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상가로서의 외솔 최현배

 1  사회 사상가로서의 외솔 최현배-1
 2  사회 사상가로서의 외솔 최현배-2
 3  사회 사상가로서의 외솔 최현배-3
 4  사회 사상가로서의 외솔 최현배-4
 5  사회 사상가로서의 외솔 최현배-5
 6  사회 사상가로서의 외솔 최현배-6
 7  사회 사상가로서의 외솔 최현배-7
 8  사회 사상가로서의 외솔 최현배-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 사상가로서의 외솔 최현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갱생의 도」, 그 민족 상황의 분석
3. 문화 투쟁의 길, 예언자스런 윤리의식
4. 인식론적 시각의 뼈대
5. 나오는 말
6. 참고문헌
* 참고자료(표) - 외솔 최현배의 일생
본문내용
외솔 최현배는 1894년 10월19일에 경남 울산군 하상면 동리에서 태어나고 1970년 3월 23일 돌아가셔서 현재 경기도 양주군 진접면 장현리에 잠들어 계신다. 그는 주시경의 뒤를 이어 우리 글 연구에 평생을 받치신 분이다. 자료가 매우 풍부하고 체계 세움이 매우 정밀한「우리말본」(1937)과 새로운 학문체계를 새운「한글갈」(1940)등 의 책을 통해 국어 학계에 큰 업적을 세우셨다. 한글이 우리 겨레의 문화유산 중의 가장 큰 보배임을 강조하면서, 그 본질을 파헤치므로서 면밀한 학문적인 체계를 세운 것이다. 그러나 그는 단순히 책상에 앉아 한글 연구에만 평생을 바치신 학자가 아니다. 한글 학회를 이끌어 오면서 한글만 쓰기를 철저히 주장하였고, 말다듬기를 몸소 실천하였고, 나아가서는 풀어쓰기를 시도하기에 까지 이르렀다. 그의 나라사랑에 대한 정성은 사회 사상가로서, 또 교육자로서의 면모도 지니고 있었다. 일제 강탈기에 민족을 향하여 자신의 생각을 체계화하여 쓴 「朝鮮民族 更生의 道」 와 해방이후 혼란한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을 펼쳐 보인 「나라사랑의 길」등의 책을 통해 그가 한글 학자라는 한 가지에만 치우쳐 볼 수 없을 것이다. 여기서는 「朝鮮民族 更生의 道」와 그의 사회 사상가로서의 모습을 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최현배, 1962《조선 민족 갱생의 도》정음사
박영신. 1994 . 85,
허웅, 1993《최현배: 우리말 우리 얼에 바친 한 평생》동아일보사
고영근, 1995 《최현배의 학문과 사상》 집문당
하고 싶은 말
성심성의껏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성적 받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아울러 자료 구매하시는 분들을 위해 예쁜 레포트표지도 첨부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