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

 1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1
 2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2
 3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3
 4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4
 5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5
 6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6
 7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7
 8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8
 9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9
 10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10
 11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11
 12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12
 13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13
 14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14
 15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15
 16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16
 17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17
 18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18
 19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19
 20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유아교육] 교수적합화의 개념적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교수적 적합화의 개념
1. 교수 적합화 개념의 이해
1) ‘교육과정’과 ‘교수’ 중심의 개념화
2) ‘수정’과 ‘적합화’ 중심의 개념화
3) 교수 적합화로의 개념화
2. 교수적합화의 내의 두 가지 함의
1)수정
2)조절
3)수정과 조절의 필요성
3. 교수적합화의 정의와 원리
1)정의
2)원리

4. 교수적합화의 유형
1)일상적/전형적 적합화
2)실제적/특수화된 적합화
5. 교수적합화의 이론적 토대

Ⅱ. 교수적합화의 방법
1. 교수적합화의 구성과 방법
1)교수환경
2)교수집단
3)교수내용
4)교수방법
5)평가방법

2. 교수적합화의 실행단계
1)정주영․신현기의 8단계 모형
3. 교수적 지원을 위한 교사 및 학생 전략
1)교수전략
2)학생전략
3)협동학습
본문내용
1.교수 적합화 개념의 이해
1) ‘교육과정’과 ‘교수’ 중심의 개념화
교수적합화(instructional adaptation 혹은 curricular adaptation)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보면 ‘교수적’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교육과정의’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박승희(1999)의 경우는 교수적합화의 초기 단계에서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점으로 일반교육과정의 내용이 장애학생에게는 너무 어렵거나 부적합하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교육과정’의 수정이 먼저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아무래도 통합교육의 적합화를 위한 초기의 노력들이 일반교육과정 중심의 수업 내용을 수정하는 것이었으므로 교육과정의 수정이라는 용어가 처음부터 표출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교수의 적합화(adaptive instruction)’에 관한 연구를 보면 연구의 비중을 교육과정에 두기보다는 교수방법에 두고 있다(Wang, 1989)는 점에 비추어 볼 때 교육과정에 중점을 두었다는 추정이 다소 설득력을 잃을 수도 있다고 본다.
오히려 두 용어가 혼용되어 사용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교육과정과 교수에 대한 학자들 간의 이해 방식이나 수준 차의 기인한 것이 더 바람직한 해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기존 교육학에서조차도 ‘교육과정(curriculum)’과 ‘교수(instruction)’의 경계를 명확히 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혼용의 이유가 되고 있다.
교육학에서는 ‘교육과정’의 개념을 하나로 규정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었다. 어떤 사람은 교과내용만을 교육과정이라고 하고, 어떤 사람들은 학교에서 학생의 성장·발달을 위해 의도적으로 제공하는 경험의 총체를 교육과정이라고 하며, 또 어떤 사람들은 지식의 내용과 구조를 교육과정이라고 하기도 한다. 이러한 정의들로 미루어 볼 때 ‘curricular’라는 용어는 단순히 교육내용에 국한된 개념이라기보다 교수와 관련된 학교의 전반적인 수행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urricular adaptation에 관련된 대다수의 연구들(예:Hoover & Patton 1997)에서도 ‘curricular’는 단순히 교육내용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교수와 관련된 전반적인 과정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curricular’ 를 ‘교육과정’ 이라는 협의의 의미로 해석하기보다는 교수 전반에 관련된 광의의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교수(instruction)’는 가르치는 행위와 작용을 지칭하는 개념으로서, 흔히 ‘교수-학습’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하지만 교육 상황에서 교수와 학습을 분리하여 다룰 수는 없다. 학습 현상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지만, ‘교수’는 학습 상황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분리하여 생각할 수만은 없는 것이다. 따라서, ‘교수’는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황정규, 이돈희, 김신일, 1998)
참고문헌
Bricker. D. 외, 통합 및 특수환경의 장애 영유아를 위한 교육방법(2004), 교육과학사
박승희, 한국 장애학생 통합교육(2003), 교육과학사
신현기, 통합교육 교수적합화(2004), 학지사
신현기 외, 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2005), 박학사
원종례, 교사간 협력 모델이 적용된 활동-중심 삽입교수 중재가 장애유아의 활동참여와 발달에 미치는 영향(2005),서울: 이화여대대학원
이소현, 장애영유아를 위한 자연적 중재의 개념과 실행의 구성요소(2002), 국립특수교육원
한국통합교육학회, 교사를 위한 특수교육입문(2005), 학지사

목련
자유유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