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사] 4.19전후 혁신세력의 활동

 1  [한국현대사] 4.19전후 혁신세력의 활동-1
 2  [한국현대사] 4.19전후 혁신세력의 활동-2
 3  [한국현대사] 4.19전후 혁신세력의 활동-3
 4  [한국현대사] 4.19전후 혁신세력의 활동-4
 5  [한국현대사] 4.19전후 혁신세력의 활동-5
 6  [한국현대사] 4.19전후 혁신세력의 활동-6
 7  [한국현대사] 4.19전후 혁신세력의 활동-7
 8  [한국현대사] 4.19전후 혁신세력의 활동-8
 9  [한국현대사] 4.19전후 혁신세력의 활동-9
 10  [한국현대사] 4.19전후 혁신세력의 활동-10
 11  [한국현대사] 4.19전후 혁신세력의 활동-11
 12  [한국현대사] 4.19전후 혁신세력의 활동-12
 13  [한국현대사] 4.19전후 혁신세력의 활동-13
 14  [한국현대사] 4.19전후 혁신세력의 활동-14
 15  [한국현대사] 4.19전후 혁신세력의 활동-15
 16  [한국현대사] 4.19전후 혁신세력의 활동-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현대사] 4.19전후 혁신세력의 활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들어가며
2. 혁신계란 무엇인가?
(1) 혁신계의 정의
(2) 혁신계의 범위와 성격
1) 혁신계의 범위
2) 혁신계의 성격
3. 혁신계의 흐름
(1) 혁신계의 연원 (해방 이후부터~4ㆍ19까지)
(2) 혁신계의 중흥 (4.19 이후부터 7.29 총선까지)
(3) 혁신계의 쇠망 (5·16 이후)
4. 의미와 한계, 계승과 단절
(1) 혁신계 활동이 지닌 의미
(2) 혁신계 활동이 지닌 한계
5. 마치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들어가며

한국현대사를 논하면서 4․19를 빼놓을 수는 없다. 4․19를 통해 한국사회의 민주주의가 새롭게 발전할 수 있는 역량과 경험을 쌓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학생과 시민이 중심이 되어 독재정권의 부정부패와 압제에 맞서 그를 무너뜨린 민주적인 움직임으로서 전세계에 한국사회의 역동성과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을 알렸다는 의의를 가지기 때문이고, 그 후 한국사회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고민의 부재와 혁명을 주도한 세력의 역량 부족으로 인해 혁명의 열기를 이어나가지 못하고 결국 무능력하고 부패한 민주당정권과 5․16 쿠데타로 인한 군사정권을 차례로 맞이해야 했다는 한계를 또한 지니기 때문에 4․19는 우리사회에 대한 고민과 그 고민을 해결하고자 하는 방법에 대해 깊이를 더해주었다.
그리고 그것은 과거만의 문제가 아니다. 얼마 전 있었던 교과서포럼에서 제기된 문제 중 가장 큰 사안은, 그리고 폭력 사태까지 부른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바로 4․19에 대한 것이었다.(4․19를 혁명이 아닌 학생운동으로 표기한 것이었다.) 물론 나중에 서로의 입장에 대한 오해가 있었음을 인정하고 화해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4․19가 결코 과거만의 문제가 아님을 새삼 깨닫게 해주는 일이었다. 4․19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그리고 그 이후 한국사회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는 결국 현재를 어떻게 볼 것인가, 현재 한국사회가 지닌 문제가 무엇이며 그것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와 연결되며, 그를 바탕으로 형성된 현실인식은 한국사회가 나아가야할 지향점이 무엇이며, 그를 위해 지금 무엇을 해나가야 하는 지에 대한 문제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4․19는 사실(史實)로서 과거적 의미뿐만 아니라, 현재적․미래적 의미 또한 강하게 품고 있다.
4․19를 전후를 살아낸 사람들, 그리고 그 시기 한국사회가 역동성을 어떻게 형성하고 표출하며, 그 표출된 역동성이 어떻게 사그라지는 지 살펴보는 것은 한국사회가 지닌 고민과 그 고민의 해결에 대해 적지 않은 시사점을 던져줄 것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 혁신세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학생세력이 4․19를 주도한 것은 사실이지만, 4․19라는 것이 한국정치현실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면 혁신세력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4․19 전후의 혁신세력의 모습을 비교해 봄으로써 한국사회의 정치․사회적 공간에 대한 인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혁신세력만큼 4․19가 지녔던 한계를 여실히 보여주는 집단도 없다.
참고문헌

김광식, 1990, 「4월혁명과 혁신세력의 등장과 활동」, 󰡔한국사회변혁운동과 4월혁명 1,2󰡕, 한길사.
김광식, 1987, 「한국 혁신정당연구」, 󰡔월간조선󰡕, 조선일보사.
김지형, 2001, 「4.19직후 민족자주통일협의회 조직화과정」, 󰡔4.19와 남북관계󰡕, 민연.
서중석, 1995, 「대담: 고초로 점철된 혁신계 50년」, 󰡔역사비평󰡕 봄, 역사문제연구소.
정창현, 1991, 「4월민중항쟁 직후 혁신정당운동과 민족자주통일중앙협의회」, 󰡔한국현대사󰡕 2, 풀빛.
정창현, 1991, 「진보당 운동의 전개와 성격」, 󰡔한국현대사󰡕 2, 풀빛.
정태영, 1992, 「5·16쿠데타 이후 혁신세력은 어떻게 존재하였나」, 󰡔역사비평󰡕 가을, 역사문제연구소.
홍인숙, 1984, 「건국준비위원회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정식, 1976, 󰡔한국현대정치사󰡕 (3), 성문각.
육일회, 1992, 󰡔四月民主革命史󰡕, 제3세대.
이용원, 1999, 󰡔제2공화국과 장면󰡕, 범우사.
심지연, 2000, 󰡔송남헌 회고록󰡕, 우사연구회, 한울,
한국역사연구회 현대사연구반, 1991, 󰡔韓國現代史󰡕, 풀빛.
한국역사연구회, 1996, 󰡔韓國歷史入門󰡕 3, 풀빛.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