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 변화

 1  [문학]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 변화-1
 2  [문학]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 변화-2
 3  [문학]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 변화-3
 4  [문학]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 변화-4
 5  [문학]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 변화-5
 6  [문학]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 변화-6
 7  [문학]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 변화-7
 8  [문학]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 변화-8
 9  [문학]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 변화-9
 10  [문학]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 변화-10
 11  [문학]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 변화-11
 12  [문학]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 변화-12
 13  [문학]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 변화-13
 14  [문학]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 변화-14
 15  [문학]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 변화-15
 16  [문학]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 변화-16
 17  [문학]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 변화-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II.. 본 론

1.동인지 종류와 양상
2. 『창조』
2-1. 동인지『창조』발간의 의의
2-2. 『창조』의 작가와 작품의 성격
1) 소설 ㅡ 전영택과 김동인
2) 시 ㅡ 주요한
2-3. 『창조』가 가지는 의의
3. 『폐허』
3-1. 『폐허』에서 나타난 시대 인식
3-2. 『폐허』의 작품, 작가와 그의 성격
1) 공초(空超) 오상순 - 허무함
2) 초몽(草夢) 남궁벽의 자연에 대한 예찬
3) 상아탑(象牙塔) 황석우의 상징주의
3-3. 『폐허』가 가지는 의의
4. 『백조』
4-1.『백조』동인지의 구성과정
4-2. 『백조』동인의 문학적 성향
1) 로작 홍사용의 작품세계
2) 월탄 박종화의 작품세계
3) 빙허 현진건의 작품세계
4-3. 『백조』동인지의 문학사적 의의

III. 결 론

본문내용
I. 서 론

동인지 문학이 전대와 구분되는 가장 뚜렷한 차이점을 찾자면 바로 역사와 문학에 대한 인식의 차이일 것이다. 이것은 당시 시대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개화기 이후 일제와 서구 문물의 유입으로 인해 대두된 애국 계몽 운동의 확산으로 민족지도자들은 민중 계몽을 위하여 그 수단을 출판으로 하여 문화운동을 펼친다. 그리고 1910년대 한일합방에 의해 나라를 잃게 되고, 그 당시 일본유학파 출신의 지식인들은 그러한 시대상황을 타파 하고자 사회 진화론적 사상을 내세우며, ‘실력 양성 운동’을 펼치기 시작한다. 그들은 ‘아는 것만이 나라를 구하는 것이며 지식의 추구야 말로 부국강병의 길’이라고 믿고 문화 운동을 주도해 나가기 시작하는데, 이들의 사상에는 민족을 위한 개인이 있을 뿐이며, 문학 작품 또한 민족 계몽을 위한 수단의 한 부분으로써 인식한 것이었다.
하지만 1920년대에 이러한 지식의 추구만으론 사회 전반에 걸친 부조리를 고쳐 낼 수 없다는 인식에 민족적인 개인을 벗어나 그것을 초월한, 그 각각의 주체로서의 개인에 대한 자각을 한 것이 바로 동인들이다. 동인지가 나타나데 있어 가장 큰 시대적 사건은 3·1운동일 것 이다. 3·1운동은 동인지가 나타나는데 있어 기초가 되는 시대적 · 제도적 · 사상적 배경 등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3·1운동으로 인하여 시작된 ‘문화통치’는 조선인의 정신적 개조라는 목표로, 언론과 출판 등의 암흑기였던 이전시기와는 달리 조선인의 언론·출판활동이 허용되었던 시기이다. 그리하여 1920년에는 조선일보, 동아일보, 시사신문의 3개의 일간지가 허가를 받은 데 이어 약간의 문예잡지가 발행 허가를 받게 되었다. 이러한 다소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순수예술을 지향하는 문학은 식민지 제도 안에서 허용될 수 있었다.
참고문헌
김영민, 『동인지 창조와 한국의 근대소설』, 한국문학연구학회, 2001
김용직 외, 『문예사조』, 문학과 지성사, 1998.
김윤식, 『염상섭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7
김한호, 『백조 문학의 이해』,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4.
상허학회, 『1920년대 문학의 재인식』, 깊은샘, 2001
상허학회, 『1920년대 동인지 문학과 근대성 연구』, 깊은샘, 2000
윤병로, 『미공개월탄일기평설 박종화와 삶과 문학』,성균대학출판부, 1998.
윤병로, 『한국 근․현대문학사』, 명문당, 2000
윤병로, 『한국현대소설의 탐구』, 한국학술정보, 2001
이해랑, 『韓國文學史』, 大韓民國藝術院, 1984
장석주, 『20세기 한국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0
진설아, 『1920년대 동인지 문학 연구』, 석사논문, 2005
차혜영, 『한국 근대 문학제도와 소설양식의 형성』, 도서출판 역락,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