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

 1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1
 2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2
 3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3
 4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4
 5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5
 6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6
 7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7
 8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8
 9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9
 10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10
 11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11
 12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12
 13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13
 14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14
 15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15
 16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16
 17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17
 18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18
 19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19
 20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산문교육론] 전기소설 분석 및 비평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품 소개 및 연구사
1) 작품 소개
2) 연구사
3) 정 리
2.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과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의 구성
1)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2)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
3. 등장 인물에 대한 소개
4. 작가와의 인터뷰
5. 오늘날의 문화컨텐츠에서 전기소설이 어떻게 재창조되는가?
1) 원전의 시대와 공간을 현대로 변용
2) 원전의 시대와 공간을 그대로 수용하면서 재창작
3) 매체의 변용
4) 전기소설이 재창작되는 이유
6. 비평적 글쓰기
1) 남자의 사랑
2) 죽거나 혹은 사랑하거나
본문내용
1. 작품 소개 및 연구사

1) 작품 소개

일반적으로 󰡔금오신화(金鰲新話)󰡕는 우리 나라 최초의 한문 소설집으로 알려져 있다. 완본은 전해지지 않으며, 다섯 편(「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의 작품이 일본에서 목판본으로 최남선에 의해 발견되어 소개되었다. 󰡔금오신화󰡕는 명나라 구우(瞿佑)가 지었다는 󰡔전등신화󰡕와 유사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아 두 작품이 영향 관계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현전하는 󰡔금오신화󰡕에는 다섯 편의 전기(傳奇) 소설이 등장하고 있으며, 몇 가지 구성상의 특징도 엿보이고 있다. 주인공이 뛰어난 재능을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 뜻을 펼치지 못한다는 점, 일상적인 경험의 세계를 뛰어 넘는 초현실적인 상황과 사건이 많다는 점, 그리고 인물이나 지명 또는 시대적 배경이 모두 우리나라라는 점, 이와 더불어 이야기 곳곳에 시가 삽입되어 주인공의 심리적 정황을 극대화 시키고 있는 점 등이 구성상의 특징으로 지적될 수 있다.

2) 연구사
참고문헌
김대행 외(2000), 󰡔문학교육원론󰡕 ,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대행 외(2000), 󰡔문학교육원론󰡕 ,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별아(2005), 󰡔미실󰡕, 문이당.
김태준(1939), 󰡔증보 조선소설사󰡕, 학예사.
김현룡(1976), 󰡔한중소설설화비교연구󰡕, 일지사.
박성의(1958), 󰡔한국고대소설사󰡕, 일신사.
박희병(1997),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율리히벡, 엘리자베트벡-게르샤임(2002), 󰡔사랑은 지독한, 그러나 너무나 정상적인 혼란󰡕, 새물결.
은희경(2003), 「서른 살의 강」, 󰡔타인에게 말걸기󰡕 , 문학동네.
장덕순(1975), 󰡔한국문학사󰡕, 동화문화사.
전경린(2006), 󰡔언젠가 내가 돌아오면󰡕, 이룸.
정주동(1965), 󰡔매월당 김시습 연구󰡕, 신아사
조동일(1977),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조윤제(1963), 󰡔한국문학사󰡕, 탐구당
최남선(1927), 「금오신화 해제」, 󰡔계명󰡕 19, 계명구락부.

김수성(1994), 「금오신화와 전등신화의 비교 연구」,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서유경(2006), 「귀신 등장 이야기의 문화적 변화와 문학교육」, 󰡔문학교육학󰡕 19, 한국문학교육학회
심치열(2003), 「의 현대적 계승과 변용 연구」, 󰡔고소설연구󰡕 16, 한국고소설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