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무가, 구비문학의 원형

 1  [국문학] 무가, 구비문학의 원형-1
 2  [국문학] 무가, 구비문학의 원형-2
 3  [국문학] 무가, 구비문학의 원형-3
 4  [국문학] 무가, 구비문학의 원형-4
 5  [국문학] 무가, 구비문학의 원형-5
 6  [국문학] 무가, 구비문학의 원형-6
 7  [국문학] 무가, 구비문학의 원형-7
 8  [국문학] 무가, 구비문학의 원형-8
 9  [국문학] 무가, 구비문학의 원형-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무가, 구비문학의 원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무가의 정의
3. 무가의 특징
4. 무가의 담당층 -무당
5. 무가의 갈래
6. 무가의 범위에 대한 논의
7. 무가의 세계 -서사 무가(제주도 본풀이)
8. 무가의 연구 가치와 제언
9. 맺는 말
본문내용
1. 서론 - 문학과 구비문학, 구비문학의 원형을 이루는 무가.

우리는 문학을 사상과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언어 예술이라고 정의한다. 그렇다면 국문학이란 무엇인가. 국문학개론에서는 국문학을 우리나라 사람이 우리말로 이루어낸 언어 예술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나라 사람’과 ‘우리말’이라는 개념은 그것을 어디까지 적용시킬 것인지, 그 범위를 어디로 할 것인지에 따라서 논의가 있어왔고 그에 따라서 국문학의 개념이 조금씩 달라져 왔다. 교포가 쓴 문학이나 한문으로 쓰인 문학은 각각 누구를 우리나라 사람을 볼 것인지와 무엇을 우리말로 볼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빚어지면서 국문학의 범위 상의 화두에 올라왔던 것들이다. 그러나 지금으로서는 교포를 포함한 우리나라 사람이 한글로 이루어낸 언어 예술을 국문학으로 정의하되, 한글이 반포되기 전 즉 우리나라 고유의 문자가 없던 시대에 아시아의 공동 문어로 사용되던 한문으로 쓰인 문학도 국문학의 범주에 포함시키는 한편, 글이 아닌 말로 이루어진 구비문학도 함께 국문학으로 지칭되고 있다.

흔히 문학은 구비문학과 기록문학으로 구분되어 진다. 이는 전승형태에 따라 문학의 유형을 분류한 것으로, 말로 이루어진 문학은 구비문학으로, 글로 쓰인 문학은 기록문학으로서 기록문학은 다시 그 글의 형태와 방식에 따라서 한글로 쓰인 한글문학, 한문으로 쓰인 한문문학으로 분류된다.
참고문헌
⟪국문학개론⟫ 김광순 외. 2003. 새문사 p.243-259
⟪한국구비문학개론⟫ 김태곤 외. 민속원 2003
⟪한국의 무속신화⟫ 김열규 외 공저. 1998. 박이정 p.83-121
⟪경기도의 굿⟫ 하주성. 1999. 경기문화재단. p.316-317
⟪동해안별신굿⟫ 이균옥. 출판사 박이정
⟪굿 영혼을 부르는 소리⟫ 사진 김수남. 열화당. 2005, p.14-17
⟪한국문학통사1⟫ 제4판 조동일. 지식산업사. 2005.
⟪한국현대문학사1⟫ 권영민. 민음사. 2003.
⟪한국 민속학 개론⟫ 최운식 외 공저. 2004. 민속원.
⟪한국의 굿⟫ 문무병 외 6명. 민속원. 2003. p12-14, 16-25,
159-162
⟪제주도 무속과 서사무가⟫ 장주근. 도서출판 역락. 2001. p.52-60,
63-65, 73-82, 164-166, 239-242, 244
⟪韓國의 굿⟫-서울인천경기편- 이선주. 민속원. 1996. p.68-69, 125
167-168
『무가문학연구』 이경업 박이정 1998


 참고 사이트
낙동민속보존회, www.nakdong.org
한국의 굿 http://good.culturecontent.com/05/ea/sub_01.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