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서사문학] 바보설화 성담론

 1  [구비서사문학] 바보설화 성담론-1
 2  [구비서사문학] 바보설화 성담론-2
 3  [구비서사문학] 바보설화 성담론-3
 4  [구비서사문학] 바보설화 성담론-4
 5  [구비서사문학] 바보설화 성담론-5
 6  [구비서사문학] 바보설화 성담론-6
 7  [구비서사문학] 바보설화 성담론-7
 8  [구비서사문학] 바보설화 성담론-8
 9  [구비서사문학] 바보설화 성담론-9
 10  [구비서사문학] 바보설화 성담론-10
 11  [구비서사문학] 바보설화 성담론-11
 12  [구비서사문학] 바보설화 성담론-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서사문학] 바보설화 성담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들어가며
2. 기존 문헌에서의 바보설화
가. 바보설화의 정의
나. 바보설화의 유형
다. 바보설화 성담론 유형
3. 구조 분석
가. 조력자로 본 구조분석
나. 속임수로 본 구조분석
다. 금기로 본 구조분석
4. 나오며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들어가며

가. 우리의 견해
설화에서 같은 유형 속에 속하는 이야기들일지라도 좀 더 세분화 해보면, 즉 구조를 분석해보면 그것들 사이에서도 서로 다른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예컨대 ‘동물설화’라는 한 유형에 속하는 이야기들도 동물의 유래를 다루고 있는 것, 동물의 사회를 다루고 있는 것 등으로 다시 세분화 하여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표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바보설화’의 경우 주인공의 행동에 따라, 또 지역에 따라 분리가 되어 있다. 두 가지 방법 모두 이미 여러 논문에서 사용된 설화의 분류방식이다. 그런데 후자의 경우 설화라는 것이 구비전승 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과정 속에서 전승된 지역의 특징을 반영할 수밖에 없는 것임에도 ‘바보설화’의 경우, 그 안에서 뚜렷한 지역적 특색을 읽어낼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서울, 경기 지방의 ‘바보설화가’ 존재하지 않아 ‘바보설화’안에서의 새로운 구조분석의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바보라는 말이 가지는 매력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이 언어의 특성을 살펴보면 공식적인 언어가 아니라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으이구, 이 바보야.”라는 말에서 엿 볼 수 있듯이 사적이고, 아이러니 하지만 친근함의 표상으로 줄 곧 쓰여 이미 사전적인 정의에서 벗어나 있다. 사적이고, 친근한 것! 그것이 곧 민중이다. ‘바보설화’를 살펴본다는 것이 곧 우리 민중을 살펴보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면 왜 ‘성’인가? 우선, 우리나라가 종교의 영향으로 보수적이었다고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설화를 찾는 동안 방대한 양의 성 담론이 발견되었다. 게다가 노골적인 표현을 서슴없이 하고 있어서 그동안 알려져 온 우리의 모습사이에의 아이러니함을 조명할 필요성을 느꼈다. 또, ‘바보설화’의 범주에 속하는 이야기들을 살펴보면 사위, 남편이 바보인 이야기부터, 며느리가 바보인 이야기, 동네아저씨, 아주머니가 바보인 이야기 등 ‘바보’가 다양한 캐릭터로 구성되는데, 그 중 ‘성’에 관한 이야기에서는 유독 남성이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등장하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었다.
참고문헌
* 「한국구비문학대계」 3-3, 김영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 「한국구비문학대계」 6-1, 지춘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 「한국구비문학대계」 6-7, 최덕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 「한국구비문학대계」 7-17, 임재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 「한국구비문학대계」 8-5, 최정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 「한국구비문학대계」 별책부록 한국설화유형분류집, 조희웅,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 「한국문헌설화」 제 7책, 김현룡, 건국대 출판부, 2000
* 「옛날이야기꾸러미」제 4책:웃기는 이야기. 최인학․엄용희. 집문당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