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형태론] 국어의 공시적 기술과 형태소의 분석

 1  [국어형태론] 국어의 공시적 기술과 형태소의 분석-1
 2  [국어형태론] 국어의 공시적 기술과 형태소의 분석-2
 3  [국어형태론] 국어의 공시적 기술과 형태소의 분석-3
 4  [국어형태론] 국어의 공시적 기술과 형태소의 분석-4
 5  [국어형태론] 국어의 공시적 기술과 형태소의 분석-5
 6  [국어형태론] 국어의 공시적 기술과 형태소의 분석-6
 7  [국어형태론] 국어의 공시적 기술과 형태소의 분석-7
 8  [국어형태론] 국어의 공시적 기술과 형태소의 분석-8
 9  [국어형태론] 국어의 공시적 기술과 형태소의 분석-9
 10  [국어형태론] 국어의 공시적 기술과 형태소의 분석-10
 11  [국어형태론] 국어의 공시적 기술과 형태소의 분석-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형태론] 국어의 공시적 기술과 형태소의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머 리 말

2. 논문요약
2. 1. 서 론
2. 2. 본 론
2. 3. 결 론

3. “-는-” 처리에 대한 다른 견해

4. 맺 음 말
본문내용
1. 머 리 말

형태소의 분석은 공시적인 단위로 쓰일 때만 분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데, 이 때문에 직관적으로 분석될 것 같은 형태소도 실제로는 분석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런 태도와는 달리 형태소를 가능한 한 극한까지 분석하는 태도를 보이는 논의들도 있는데, 임홍빈(1982), 서태룡 등이 그러하다. 극한적 분석 입장을 견지하게 되면 모든 복합요소를 공시적인 쓰임과 무관하게 극단까지 분석하게 된다. 이런 분석태도는 객관적인 분석방법으로 사용되기는 어렵지만 그 요소의 어원이나 통시적인 변화를 밝히는 데에는 도움이 되며, 결국 분석방법은 분석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는 뜻이 된다.
본고에서 다루게 될 남기심의 「국어의 공시적 기술과 형태소의 분석」(1982)에서 그는 “-는-”을 분석함으로써 그것이 하나의 형태소를 구성할 수 있는가를 밝히고, 나아가 극한 분석의 타당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논지를 펼치고 있다.

2. 논문 요약

남기심의 「국어의 공시적 기술과 형태소의 분석」은 1982년 발표된 논문으로써, 학회지『배달말』제 7권에 수록되어 있다. 그는 “-는-”의 쓰임을 네 가지로 나눈 뒤 그 중 관형사형의 “-는-”은 제외하고 나머지는 후행하는 어미에 결합된 형태로 볼 것을 주장하였다. 형태소의 공시적 기술과 문법의 간결성에 그 설명의 초점을 맞추었으며 현대 서울 방언을 대상으로 하여 논지를 펴고 있다.
참고문헌
고영근 (1965), 「현대국어 서법체계에 대한 연구」, 국어연구 제 15호
(1978),「형태소의 분석한계」언어학 제 3권, 한국언어학회
(1992),「형태소란 도대체 무엇인가?」
(2004),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태학사
구본관 (2003),「형태론의 연구사」, 한국어문법론의 연구현황과 과제, 박이정
남기심 (1972),「현대국어 시제에 관한 문제」, 국어국문학 55~57 합병호
(2006),「국어학연구의 문제점」,『배달말』제 7권, 배달말학회
서태룡 (1981),「문법형태소 중심의 통사론 연구에 대하여」, 한국학보 25
이익섭 (1999), 국어문법론강의, 학연사
임홍빈 (1982),「기술보다는 설명을 중시하는 형태소의 기능 정립을 위하여」, 한국학보 26
최현배 (1955), 우리말본, 정음사
허 웅 (1975), 우리 옛말본, 샘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