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

 1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
 2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2
 3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3
 4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4
 5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5
 6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6
 7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7
 8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8
 9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9
 10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0
 11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1
 12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2
 13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3
 14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4
 15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5
 16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6
 17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7
 18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8
 19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19
 20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전근대사회의 신분과 계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대사회의 신분과 계층

1) 신분, 계급, 계층의 개념 및 정의
2) 관등제의 기원과 성립
3) 관료제 운영과 신분규제
4) 골품제와 양천제

Ⅱ. 고려사회의 신분과 계층
1) 양천제론과 4신분제론
2) 양반과 귀족
3) 중간계층
4) 백정과 정호
5) 향․소․부곡민

Ⅲ. 조선사회의 신분과 계층
1) 조선 초기의 양천제와 국역체제
2) 사족층의 성장
3) 반상제의 확립과 신분제의 변동
본문내용
Ⅰ. 고대사회의 신분과 계층


1) 신분, 계급, 계층의 개념

신분
전근대사회, 법적 제도와 그것으로 인해 규정된 형식적 차별에 따라 구분되는 부류
폐쇄적, 귀속적 성격
계급
생산수단의 소유 유무에 따라 결정된 집단
계급의식의 공유
계층
재산, 권력, 명예 등 여러 가지의 사회적 지위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범주에 따라 구획하여 등급 짓는 용어

2) 관등제의 기원과 성립 – 고구려

다원적 관제

국왕 아래 일정한 직무를 맡던 사자, 조의, 선인

대가(大加)들도 사자, 조의, 선인을 둠

→ 4C 이후 일원화 과정



형(兄)계 관등 = 기존 제가세력에 직속
사자(使者) 계 관등 = 국왕에 직속, 왕권 뒷받침

정치 상황에 따른 관등제의 변동

- 왕권>귀족 = 사자계 관등 중시
- 왕권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2003), 『한국사 25.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국사편찬위원회(2003), 『한국사 34, 조선 후기의 사회』
김성우(2000), 「조선시대 ‘사족’의 개념과 기원에 대한 검토」,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창작과비평사
김성우(2001), 『조선중기 국가와 사족』, 역사비평사
김영심(2009), 「6~7세기 삼국의 삼국의 관료제 운영과 신분제 : 衣冠制에 대한 검토를 기반으로」, 『韓國古代史硏究』54.
박용운(2008), 「신분제도」, 『고려시대사』, 일지사
서의식 외(2002), 『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1』, 솔.
서외식(2003), 「신라 중위제의 추이와 지배신분층의 변화」, 『역사와 현실』50.
역사비평 편집위원회(2002), 「고려시대의 신분제」, 「고려사회의 성격론」 『한국 전근대사의 주요 쟁점』, 역사비평사
이도학(2003), 『살아있는 백제사』, 휴머니스트.
정동준(2010), 「백제 관등제의 변천과 의사결정구조」, 『한국사연구』149.
풀빛한국사연구회(2008), 『한국사 길잡이 上』, 지식산업사
하일식(1991), 「6세기 신라의 지방지배와 외위제」.『學林』12・13.
한국역사연구회, 1995, 「신분구조와 직역」, 『한국역사입문②』
한국고문서학회(2006), 『동아시아 근세 사회의 비교 -신분, 촌락, 토지소유관계』, 혜안
한국사특강편찬위원회(2008), 『한국사특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