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1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1
 2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2
 3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3
 4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4
 5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5
 6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6
 7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제1장 머리말

제2장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제1절 정약용의 생애
1. 어린 시절
2. 제1기
3. 제2기
4. 제3기
제2절 정약용의 사상
1. 이기론- 성기호설
2. 인간관
3. 개혁론

제3장 맺음말

본문내용
제1장 머리말

민주화 시기 이전 우리에게 절실했던 자유의 요체는 사상과 정치의 자유였다. 자신의 사상이 공산주의이든 자본주의이든 혹은 사회주의이든 민주주의이든 그것을 발표하고 연구할 자유를 획득하는 것이 이 땅의 민주화를 위해 노력했던 사람들의 염원이었다. 1987년의 6.29 선언은 민주화 운동의 성과물이었고 당시에는 민주화 운동의 성공의 지표였다. 그러나 민주화란 결코 무한대의 자유의 획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님을 이후 20년 간 진행된 우리의 역사에서 여실히 볼 수 있었다. 이렇게 힘들게 얻어낸 자유마저도 아직까지 국민 대부분이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있다. 해방 이후 50여 년간 행해진 세뇌의 덕택으로 아직도 개인의 이익이나 계급에 바탕을 둔 생각을 하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언론과 정치권, 재벌들이 자신의 이익에 충실히 자유권을 행사하고 있을 뿐이다. 현대 한국 사회의 시대적 가치가 과연 무엇인가라는 가장 기본적인 질문조차 색깔론, 지역주의 속에 매몰되고 시장의 개혁조치는 반기업적 정서라고 매도해 버린다. 사람의 기본 일상이 정치라는 교과서의 내용은 연일 계속되는 정치인들의 싸움질에 국민의 일상에서 멀어져 버렸다. 논리적인 비판과 분석 없이



제3장 맺음말

이번 과제를 마무리하는 중 부산에서 열린 APEC이 끝났다. 행사가 열리기 며칠 전부터 APEC 반대에 관한 전교조의 교육 자료에 문제가 있다는 보도가 나오고 행사 기간 중 여러 시민 단체가 조직한 APEC 반대 시위가 부산에서 대규모로 열렸다는 소식 등의 기사들도 있었지만, 세계 속에 우뚝 선 대한민국의 위상을 보여준다는 자랑스러운 기사들이 주류였다. 앞에서 설명한 한국 사회의 현실 속에서 이러한 세계 속의 한국의 위상은 오히려 황당한 느낌이다. 조선, 반도체 세계 1위, 차세대 BT 분야 선두 주자, 아시아의 한류 열풍 등 역동적인 한국의 모습은 내부적인 모순에도 불구하고 미래를 한 발 한 발 나아가고 있다는 느낌이다. 이러한 역동성을 과연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이러한 지점에서도 역시 조선 후기 사회와 현대 한국 사회의 공통점이 느껴진다. 정조와 피지배계층의 의식의 성장과 개혁 의지가 현재 대통령과 우리 국민의 그것과 닮아있다. 기득권층의 굴절된 의식과 저항이 그때나 지금이나 똑같듯이. 여기에서 더욱 다산과 같이 시대 의식을 지닌 대학자들의 등장이 기다려진다. 그러나 시대가 다산을 몰라줬듯이 정보의 홍수 속에 그리고 굴절된 언론 환경 속에서 그러한 대학자의 출현을 우리가 몰라보고 있지는 않은지도 걱정스럽다. 하지만, 후대
참고문헌
參 考 文 獻

고승제, 다산을 찾아서, 중앙출판사. 1995
금장태, 정약용 한국실학의 집대성, 서울: 성균관대 출판부, 2002
김상홍 외, 다산의 정치경제사상, 서울: 창작과 비평, 1990
안갑준, 공인과 목민심서, 서울: 아세아문화사, 1990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창작과 비평사, 1994
이이화, 조선후기의 정치사상과 사회변동, 서울: 한길사, 1994
한국역사연구회, 조선정치사상사 상.하., 청년사, 1990
한형조, 주희에서 정약용으로, 세계사.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