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 판소리

 1  [구비문학] 판소리-1
 2  [구비문학] 판소리-2
 3  [구비문학] 판소리-3
 4  [구비문학] 판소리-4
 5  [구비문학] 판소리-5
 6  [구비문학] 판소리-6
 7  [구비문학] 판소리-7
 8  [구비문학] 판소리-8
 9  [구비문학] 판소리-9
 10  [구비문학] 판소리-10
 11  [구비문학] 판소리-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 판소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판소리 개관

Ⅱ. 판소리의 기원과 전개
(1) 판소리의 형성
(2) 판소리의 전개

Ⅲ. 판소리의 성격
(1) 음악(音樂)으로서의 판소리
(2) 연극(演劇)으로서의 판소리
(3) 문학(文學)으로서의 판소리
가. 장르
나. 언어
다. 구성
라. 삶에 대한 시각
마. 정결

Ⅳ. 구비문학으로서의 판소리

Ⅴ.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
(1) 문체
(2) 구성
(3) 작가
(4) 수사법과 시제
(5) 시점과 화자

Ⅵ. 현대적 수용


◎ 참고문헌 ◎


본문내용
Ⅰ. 판소리 개관

‘판소리’라는 용어는 비교적 최근에 정착되었다. 이는 ‘판’과 ‘소리’가 결합된 말로 민속악의 ‘성악’을 가리키는 ‘소리’에 ‘판’이 덧붙은 형태이다. ‘판’의 개념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특수한 행위를 벌이기 위하여 많은 사람이 모인 곳’ 혹은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된 줄거리로 짜인 것’, ‘다양한 악조가 유기적으로 짜인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이 두 가지 개념을 모두 수용하여 판소리를 ‘많은 사람이 모인 자리에서 일관된 줄거리의 이야기를 다양한 소리로서 통일성 있게 엮은 공연양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판을 구성해 공연하는 행위자는 창자와 고수뿐 아니라 청중도 포함한다. 고수는 북으로 반주를 하며 적절한 추임새를 넣음으로써 반주자와 연출자의 역할을 한다. 창자는 북 반주에 맞추어 창과 아니리, 발림으로 이야기를 엮는데 이 과정에서 해설자와 배역의 기능을 동시에 가진다. 청중은 진행상황에 따라 적절한 추임새를 하며 작품완성에 개입한다. 청중이 적극적으로 작품에 관여하는 형태는 서양의 공연예술과 구별되는 부분으로 특기 할만하다.
판소리는 문학, 음악, 연극의 요소가 복합된 종합예술이다. 때문에 하나의 장르로 귀속할 수 없다. 문학으로서의 판소리 사설(辭說)은 장르면에서 서정, 서사, 희곡이 복합되어 있으며 언어면에서는 서민언어와 양반언어가 복합되어 있다. 음악으로서의 판소리 창은 장르면에서 민요, 잡가, 무가 등이 복합되어 있고 소리의 측면에서는 각종 민요, 잡가, 무가의 가락, 독서성, 한시창, 독경소리, 축문 읽는 소리, 염불소리, 귀곡성, 각종 의성어 등 각가지 소리가 복합되어 있다.
참고문헌
김진영ㆍ김현주, 『춘향가』, 박이정, 1996

김현주, 「판소리의 多聲性, 그 문체적 성격과 예술․사회사적 배경」,판소리 硏究 제13집, 2002

송태호, 「판소리의 장르 연구」, 한국언어문학 제31집, 1993

정노식, 『조선창극사』, 동문선, 1994

최동현, 『판소리란 무엇인가』, 에디터, 1994

최동현, 『판소리 연구』, 문학아카데미사, 1991

최동현, 『판소리 이야기』, 안동, 1999

최동현, 「판소리 춘향가의 사적 전개와 양식적 특징」, 고전희곡연구 제6집, 2003

최진형, 『판소리의 미학과 장르 실현』,보고사, 2002

판소리 학회, 『판소리의 세계』, 문학과 지성사, 2000

한국고전편집위원회, 『춘향전』, 장락,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