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족제]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귀족제

 1  [귀족제]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귀족제-1
 2  [귀족제]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귀족제-2
 3  [귀족제]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귀족제-3
 4  [귀족제]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귀족제-4
 5  [귀족제]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귀족제-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귀족제]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귀족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귀족의 출현
Ⅱ. 신분구조와 귀족
Ⅲ. 귀족의 존재양상과 권력구조의 변화
Ⅳ.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
Ⅴ. 공음전
Ⅵ. 음서 제도
Ⅶ. 귀족제 관료제
본문내용
Ⅰ. 귀족의 출현

신라의 6부 문제는 냉수리비와 봉평비를 아룰러 검토해 보면, 탁과 사탁은 동일한 부에서 분화한 느낌을 갖게 된다, 첫째, 그 명칭상의 유사성을 들 수 있고 둘째, 사탁부 출신의 지증왕의 즉위하였으면서도 지금까지 알려진 문헌사료에서는 이것의 전혀 왕조교체나 혹은 왕의 출신 종족교체로 인식되지 않았다는 점이고 셋째, 부자나 형제가 소속 부를 달리한다는 점이다. 6부가 완성되기 이전에는 탁, 본피, 피의 3개의 집단이 존재했던 단계의 설정이 가능하다. 3개의 집단이 분화하여 6부가 성립했고, 3부는 원래 사로국을 구성한 3개의 유력한 집단이 아닌가 싶다.
신라 6부는 자비왕대에 경도의 방리명을 정하는 시기에 기존의 3부가 재편되면서 성립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사실상 김씨 즉 탁집단의 절대적인 우위의 확립을 의미하는 것이다. 김씨 세습이 확립되는 마립간시대의 지방지배형태는 지방관을 파견하여 지배해 가는 소위 직접지배는 아직 실현되지 못하였고 재지세력을 재편한 위에 그들을 매개로 통치하는 간접지배였다.
3부는 개편되기 전까지 국가의 제역을 받기는 하였지만 상당한 독자성을 갖고 있었다. 각 지배집단은 국가에 예속되기보다도 부에 의해 통제를 받았던 것이다. 이러한 시기의 지배세력을 귀족이라고 일컫기는 어려우며 그들은 족장적인 존재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전반에 걸치는 시기는 부의 소멸과정이었으며 다른 한편 국왕 중심의 지배체제의 강화과정이었다. 이는 곧 탁집단(탁, 사탁, 모탁) 승리의 과정이었던 것이다.
부가 지녔던 독자성의 상실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곧 경립 17등관등제와 골품제의 성립이고, 이로써 지배집단은 소속한 부에 의해 통제되는 존재가 아니라 전체 인민을 대상으로 국가가 재정한 신분제와 관등제의 의해 일률적으로 제약을 받게 된 것이다. 이제 보다는 신분과 관등이 중시되는 새로운 시대가 도래된 것이다. 귀족의 출현시기를 6세기 초로 보며 이때부터를 귀족사회로 잡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귀족이란, 국왕 중심의 집권력이 강화되면서 전체 인민을 포괄하는 신분제가 형성되고 지배세력을 대상으로 하는 일원화된 관등제가 성립하면서 탄생하는 새로운 성격의 지배세력이다.

Ⅱ. 신분구조와 귀족

지배층 가운데 그들이 누리는 정치적, 사회경제적인 특권을 유지하는 수단이 무엇인가를 귀족과 비귀족을 판별하는 잠적적인 기준으로 삼고자 한다. 귀족은 항상 정치적인 실권을 장악하여 일정한 정치적인 역할을 한 지배층이라고 하겠으며, 그들의 지위는 정치적 진출의 유무에 따라 결정되었다고 하겠다.
골품제가 성립되고 관등제가 완성되기 이전에 존재하였던 귀족회의의 전신인 남당회의에 5세기 전반까지에는 극히 한정된 지방세력도 참여하였지만 5세기 후반 왕경지배자 공동체의 강화와 지방통치체제의 정비로 지방민에 대한 인식에 변화가 야기되면서 그들은 여전히 간으로 불리기는 하였지만 이 회의에의 참여는 배제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