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

 1  [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1
 2  [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2
 3  [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3
 4  [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4
 5  [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5
 6  [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6
 7  [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7
 8  [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8
 9  [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9
 10  [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10
 11  [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11
 12  [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12
 13  [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13
 14  [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14
 15  [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15
 16  [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16
 17  [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17
 18  [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18
 19  [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 무속신화의 실제- `제석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무속신화란
1. 무속신화의 의미
2. 무속신화의 의의
3. 무속신화의 유형
4. 무속신화의 특징

Ⅲ. 무속신화의 작품
1. ‘본풀이’ 의미
2. 제석본풀이
3. 세경본풀이

Ⅳ. 의 여신 자청비의 여성적인 면모
1. 여성으로서의 의미
2. 자청비의 탄생
3. 남편과의 관계
4. 자청비의 남장
5. 집에서 쫓겨남
6. 천상무용담
7. 중세경 자청비의 위치

Ⅴ. 결론

Ⅵ. 토론과제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우리가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말 중에 흔히 '신명'나게 놀자 라든지 '신바람' 이라든지 하는 말이 있다. 특히, 지금까지도 이어져 내려오는 우리의 놀이 문화는 바로 이 신명 기질에 그 원형을 두고 그 모습을 형성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에 대한 일반적 견해는 우리 놀이 문화의 원형을 중국의 역사책인 [삼국지]의 [위지 동이전]에 인용되어 있는 고구려의 동맹, 부여의 영고와 같은 제천의례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인데, 다시 말해, 무(巫)와 관련된 것들이 단순히 미신이라 하여 첨단 과학의 시대를 사는 우리와는 관계없는 폐기되어야 할 것으로 치부하고 말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우리 조상들이 세계를 바라보았던 우주관, 인간관, 신관을 살펴보는 하나의 통로가 되며 동시에 오늘날에도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한국인의 원형적 심성을 파악하는 데에 중요한 열쇠가 되어줄 것이다. 본 발표에서는 그 중에서도 특히 몇 가지 대표적 무속 신화를 살펴봄으로써 무속 신화의 특징과 함께 어떠한 방식으로 우리의 가치관, 세계관을 표현해 내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Ⅱ. 무속신화란


1. 무속신화의 의미

'무속' 신화라고 했을 때에 일단 그 전제는 무교의 의식이 될 것이다. 즉, 무당이 굿판에서 노래로 부르는 것인데 굿판에서 발견되는 많은 무가(巫歌) 가운데 특히, 신의 일생과 내력을 밝혀주는 신화의 영역에 속하는 무속 신화를 서사 무가라고 일컫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굿판에서는 '본풀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굿판에서 이와 같은 '본풀이' 즉, 무속 신화를 구연하는 이유는 바로 현재 굿판에서 모실 신의 과거 공업을 설명하고 찬양하고 동시에 그 무속 신화를 공유하는 사람들이 기원할 수 있는 신의 행적을 명확히 드러내준다. 이러한 신의 이야기는 출생-성장-결혼-공업(신의로의 좌정)과 같은 서사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데 건국 신화와 무속 신화가 모두 이러한 영웅의 일생 구조를 포함하고 있지만 건국신화는 공업담의 내용이 주로 한 나라의 건국과 관련된 것이라면, 무속 신화에 있어서의 공업
참고문헌
1. 고은지, 여성인물의 형상화 방향과 내용 구성의 특질, 민속학회, 한국민 속학 31집,1999.

2. 권태효, 제주도 무속서사시 생성원천에 대한 새로운 고찰- 에 미친 의 영향을 중심으로, 민속학회, 한국민속학 31집, 1999.

3. 김준기, 서사무가 '당금애기'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전공, 1984.

4. 김화경, 세경본풀이의 신화학적 고찰, 일지사, 한국학보 28집, 1982.

5. 박진태, 중국 양축설화(梁祝說話)의 수용과 변용.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2002.

6. 이경하, 제주도 본풀이에 나타난 여성서사시의 양상과 의미, 서울대학교, 1999

7. 이수자, 제주도 큰굿내의 신화에 나타난 가족구성상의 특징과 의의, 구비문학연구 제 12집, 2001.

(이수자) 백중의 기원과 성격 -농경기원설화 세경본풀이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민속 학회, 한국민속학 25집, 1993.

8. 홍태한, 한국 서사무가 연구, 민속원,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