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식민지시대의 검열에 대하여

 1  [현대문학사] 식민지시대의 검열에 대하여-1
 2  [현대문학사] 식민지시대의 검열에 대하여-2
 3  [현대문학사] 식민지시대의 검열에 대하여-3
 4  [현대문학사] 식민지시대의 검열에 대하여-4
 5  [현대문학사] 식민지시대의 검열에 대하여-5
 6  [현대문학사] 식민지시대의 검열에 대하여-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식민지시대의 검열에 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배경
3. 성격
4. 검열제도와 기구
5. 검열의 폐해
6. 검열제도에 대한 대응방식
7. 맺으며


본문내용
일제가 식민통치의 수단으로 1907년 7월 법령 1호로 광무(11년) 신문지법을 제정하여 검열을 법제화하므로서 근대 한국 문단과 언론은 그 형성기에 혹독한 수난을 겪게 되었다. 일제 통감부(이후 총독부)의 식민통치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한 목적에서 대두된, 검열의 필요성 때문이었다. 광무 신문지법의 제정을 전후한 당시는 을사보호조약 체결에 말미암은 일제에 대한 민중들의 분노와 항일감정이 전국적 소요로 치닫던 시기였다. 따라서 일제는 이런 사실을 조선민의 입장에서 보도하는 제국신문, 황성신문, 국민신보, 만세보 등의 언론행태에 대해 이를 의도적 고무, 찬양, 선동으로 보고 금압조처로 강구한 것이 신문지법에 준거한 검열인 셈이었다. 일제는 이런 저변적 이유로 검열을 제도화하였지만 파급된 영향은 ‘불순한 내용을 거르고 교도한다’는 강제의 취지가 종내 친일 어용신문이니 보국문학회니 하는 순치 현상에다 신물건이나 접대에 의한 검열관 매수로까지 나타났다. 그러나 검열로 인한 폐해는 무엇보다도 조선문단의 위축이나 종속화에 따른 문화의 망실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긍극적으로 조선의 얼과 문화를 말살시켜 황국화를 이룩하고자 하는 일제 정책의 부합적 소산일 수 있다. 그러나 검열의 폐해가 이런 친일, 어용의 부합적 소산만이 전부가 아닐 것이다. 이육사, 윤동주, 현진건, 한용운 등 대다수 조선 문인들이 작품이나 소신을 통해 일제의 통치나 검열에 항거하였다는 사실을 간과치 말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인식을 기조로 문학(언론,출판)과 관련된 ‘검열의 배경과 성격’ ‘검열제도와 기구’ ‘검열의 피해’ ‘검열제도에 대한 대응방식’ 등으로 일제식민지 시대의 검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문헌
한만수, 「식민지시대 출판자본을 통한 문학검열에 대하여」, 2002
김동인, 「지난 시절의 출판물 검열」, 『해동공론』, 1946년 12월호; 김치홍편, 『김동인평론선집』, 삼영사, 1984
김병익, 『한국 문단사』, 2001, 문학과 지성사
박헌호, 「‘문화정치'기 검열과 그 대응의 내적논리」, 2005
조용만, 『일제하의 문화운동사』민중서관, 1970
강진호, 『한국문단 이면사』, 깊은샘,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