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사] 이우환 이론 소고

 1  [한국미술사] 이우환 이론 소고-1
 2  [한국미술사] 이우환 이론 소고-2
 3  [한국미술사] 이우환 이론 소고-3
 4  [한국미술사] 이우환 이론 소고-4
 5  [한국미술사] 이우환 이론 소고-5
 6  [한국미술사] 이우환 이론 소고-6
 7  [한국미술사] 이우환 이론 소고-7
 8  [한국미술사] 이우환 이론 소고-8
 9  [한국미술사] 이우환 이론 소고-9
 10  [한국미술사] 이우환 이론 소고-10
 11  [한국미술사] 이우환 이론 소고-11
 12  [한국미술사] 이우환 이론 소고-12
 13  [한국미술사] 이우환 이론 소고-13
 14  [한국미술사] 이우환 이론 소고-14
 15  [한국미술사] 이우환 이론 소고-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미술사] 이우환 이론 소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들어가는 글
-글의 목적과 방향에 대한 소개
2.본론
-이론의 배경
-이론의 주요 개념
①주체와 객체에 대한 인식
②관계
③만남, 장소, 무(無)의 공간
④시간성, 공간성
⑤이우환에게 있어서의 작품, 작가, 예술의 의미
⑥모노하
⑦미니멀리즘과의 비교
⑧신체적 관계성
⑨이우한의 한계
3. 결론
본문내용
이우환은 직접 작품을 제작하면서 자신의 작품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틀을 제시하는 몇 안 되는 작가들 중의 하나이다. 이는 그가 다양한 학문적, 철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자신의 이론을 정립시키려는 노력과 그러한 지적 배경을 작품과 연결시켜 표현하려는 의지가 강하기 때문일 것이다. 1968년경에 일어난 모노파운동을 시작으로 일본에서의 활발한 활동과 더불어 국내의 작가들에게 끼친 영향도 적지 않기 때문에 그의 이론을 설명하는 인터뷰와 다양한 논문들이 많이 발표되어 있다. 본인은 이러한 다양한 자료들을 토대로 이우환의 이론을 객관적으로 접근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 비슷한 시기의 서양의 다른 이론들과 비교 분석하여 그의 이론이 의미하는 바를 조금 더 분명하고 구체적으로 이끌어내고자 한다.
이우환의 이론을 서양의 이론들과 비교하는 데 있어서 본인은 무엇이 옳다 그르다의 입장이 아니라 양자가 서로 어떻게 다른지 구체적으로 지적하여 그 의미를 더욱 분명히 하고자하는 입장임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그리고 실기를 전공하는 학생의 입장에서 그의 이론이 작품과 어떠한 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그 모습이 과연 바람직한지 검토해보려 한다. 이와 더불어 한국의 작가들이 이우환으로부터 받은 영향관계에 대해서 알아봄으로써 미술가의 한 이론이 전달되고 작가를 포함한 독자들에게 이해되는 과정에서 오해가 생긴 또는 생길 수 있는 부분들을 조명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서성록, 모노톤 회화와 일본 모노畵와의 관계, 월간미술, 1990. 8월호
김미경, 이우환의 입장과 회화들, 현대미술사연구 제5집, 현대미술사연구회, 1995.
피에르 레스타니, 이우환․사물들의 학교, 현대미술, 1992년 봄호.
이건용, 이우환이 한국현대미술에 미친 영향, 현대미술, 1992년 봄호.
유준상, 코레스퐁당연작과 정신의 자유, 월간미술, 1997, 8월호.
이우환, 회화에 있어서 추상성의 문제, 월간미술, 1996. 7월호.
이우환, 한국 현대미술의 문제점, 계간미술, 1977, 여름호.
이우환, 오브제사상의 정체와 그 방향, 홍익미술 창간호, 1972.
이우환, 이우환 화집에서, 공간. 1990, 9월호.
이우환, 모노派에 관해서, 공간 1990. 9월호.
김영순, 대담․세계와 세계의 사이에서 개시(開示)하는 신세계, 현대미술, 1990, 여름호.
이우환, 투명한 시각을 찾아서, 공간, 1978, 5월호.
이우환 무한에 대하여, 월간미술, 1994, 9월호.
이우환, 한국 현대미술의 동향, 미술세계, 1990, 9월호.
김미경, 1960-70년대 한국의 실험미술과 사회(경계를 넘는 예술가들), 이화여자대학교 박사논문, 2000.
김미경, 모노하․이우환․모노크롬, 월간미술, 2002, 12월호.
강태희, 이우환과 70년대 단색 회화, 현대미술사 연구 제 14집, 현대미술사학회, 2002.
강태희, 현대미술의 또다른 지평, 시공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