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

 1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1
 2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2
 3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3
 4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4
 5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5
 6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6
 7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7
 8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8
 9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9
 10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10
 11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11
 12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12
 13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13
 14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14
 15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15
 16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16
 17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17
 18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18
 19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19
 20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민속예술의이해] 노동요의 이해와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들어와서
1. 민요의 개념
2. 민요의 성립
3. 민요의 발전
4. 민요의 기능
5. 노동농업요
(1)농업노동요
◆ 논농사
① 모찌는 소리 ② 모심는 소리 ③ 논매는 소리
④ 볏단 나르는 소리 ⑤ 벼떠는 소리
◆ 밭농사
① 밭가는 소리 ② 밭일구는 소리 ③밭고르는 소리
④ 밭매는 소리 ⑤ 보리타작 노래
(2)어업노동요
◆ 어로작업
①노젓는 소리 ②그물당기는 소리 ③고기푸는 소리
④만선풍장소리⑤기타어로
◆ 어촌노동
줄꼬기
(3)기타 노동요
◆ 토목/건축
①집터 가래질 소리 ②집터 다지기 소리
③목도 소리 ④말밖는 소리
◆ 벌목/채취
①통나무 베는 소리 ②나무꾼 신세타령
③열매 따는 소리 ④정선 아라리
⑤춘천 아라리 ⑥자진 아라리
◆수공
①풀무질소리 ②삼삼는 소리
③명잣는 소리(물레질 소리)
◆가사노동
①방아찧는소리 ②맷돌질소리
③아이 재우는 소리(자장가) ④아이 어르는 소리
⑤장작 패는 소리

6. 노동노업요의 기능

Ⅲ. 나가며
본문내용
1. 민요의 개념

1)민요의 기원
①개인에 의해 제작되었고, 구전에 의해서 다소간 와전된 것. 그것은 과거에 유행하여 애중의 인기를 얻은 노래이며 재기 있는 음악가가 작곡한 것이라는 주장
②민요는 개인의 산물이 아니라 민중 또는 집단의 산물이라고 고집하고, 또 그들은 민요를 보존했을 뿐만 그것을 새로운 형(型)으로 개주하고 발전시켰으며, 또 어느 의미로는 그것을 동시에 다시 창조한 연고로 구전의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이라는 주장

2)민요의 향유계급
민요의 향유계급은 통치계급이 아닌 민중이며 인민이다. 조선의 시조와 민요는 이 대립관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시조가 주로 충효등의 유교사상을 의식적으로 노래하고, 생활의 여유에서 오는 화조풍월(華鳥風月)감상을 그 내용으로 하고, 험악한 당쟁의 속세에서 도피하여 한일월(閑日月)을 즐기고자 하는 의욕을 표현하는데 반해 민요는 인민의 매이매일의 노동을, 본능적인 육친애를, 적나라한 동물적 욕망을, 양반에 대한 야유와 선망을 단적으로 직접적이고, 선명하게 노래하고 있다.
또한 민요는 국가의 노래가 아니고 민족의 노래다. 정치적 세력범위가 민요의 단위를 결정하는 게 아니라 혈통적 민족정신이 민요의 단위를 형성한다. 한민족과 왜족은 정치적으로 조선 민족을 지배하였으나, 조선민족의 노래만은 그즐의 침략정신에 물들지 않았던 것이다. 조선민족의 한 엄염한 피가 흐르고 있었기 때문이다. 민중에 의하여 불리우며, 민족의 전통적 피가 맥맥이 물결치는 노래가 민요라는 것이다.
참고문헌

주요참고문헌 : 高晶玉, 조선민요연구, 수선사, 1998
그외참고문헌 : 강등학, 한국민요의 현장과 장르론적 관심, 입문당, 1996
김태갑,조성일, 민요집성, 한국문화사, 1996
엄하진, 조선민요의 유래, 한국문화사, 1994

사이트 : 최상일,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http://www.urisori.co.kr
오영록 http://plaza.snu.ac.kr/~ohyn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