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예술] 민화 -산수화, 수석도, 화훼도, 소과도, 화조도

 1  [민속예술] 민화 -산수화, 수석도, 화훼도, 소과도, 화조도-1
 2  [민속예술] 민화 -산수화, 수석도, 화훼도, 소과도, 화조도-2
 3  [민속예술] 민화 -산수화, 수석도, 화훼도, 소과도, 화조도-3
 4  [민속예술] 민화 -산수화, 수석도, 화훼도, 소과도, 화조도-4
 5  [민속예술] 민화 -산수화, 수석도, 화훼도, 소과도, 화조도-5
 6  [민속예술] 민화 -산수화, 수석도, 화훼도, 소과도, 화조도-6
 7  [민속예술] 민화 -산수화, 수석도, 화훼도, 소과도, 화조도-7
 8  [민속예술] 민화 -산수화, 수석도, 화훼도, 소과도, 화조도-8
 9  [민속예술] 민화 -산수화, 수석도, 화훼도, 소과도, 화조도-9
 10  [민속예술] 민화 -산수화, 수석도, 화훼도, 소과도, 화조도-10
 11  [민속예술] 민화 -산수화, 수석도, 화훼도, 소과도, 화조도-11
 12  [민속예술] 민화 -산수화, 수석도, 화훼도, 소과도, 화조도-12
 13  [민속예술] 민화 -산수화, 수석도, 화훼도, 소과도, 화조도-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민속예술] 민화 -산수화, 수석도, 화훼도, 소과도, 화조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민화란 무엇인가
1. 민화는 감상을 위한 것인가
2. 민화는 왜 민화인가
① 민화는 장식적 필요에 의해 그린 그림이다
② 민화는 토속신앙과 세계관이 반영된 그림이다
③ 민화에는 주술적 신앙이 반영되어 있다
④ 민화는 집단적 감수성의 표현이다
⑤ 민화는 ‘뽄’ 그림이다

※ 민화의 종류
1.산수화 (山水畵)
① 금강산도 (金剛山圖)
② 관동팔경도 (關東八景圖)
2. 수석도 (壽石圖)
① 노송도(老松圖)
② 괴석도(怪石圖)
3. 화훼도 (花卉圖)
① 모란도
② 모란도 이외의 화훼도
4. 소과도 (蔬果圖)
① 석류도(石榴圖)
② 선도도(仙桃圖)
③ 포도도
5. 화조도(花鳥圖)
① 학 (鶴)
② 봉황 (鳳凰)
③ 백로 (白鷺)
④ 기러기 ․ 원앙
⑤ 닭
⑥ 매 ․ 부엉이 ․ 오리 ․ 꿩 ․ 참새 등
본문내용
※ 민화란 무엇인가

1. 민화는 감상을 위한 것인가

'민화'라는 용어를 처음 쓴 사람은 일본인 야나기 무네요시(1889-1961)이다. 그는 1929년 3월 일본 교토에서 열린 민예품전람회에서 '민속적 회화'라는 의미로 '민화'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는 한국의 민화에 대해서 ‘불가사의한 조선민화’라는 논문과 삽화 해설에서 조선 후기에 그린 소위 속화(俗畵), 별화(別畵), 잡화(雜畵) 등을 민화라고 부르고 있다.
그러나 야나기 무네요시가 ‘민화’란 용어를 쓰기 이전부터 우리나라에서도 민화에 대한 개념은 있었다. 이규경씨는 여염집의 병풍, 족자 또는 벽에 붙어 있는 그림을 속화(俗畵)라고 칭했다.
우리나라의 민화 연구가인 조자용씨의 분류에 따르면 ‘순수회화’란 미술이론을 바탕으로 한 의식적인 예술행위로서의 그림을 뜻한다. 이에 비해 ‘민속회화’는 미술을 위한 그림이 아니라 삶을 위한 그림이다.
민화에 대한 정의나 민화관은 크게 두 가지를 중심축으로 하고 있다. 하나는 민화의 제작과 사용의 범주, 즉 누가 그렸고 누가 사용했으며 어떤 목적으로 그렸는가하는 문제이며, 다음은 예술적 가치관의 문제라고 할 수 있겠다.
민화는 상류계층의 감상용 그림이 못된다고 해서 회화사의 범주에서 제외되는 것이 지금까지의 통례였다. 일단 민화라고 불리면 이른바 정통회화와는 구별되는 회화라는 인식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민화를 전반적인 회화의 범주에서 제외시키게 되면 민화가 가진 예술적 의미나 역사적 의미는 크게 퇴색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