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교육론] 고등학교 1학년 국어과 학습 지도안

 1  [교과교육론] 고등학교 1학년 국어과 학습 지도안-1
 2  [교과교육론] 고등학교 1학년 국어과 학습 지도안-2
 3  [교과교육론] 고등학교 1학년 국어과 학습 지도안-3
 4  [교과교육론] 고등학교 1학년 국어과 학습 지도안-4
 5  [교과교육론] 고등학교 1학년 국어과 학습 지도안-5
 6  [교과교육론] 고등학교 1학년 국어과 학습 지도안-6
 7  [교과교육론] 고등학교 1학년 국어과 학습 지도안-7
 8  [교과교육론] 고등학교 1학년 국어과 학습 지도안-8
 9  [교과교육론] 고등학교 1학년 국어과 학습 지도안-9
 10  [교과교육론] 고등학교 1학년 국어과 학습 지도안-10
 11  [교과교육론] 고등학교 1학년 국어과 학습 지도안-11
 12  [교과교육론] 고등학교 1학년 국어과 학습 지도안-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과교육론] 고등학교 1학년 국어과 학습 지도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어교육의 목적

Ⅱ. 단원개관

Ⅲ. 단원학습목표

Ⅳ. 본 수업의 목표

Ⅴ. 단원학습계획
본문내용
Ⅰ. 국어교육의 목적
도구적 목적언어는 실제로 우리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고 이해하는 도구가 된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이 타인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국어는 자기 나라 사람들이 주로 쓰는 말이다. 국어를 알아야 타인에게 자신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고, 타인의 사상과 감정도 이해하면서 의사소통을 해 나갈 수 있다. 더 나아가 올바르고 정확한 정보 전달 및 표현을 학습해 나감으로써 필요한 순간에 언어를 적절하게 구사하는 교양인이 될 수 있다. 개인의 성장 국어교육은 다른 교과와 달리 언어적 체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개인의 성장을 달성한다는 데 그 특질이 있다. 국어교육을 통해 우리는 읽을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을 읽고, 생각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을 써보고, 이것을 음성언어로 실현함으로써 인간다운 지혜를 넓혀 간다. 사람은 왜 사는 것인지, 인간이 귀중한 까닭이 무엇인지, 이웃과 인류에 대해 우리는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하는지, 우리가 넘겨주어야 할 역사를 위해서 우리가 할 일은 무엇인지를 언어를 통해 익히고 또 생각한다. 사람은 왜 고통 속에서도 위대해지는지, 왜 고통을 이겨내면서 살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인지, 왜 우리는 평화를 사랑하면서 살아야 하는지, 인간의 한 생애는 어떻게 전개되는 것인지, 국어교육은 언어 자료를 통해서 생각하고 말하고 써본다. 모든 언어는 삶과 인간의 본질에 대해 말한다. 이를 깨우쳐 주는 것이 바로 국어교육이다.문화의 전승과 창달 인간은 독자적인 개인으로서도 살아가지만 국가와 민족 또는 인류라는 공동체의 일원으로 살아간다. 작게는 가족 공동체의 일원으로 또는 이웃의 일원, 혹은 사원의 일원으로 여러 형태의 공동체에 속해서 살아가게 되어 있다. 공동체의 일원으로 조화롭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문화적인 정체성을 공유하는 개인이 되어야 한다.
언어 가운데서도 가장 정련된 것이라고 널리 인정된 문학작품의 감상을 통해 향토와 민족과 인류의 문화적 유산을 공유하고, 또한 단지 소유하고 향유하는 데서 넘어서서 그것을 본떠 새로운 표현을 창출하는 것은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전통의 계승이자 창달이 된다. 주체적 문화 분석언어로 이루어지는 모든 문화는 사회적 권력 확보와 관련이 있다. 넘쳐나는 매스미디어 시대에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권력의 무기인 언어에 빨려 들어간다. 객관적으로 현상을, 그리고 자신의 삶을 직시하지 못한다.
자라나는 세대들은 교과서에 실린 글에 대하여도 자신의 견해와 태도를 갖추어야 하듯이 쏟아지는 미디어 언어들에 대해서도 주관을 뚜렷이 갖추고 사회의 가치와 개인의 가치를 아울러 가며 그에 대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반응의 능력을 갖춘 ‘시민’으로 성장해 가야 한다. 여기에 필요한 능력이 사태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이다. 비판적 분석을 통해서 사태의 실상을 알고 의도를 파악해야 한다. 또 이러한 비판적 능력을 위해서는 언어문화를 바라보는 독특한 시점과 방법이 강조되어야 한다. 어떤 언어 현상에 대한 의미 해석 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매스컴 등의 매체가 가치를 전이시킨다는 것을 날카롭게 파악해 낼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