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통일과 북한선교시론

 1  평화통일과 북한선교시론-1
 2  평화통일과 북한선교시론-2
 3  평화통일과 북한선교시론-3
 4  평화통일과 북한선교시론-4
 5  평화통일과 북한선교시론-5
 6  평화통일과 북한선교시론-6
 7  평화통일과 북한선교시론-7
 8  평화통일과 북한선교시론-8
 9  평화통일과 북한선교시론-9
 10  평화통일과 북한선교시론-10
 11  평화통일과 북한선교시론-11
 12  평화통일과 북한선교시론-12
 13  평화통일과 북한선교시론-13
 14  평화통일과 북한선교시론-14
 15  평화통일과 북한선교시론-15
 16  평화통일과 북한선교시론-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평화통일과 북한선교시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평화통일과 북한선교 그 관계설정

III. 개념 "평화"

IV. 선교신학의 모델들: 선교란 무엇인가?의 추구
1) 회심모델과 이식모델
2) 구속사적 모델과 약속사적 모델

V. 한국 선교신학의 세 방향과 그 합류
1) 문화토착화신학
2) 민중신학
3) 교회성장의 신학

VI. 맺는말 - 북한선교의 가능성
본문내용
기독교는 선교하는 종교이다. 그리고 선교는 기독교의 본질에 속한다. 불꽃이 불에 속하는 것처럼(E. Brunner), 동시에 선교는 교회의 본질이면서 과제이고, 상황을 고려하는 관계적 연대체계이다. 여기서 관계적 연대체계라는 말은 복음과 문화는 상호 연결된 관계를 맺으며, 이 복음이 놓여져 있는 삶의 자리를 - 때로 지리적, 시대적 제약을 받으며 - 토대로 해서 선교의 고유과제가 설정된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선교는 당연히 민족의 문제에 관심갖는다.

그러면 현재 선교가 관계하는 민족의 문제는 무엇인가? 그것은 본질적으로 분단문제이며, 그래서 통일의 과제에 관한 논의이다. 한반도가 역사적으로 언제나 외세의 침략을 받았지만 특별히 1945년이후 지리적, 이념적, 민족적 분단은 현재까지도 그랬지만 다가오는 21세기를 더더욱 암울하게 만들 수 있다. 그래서 통일의 문제는 선교가 민족의 문제에 관계할 때, 최우선의 과제가 될 수 있다.

현재 전세계는 사회주의권 몰락과 구소련 연방의 해체이후 보수화의 물결, 그리고 지구화(Globalization), 지역화(Localization)로 - 이것을 합쳐서 지구, 지역화(Glocalized)라 칭하기도 한다 - 인한 분쟁(발칸반도 전쟁의 예에서 보듯이), 자국의 이익 우선주의에로 급변하고 있다. 북한은 이러한 국제 정치권의 지각변동 속에서 핵무기 존재 여부를 둘러싼 세계의 압력(결국 KEDO의 설치로 마무리), 김일성의 사망, 식량난에 이르기까지 어려움을 폐쇄적으로 경험하고 있어 내부정세를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것을 보면서 처음 북한이 곧 붕괴될 것이란 시각이 우세하였으나, 현재는 김정일의 노동당 총비서직 승계(1997. 10. 8)를 통해 북한 정권이 점차 체제안정을 가질 것이고, 결국에는 구소련이나 중국과도 같이 개방과 개혁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하고 싶은 말
"평화통일과 북한선교시론"에 대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