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

 1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1
 2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2
 3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3
 4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4
 5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5
 6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6
 7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7
 8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8
 9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9
 10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10
 11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11
 12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12
 13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13
 14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14
 15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15
 16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16
 17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17
 18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18
 19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19
 20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문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각 종교에서 말하는 죽음

ⅰ) 유교에서 말하는 죽음
ⅱ) 불교에서 말하는 죽음
ⅲ) 도교에서 말하는 죽음

Ⅲ. 대표적 형신론 소개

ⅰ) 고대의 귀신론
ⅱ) 전국 시대의 정기설(精氣說)
ⅲ) 왕충의 영혼부재론(無鬼論)
ⅳ) 불교의 영혼불멸론(傳燈法)
ⅴ) 범진의 신멸론(神滅論)
ⅵ) 형신론의 발전과 귀신설에 대한 평가

Ⅳ. 죽음의 정의에 관한 여러 입장들

ⅰ) 인격체로서의 기능의 불가역적 상실
ⅱ)생물학적 통합 기능 상실
ⅲ) 모든 생물학적 기능의 불가역적 상실

Ⅴ. 맺는 말

본문내용
중국 사람은 이 현세에 일초라도 더 오래 살고 싶다는 현실적인 기대가 있으므로, 어쩔 수 없는 죽음 뒤에도 어떻게 해서든지 이 세상에 돌아올 수가 있는 것을 가장 큰 바램으로 삼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죽은 뒤에 다시 현세에 돌아올 수가 있다는 방향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삶과 죽음의 경계를 통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결코 중국 사람 고유의 것은 아니다. 동서고금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인간의 간절한 소망인 것이다. 중국 사람도 그런 민족의 하나임에 지나지 않을 뿐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죽은 뒤에 육체는 썩어서 해골로 될 뿐이다. 그래서 ‘유’는 이렇게 생각했다. 인간을 정신과 육체로 분리하여 정신의 주재자(魂을 말함)와 육체의 주재자(魄을 말함)가 있다고 하고, 이 혼․백이 일치되어 있을 때를 살아 있는 상태로 보았다. 거꾸로 말하자면, 혼과 백이 나누어졌을 때가 죽음의 상태로 되는 것이다. 결국 육체의 호흡이 정지하게 되면(뇌사가 아니고, 심장사를 뜻한다) 함께 있던 혼과 백이 분리되어, 혼은 하늘로 그리고 백은 땅 아래로 돌아간다. 이것이 죽음인 것이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가지노부유끼, 『유교란 무엇인가』, 지영사, 1996

周桂鈿, 『강좌 중국철학』, 예문서원, 1992

김교빈 외, 『동양철학은 물질문명의 대안인가』, 웅진출판, 1998

유호종, 『떠남 혹은 없어짐 - 죽음의 철학적 대화』, 책세상, 2001

김열규,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 궁리, 2001

애드가 모랭, 『인간과 죽음』, 동문선, 2000

B. 알란 윌리스, 『삶과 죽음의 다르마』, 숨, 2001

김태길, 『삶이란 무엇인가』, 자유문학사, 1996

안병욱, 『행복의 메타포』

『論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