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

 1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1
 2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2
 3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3
 4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4
 5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5
 6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6
 7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7
 8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8
 9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9
 10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10
 11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11
 12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12
 13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13
 14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14
 15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15
 16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16
 17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17
 18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18
 19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19
 20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 논농사 노동요를 중심으로 한 농업요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ntro. 농경사회에서 민요의 위상
1. 노동요와 논농사요
1) 노동요의 분류
2) 농요의 보물 창고, 논농사요
2. 단계별 논농사요
1) 논가는 노래
2) 논삶는 노래
3) 모찌는 노래
4) 모내기 노래(모심기 소리)
5) 논매는 노래 (논매는 소리)
6) 벼베기 노래
7) 볏단 나르는 소리
8) 타작소리
outro. 디지털 시대 논농사 노동요를 통한 농경사회체험
참고문헌

본문내용
intro. 농경사회에서 민요의 위상

전통사회에 있어 구비문학은 사람들의 삶과 자연스러운 일체를 이루고 있었다. 따라서 노동과 놀이, 제의 등 일상적 삶의 주요한 과정이 두루 구비문학과 긴밀하게 맞물려 있었다. 특히 갖가지 노동을 수행함에 있어 민요는 빼놓을 수 없는 필수 요소였다.
특히 민요는 공동체 사회에서 협동노동이 성행할 때 기능을 발휘하였다. 민요가 생활이자 노동의 한 단면이었던 것이다. 마을 단위로 농사를 짓는 산업구조가 우세했던 농경사회에서 한국의 전통적 구비문학은 대부분 마을 공동체 내부에서 만들어지고 전승되었다. 마을 단위로 협동하여 농사를 지으면서 일의 일부로서 민요를 불렀고 이는 곧 그들의 생활과 노동의 다양한 국면, 그리고 지역특성이 반영됨을 의미한다.
유희요, 의식요도 물론 우리 선인들의 삶과 그 지혜를 담고 있을 테지만 노동의 상황에서 직접 불렸던 노동요를 선택함으로서 그들의 노동현장에 직접적으로 다가가 이해해볼 수 있기를 바란다. 특히 노동요의 많은 부분은 농업이 주요산업이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농업요가 차지하고 있다. 농업 노동요의 보물 창고라고 할 수 있으며 우리의 삶과 가장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던 논농사 노동요를 논농사의 과정과 관련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문헌
1. 최상일(2002)『우리의 소리를 찾아서1』, 돌베개
2. 강등학(2003)『한국민속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