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농민과 농민문화

 1  조선의 농민과 농민문화-1
 2  조선의 농민과 농민문화-2
 3  조선의 농민과 농민문화-3
 4  조선의 농민과 농민문화-4
 5  조선의 농민과 농민문화-5
 6  조선의 농민과 농민문화-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의 농민과 농민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선시대 농민 의식의 변화

2. 농민항쟁 발생의 객관적 기초
1). 자본주의적 관계의 발생과 봉건제 위기
2). 봉건착취의 강화와 사회모순의 심화

3. 조선 후기 및 일제하의 농민운동

4. 조선후기 농민의 주체적 움직임과 두레

5. 마치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조선시대 농민 의식의 변화
민중이란 지배층의 권위에 복속되어 순종만 하지는 않고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획득하려고 투쟁하는 인민. 조선 후기 봉건제의 해체에 짝지어 일어난 농민 반란과 함께 생성된 역사적 산물로 정의할 수 있다.

14세기 말에서 18세기 중엽까지는 백성, 백성 의식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15,16세기의 백성은 지주 전호제에 바탕을 두고 농노적인 전호, 예농적인 자작농으로서, 신민으로서 분수를 지키고 양반 계층과 양반 계층의 상호 보험적 공동 연립 정권의 대표자 겸 조정자로서의 국왕에게 절대 복종해야 하는 인간 유형으로 정립된다. 이는 지배층의 훈민정책으로(훈민정음 창제를 포함한 유교 질서 교육) 더욱 공고히 된다고 할 수 있다. 훈민정책의 이데올로기적 바탕은 민본 이데올로기라고 할 수 있는데 민본(애민)이데올로기는 통치자의 ‘인정’을 기본으로 한 것으로, 이에 의하면 백성은 주체적인 존재로서가 아니라 통치 행위의 객체적인 대상으로 복종의 의무만이 일방적으로 부과된다. 통치자는 이러한 백성에 대해 무한한 배려를 베품으로써 정치 사회에 있어서의 주체와 객체의 조화를 이루는 것이 의무다. 그러나 이런 양반의식에 대립하는 구조로서의 백성의식은 없었으며 백성들은 농업 생산력의 발전, 민생의 안정 등 역사적 실체에 바탕된 민본 애민 이데올로기에 의해 인간과 사회의 모순을 뚜렷하게 의식할 수 없었기 때문에 몰주체적으로 매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인간과 사회의 모순을 반영했다고 보는 백성 문화 역시 이런 매몰된 백성 의식을 드러낸다. 예를 들어 부락굿의 경우, 백성은 공동체적 조직을 다지며 양반에게 쌓인 불평 불만을 토로했지만 양반층은 이를 해체시키려고 노력했다. 물론 농민층의 끈질긴 저항으로 존속되었다고는 하지만 이는 농민 공동체가 양반의 지배 질서를 위협하지 않는 조건으로 양반이 용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문화가 조선 양반 질서, 봉건 사회 유지에 어느 정도 기여하기 때문이다. 그렇다 할지라도 백성, 백성의식은 역사적 모체로서, 건강한 의식과 문화로, 전근대적 민족의 오늘날의 민중의식 민중 문화에의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정창열, “백성의식, 평민의식, 민중의식”.
《1862년 농민항쟁》, 망원한국사연구실 19세기농민항쟁분과, 동녘, 1988.
신용하, “조선왕조말․일제하 농민의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상태”, 한국사시민강좌, 일조각.《1894년 갑오농민전쟁연구》, 한국역사연구회 지음, 역사비평사.
《한국사 10: 중세사회의 해체 2》, 한길사.
이태진, “17,8세기 향도 조직의 분화와 두레 발생”.
한상권, “조선후기 사회문제와 소원제도의 발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