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 숙향전

 1  [고전소설] 숙향전-1
 2  [고전소설] 숙향전-2
 3  [고전소설] 숙향전-3
 4  [고전소설] 숙향전-4
 5  [고전소설] 숙향전-5
 6  [고전소설] 숙향전-6
 7  [고전소설] 숙향전-7
 8  [고전소설] 숙향전-8
 9  [고전소설] 숙향전-9
 10  [고전소설] 숙향전-10
 11  [고전소설] 숙향전-11
 12  [고전소설] 숙향전-12
 13  [고전소설] 숙향전-13
 14  [고전소설] 숙향전-14
 15  [고전소설] 숙향전-15
 16  [고전소설] 숙향전-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소설] 숙향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숙향전의 근원설화와 작품구조

1. 숙향전의 근원설화

2. 숙향전의 작품구조와 의미
(1) 영웅의 일대기
(2) 적강 - 보은 - 탐색의 삼중구조
(3) 통과의례적 구조

숙향전과 숙영낭자전 비교

1. 애정소설의 천정연분 : 숙향전과 숙영낭자전

2. 도교적 사상

3. 여성의 고난과 그 극복의 의지

4. 문학적 가치

숙향전에 나타난 초월계/천상계

숙향전의 세계관
1) 삶의 순리 ․원리로서의 숙명론적 세계관
2) 유기체적 초월주의 세계관

숙향전과 신화와의 비교

1.숙향전과 바리공주 무가의 동이성

2. 동일 서사의 장르적 차별화 양상과 의미

참고 문헌
본문내용
예부터 우리나라에서 내려오는 이물의 보은 사상은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옛날 사람들은 인간의 배은망덕을 예로 들며 인간이 은혜를 아는 것은 동물보다 못하다고 하였다. 이물보은사상이란 어떤 사람이 이물의 목숨을 건져주었을 때, 그 구함을 입은 이물이 은혜를 갚는다는 이야기이다. 그렇다면 이 설화는 어떻게 하여 생겨난 것일까? 그것은 배은망덕하는 인간에 비하여 은혜를 잊지 않고 갚는 이물이 있음을 드러내어 인간을 교화하는 의도에서 생겨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생명을 존귀하게 여기는 사상과 더 넓게는 샤머니즘적 사상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볼 수 있다. 여기서는 숙향전에 나타난 거북의 보은 사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보은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작품 맨 앞부분의 ‘거북의 보은담’이라고 요약할 수 있는 사건은 숙향의 일대기의 시간 영역과는 별도인 김전의 경험담이다. 그러나 이 사건은 전체 줄거리와 무관하게 덧붙여진 것이 아니다. 거북이 보은의 의미로 준 진주가 숙향의 부모 혼례에서 예물로 쓰이고, 부모와의 이별에서 모녀간의 신표로 쓰여 이후에 숙향이 부모와 상봉할 때 서로의 신분을 확인시키는 매개물이 된다.
참고문헌
이명현, 숙향전에 나타난 통과의례의 구조와 의미
서연희(1986), 숙향전의 서사구조와 의미,서강어문 5, 서강어문학회.
숙향전 연구/ 심치열 1997, 한국언어문학회
조용호(1992), 숙향전의 구조와 의미, 고전문학연구 7, 한국고전문학회
숙향전의 고난양상과 결연의미/ 경일남 1997
숙향전의 구조와 의미/ 박경원 1992 어문교육논집
김태준, 淑香傳의 美的 特質
장홍재(1972), 숙향전에 나타난 거북의 보은사상, 국어국문학 55~57 합집. 국어국문학회
민경록(2000), 숙향전의 서사구조와 의미 연구, 문화전통논집 8, 경성대 한국학연구소
조용호(1992), 숙향전의 구조와 의미, 고전문학연구 7, 한국고전문학연구회
김일렬, 숙영낭자전 연구, 역락출판사, 1999
정한기(1995), 숙향전의 구조와 초월적 모티비의 작품 내적 기능에 대한 연구, 관악어문여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