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국문학 현대문학] 한국인의 정체성

 1  [국어 국문학 현대문학] 한국인의 정체성-1
 2  [국어 국문학 현대문학] 한국인의 정체성-2
 3  [국어 국문학 현대문학] 한국인의 정체성-3
 4  [국어 국문학 현대문학] 한국인의 정체성-4
 5  [국어 국문학 현대문학] 한국인의 정체성-5
 6  [국어 국문학 현대문학] 한국인의 정체성-6
 7  [국어 국문학 현대문학] 한국인의 정체성-7
 8  [국어 국문학 현대문학] 한국인의 정체성-8
 9  [국어 국문학 현대문학] 한국인의 정체성-9
 10  [국어 국문학 현대문학] 한국인의 정체성-10
 11  [국어 국문학 현대문학] 한국인의 정체성-11
 12  [국어 국문학 현대문학] 한국인의 정체성-12
 13  [국어 국문학 현대문학] 한국인의 정체성-13
 14  [국어 국문학 현대문학] 한국인의 정체성-14
 15  [국어 국문학 현대문학] 한국인의 정체성-15
 16  [국어 국문학 현대문학] 한국인의 정체성-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인문계열
  • 2007.01.04
  • 16페이지 / hwp
  • 1,000원
  • 3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 국문학 현대문학] 한국인의 정체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한국의, 한국인의 근대 정의
(2) 한(恨) 아니면 신명
(3) 정(情)
(4) 아리랑
(5) 한글

3. 결론
본문내용
한국인의 정체성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한국인을 대표할만한 명제를 제시해 정체성을 설명해 보고자 했다. 먼저 한(恨)이라는 영역에서는 그것이 가지는 역사적인 한계를 제시 하면서 우리의 일부분이기는 하지만 현재 통용되는 한이라는 속성만으로 정의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고 본다. 또한 한의 속성으로 네 가지를 규명하였는데 원(怨), 탄(嘆), 정(情), 그리고 원(願)이 그것이다. 이는 한에 대한 속성을 슬픔의 것으로 매도 하려는 자세를 경계함은 물론 이것은 다른 한국적 속성과 마찬가지로 흥으로서의 자세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다음으로 정(情)에서는 정이라는 것의 개념을 먼저 잡고 나서 그것이 어떻게 한국적인 것인지 설명하였다. 즉 정이라는 것은 유교의 인과 맞닿은 개념으로 우리가 유교 국가였음을 나타내는 개념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한국이 유교 이념을 받아 들여 생긴 개념이라기보다는 고은의 정의와 같이 한민족이 정이라는 개념을 정의하기 전부터 우리에게 주어진 무엇인 것이다.
한국에서 다른 유교 국가와는 다르게 정의 개념이 중요하게 된 것은 하나의 민족이었다는 민족상의 특성 때문이었다고 본다. 그리하여 왜곡된 정의 표출이 나타나는데 그것이 우리라는 것 이외의 영역에 대한 배타감이다.

민족적 전통과 근대의 이어짐으로는 아리랑을 들었는데 아리랑의 기본 정서인 슬픔과 비애가 기본적인 정서라고 보지만 필자는 그보다는 아리랑이라는 노래의 다양한 형식에 주목 하였다. 다양한 의미와 형식으로 사용되는 아리랑은 대부분 표면적으로는 이별의 슬픔을 노래하는 것이지만 그것을 긍정함으로써 슬픔만을 나타내는 여타의 민요와는 다른 성격을 지니기 때문에 현대에 이르러서는 응원가와 같은 다른 영역에서 사용되며 향유 될 수 있었다고 본다. 바로 이와 같은 성격이 아리랑이 근대화 과정에서 한국적인 발아의 과정을 보여 준다고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한글을 한민족 정체성의 예로 들었다. 이는 한글의 기원에서부터 그 쓰임에 대한 특성에 이르기 까지 한국적인 특성이 있다고 본다. 먼저 과학적인 자음 체계는 역사학자들이 바라보는 근대보다 500년이 앞선 시대에 한국의 근대적 맹아를 보여 주는 것임과 동시에 모음에서의 천지인(天地人)의 철학성은 과학성과 더불어 한국적인 가치에 대한 옹호를 보여 준다는 점에서 앞서 논의 되었던 아리랑과 상통 한다 하겠다.

이제 한국의 근대가 어디서부터였는지 정할 수 있을까? 아직 그 정답은 모호하기만 하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해 진 것은 한국의 근대에는 분명 외세의 도움 없이 자발적인 근대가 분명 가능 했다는 점이다. 이는 아리랑이 현대에 전해지는 것과 한국적 가치라고 불리는 한의 정서와 정, 그리고 한글이 그 예를 보여 준다고 하겠다. 필자는 연구를 계속 해 오면서 느꼈던 아쉬움을 잊을 수 없다. 늘 역사에서 만약이라는 말이 들어간다면 좋은 이야기가 되는 것을 사실이겠지만, 만약 한국이 일제 식민지의 30년이 없었더라면 과연 어떤 방향으로 근대화가 이루어졌을까? 그리고 그렇게 되었다면 한국의 근대는 어디서 기점을 잡았을까?
참고문헌
1. 고미숙, , 책세상, 2001
2. 탁석산, , 책세상, 2003
3. 최상진, 한국인의 민족적 자기, ____, ____
4. 이만열, 세계화 속의 한민족의 정체성, ____, ____
5. 김동권, 아리랑 연구, 용인송담대학, 2005
6. 박갑수, 역사심리 측면에서 본 아리랑의 성격, 통일부 교육원, 2005
7. 강영안, 근대와 탈근대의 긴장 속에서의 이성과 한국철학, 인문연구논집, ____
8. 조정옥, 셀러의 부끄럼 이론을 통해 본 한국인의 수줍음, 성균관대학교, ____
9. 김형수, 한국문학의 근대성과 탈근대성의 대화적 상상력, 창원대학교, 2004
10. 이상익, 한국 사상사에 있어서 근대성의 발흥, ____, 2001
11. 최상진, 조윤동, 박정열, 대중가요 가사분석을 통한 한국인의 정서 탐색, 한국심리학회, 2001
12. 김기범, 최상진, 정 마음이야기 분석, 한국심리학회, 2002
13. 이훈구, 한국인의 긍정적 정서, 심리과학, 1997
14. 송현호, 한국 근대 소설의 형성에 관한 연구, 인문논총, 1994
15. 이승윤, 한국 근대 소설사 연구의 기원, 서울대학교, ____
16. 전세일, 한국의학의 정체성과 독창성, 포천중문의대, 2005
17. ___, 굿, 그 신명의 몸짓, United Korea, 2002
18. 강돈구, 한국근대 종교운동과 민족주의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0
19. 이종태, 한국교육의 근대성과 근대화 과정의 검토, 사회, 교육과학연구, 2001
20. 김영필, 한국인의 한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대한 철학회, 2004
21. 이은숙, 신명섭, 한국인의 고향관-그 지리학적 요인과 정서의 관계, 대한지리학회, 2000
22. 최상진, 한국인의 민족적 자기, ____, ____
23. 이만열, 세계화 속의 한민족의
하고 싶은 말
최선을 다해 만든 논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