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

 1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1
 2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2
 3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3
 4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4
 5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5
 6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6
 7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7
 8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8
 9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9
 10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10
 11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11
 12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12
 13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13
 14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14
 15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15
 16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16
 17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17
 18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18
 19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19
 20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희곡이론] 박령보의 `태양을 기다리는 사람들`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북한희곡의 흐름
1. 1970년대 이전
2. 1970년대 이후

Ⅲ. 혁명예술
1. 혁명예술의 특징
2. 혁명연극
3. 혁명가극

Ⅳ. 작품 분석
1. 작가소개
2. 배경
3. 인물
4. 상징
5. 혁명극적 요소

Ⅴ. 혁명가극 피바다 분석

Ⅵ. 맺는 말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우리는 최초의 희곡인 조중환의 ‘병자삼인’에서 시작하여, 여성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보여준 김우진의 ‘이영녀’, 1930년대 유치진으로 대표된 사실주의와 우리 전통극을 수용한 채만식의 제향날, 그리고 1960년대부터 나타난 우리 연극의 변화를 보여주는 오태석의 환절기와 1970년대 이강백의 ‘파수꾼’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지금까지 7편의 희곡을 희곡이 발표된 시기와 연관 지어서 우리 연극계의 흐름과 동향을 알아 볼 수 있었다. 한국대표희곡강론. 서연호등 편저.현대문학.1993,36-61 참조
그런데 사실 이것은 우리 연극계의 완전한 흐름과 동향이 될 수 없다. 6.25.전쟁 이후에 여러 문인들이 북으로 넘어갔고 북에서는 우리와 다른 연극계의 흐름이 읽혀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지금까지 살펴 본 연극계의 흐름을 볼 때, 1940년대 후반부터의 변화에서 북한 연극계의 동향은 배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북한의 공식적 문화예술은 주체사상에 철저한 체제문학이며 북한 문예정책의 변화와 북한 연극의 미학. 김겸섭. p163
북한 연극은 유일사상체계의 확립시기인 이전 즉 1967년을 기준으로 크게 변화한다. 북한 문예정책의 변화와 북한 연극의 미학. 김겸섭.p171
따라서 1940년대 후반부터의 북한 연극계의 흐름에 대해서 검토해 볼 것이다. 특히 북한에서 1940년대 후반은 이른바 평화적 건설 시기라 명명하는 시기이다. 민병욱, [북한 연극의 이해] (서울 : 三英社, 2001) p.108
이 시기에 북한은 맑스-레닌주의를 이념으로 항 민주주의 자주 독립국가 건설을 과제로 삼고 있었다. 특히 연구의 중심이 되는 작품으로 이 시기 혁명연극의 대표작들 중 하나인 박령보의 과 혁명가극인 를 선택하여 을 중심으로 혁명연극과 북한 연극계의 동향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혁명연극과 혁명가극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려고 한다.

참고문헌
서연호등 편저. 『한국대표희곡강론』현대문학.1993
북한 문예정책의 변화와 북한 연극의 미학. 김겸섭
민병욱, 『북한 연극의 이해』 (서울 : 三英社, 2001)
이상우, “극양식을 중심으로 본 북한 희곡의 양상”[한국극예술연구], 제 11호 (한국극예술학회:2004)
정낙현, “북한 희곡의 특성과 구조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박사논문, 2003)
북한한국 비평 문학회, 『북한 가극․연극 40년』, 신원문화사, 1990,
연극의 혁명적 여성상과 연극성-를 중심으로. 유진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