 것을 요구한다. 리오타르가 정의내리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기본적인 관점은 차이(difference)에 대한 감수성과 위계에 대한 부정이라는 면에서 대체로 일치하며, 사회사상뿐만 아니라 과학적 담론과 문화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격렬한 논쟁을 일으킬 수밖에 없었다.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유정완 譯),『포스트모던의 조건』, 민음사, 2018, 17-20면.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기윤, “냉전과 토머스 쿤의『과학혁명의 구조』”, 역사학연구, 2018.
노정호, “포스트 모더니즘의 이해와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동화와 번역 9권, 1990.
서충원, “칼 포퍼의 비판적 합리주의”, 국토연구 228호, 2000.
신인영, “앤디 워홀(Andy Warhol)을 중심으로 한 팝아트 기법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장영주, “포스트모더니즘 연구”, 디자인과학연구 4호, 2002.
전선자, “백남준과 플럭서스(FLUXUS) : 실증자료를 통한 플럭서스 공연의 중심인물 백남준”, 인문과학 제48호, 2011.
차하순,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의 자율성”, 대한민국학술원논문집 제54권 제1호, 2015.
박용숙,『하이퍼리얼리즘』, 열화당, 1989.
마단 사럽(전영백 譯),『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조형교육, 2005.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유정완 譯),『포스트모던의 조건』, 민음사,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