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

 1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1
 2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2
 3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3
 4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4
 5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5
 6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6
 7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7
 8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8
 9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9
 10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10
 11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11
 12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12
 13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13
 14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14
 15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15
 16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16
 17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17
 18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18
 19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19
 20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론] 경기체가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1. 硏究史 정리 1
2. 경기체가 작품개관 5



Ⅱ. 본론 6

1. 경기체가 개관 6
2. 개별작품 연구Ⅰ~Ⅳ 18
1) 한림별곡 18
2) 관동별곡 25
3) 죽계별곡 32
4) 상대별곡 34
5) 불우헌곡 ~ 구월산별곡 39
6) 화산별곡 ~ 금성별곡 52
7) 오륜가 ~ 엄연곡 65
8) 미탄찬 ~ 기우목동가 81



Ⅲ. 결론 104
※참고문헌 105
본문내용
1. 硏究史 정리

경기체가는 고려 고종 때의 「한림별곡」을 효시로 조선조 말인 1860년 민규의 「충효가」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명맥을 유지했던 국문학의 시가 장르다. 경기체가는 26수에 지나지 않아 수적으로는 비록 적으나, 그것의 문학사적 가치는 우리 시가사에서 결코 도외시할 수 없는 영역이라 할 것이다. 경기체가의 이같은 실상에 주목하여 근대적 국문학 연구의 초기부터 지금까지 그 기원과 생성, 발전, 변천, 작자, 주제, 장르 등에 관한 상당한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다.
경기체가에대한 연구는 1929년 안확을 시작으로 80년대 후반에 이르기까지 수십여 편의 논문과 그같은 연구 성과를 종합하는 두 편의 박사논문이 나왔다. 그 연구사는 연구 양상에 따라서 대체로 다섯 시기 정도로 구분할 수 있다. 임기중외, 『경기체가연구』, 태학사, 1997, p7.
1920~30년대의 개척기, 해방 후 1940~50년대의 개괄적 연구기, 1960년대의 본격적 연구기, 70년대 초까지의 새로운 자료의 발굴과 연구의 심화기, 1970년대 중반 이후 1980년대 후반까지의 장르적 논의와 연구의 질적 승화기가 그것이다.

1) 1920 - 1930년대

경기체가에 대한 근대적인 연구는 자산 안확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1929년 『별건곤』12월호에 기고한 「조선가시의 묘맥」이란 글에서 경기체가를 ‘경기체’라 하여 우리 시가의 한 장르로 파악하고 있다. 그리고 경기체를 첩성체의 일종이라 보고, 그 체의 한 작품인 「한림별곡」은 고려 자연주의파 문학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았으며, 고려에 이어 조선에 와서 변계량의 「화산별곡」, 권근의 「상대별곡」, 「오륜가」, 「연형제곡」, 정극인의 「불우헌곡」, 김구의 「화전별곡」등의 시가가 모두 여기에 속한다고 보았다. 그가 ‘경기’와 감탄사 ‘위’를 경기체가의 특색으로 보고 ‘경기체’라고 명명한 것은 후에 김태준이 ‘별곡’이라고 명명한 것과 대조를 이루며, 현재 일반적으로 부르는 ‘경기체가’라는 명칭의 근원이 되었다.
참고문헌
조윤제, 『한국문학사』, 동국문학사, 1963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77
성호주, 『경기체가의 형성연구』「경기체가 형태론」, 제일문화사, 1988
윤석현, 「조선조 경기체가 연구」,숭실대 석사 학위 논문, 199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경기체가 시조 가사의 형성」 지식산업사, 1994
박경주, 『경기체가 연구』, 이회문화사, 1996
박병채, 『고려가요의 어석연구』, 반도출판사, 1968.
한국문학개론편찬위원회, 『한국문학개론』, 혜진서관, 2001
김기정, “경기체가의 성격고찰”, 『영남어문학』, 영남어문학회
김정주, 『고려가요』, 조선대학교출판부, 2002
金倉圭, 『涵虛堂語錄, 涵虛堂攷』, 東洋文化 6·7, 1968.
金倉圭, 『別曲體歌硏究』,국어교육연구, 1971.
趙潤濟, 『韓國詩歌의 硏究』, 乙酉文化史, 1984.
박경주, 「경기체가의 연행방식과 성격변화」,석사학위논문, 서울대대학원 1990.02
조규익 『高麗俗樂歌詞․ 景幾體歌․ 鮮初樂章』, 한샘, 1994.
박기호, 『고려 조선조 시가 문학사』, 국학자료원, 199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