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학, 무가, 무속, 구비문학] 서사무가 바리공주

 1  [민속학, 무가, 무속, 구비문학] 서사무가 바리공주-1
 2  [민속학, 무가, 무속, 구비문학] 서사무가 바리공주-2
 3  [민속학, 무가, 무속, 구비문학] 서사무가 바리공주-3
 4  [민속학, 무가, 무속, 구비문학] 서사무가 바리공주-4
 5  [민속학, 무가, 무속, 구비문학] 서사무가 바리공주-5
 6  [민속학, 무가, 무속, 구비문학] 서사무가 바리공주-6
 7  [민속학, 무가, 무속, 구비문학] 서사무가 바리공주-7
 8  [민속학, 무가, 무속, 구비문학] 서사무가 바리공주-8
 9  [민속학, 무가, 무속, 구비문학] 서사무가 바리공주-9
 10  [민속학, 무가, 무속, 구비문학] 서사무가 바리공주-10
 11  [민속학, 무가, 무속, 구비문학] 서사무가 바리공주-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민속학, 무가, 무속, 구비문학] 서사무가 바리공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본문
2.1 무가
2.1.1 무가의 특징
2.1.2 무가의 기능
2.2. 서사무가
2.2.1. 서사무가의 특징
2.2.2. 본풀이의 가창
2.3. 바리공주
2.3.1. 오구굿
2.3.2. 바리공주의 내용
2.3.3. 바리공주의 특징
2.3.4. 바리공주의 유형 분류
2.3.5. 바리공주의 순차적 구조
2.3.6. 바리공주의 대립적 구조
2.3.7. 바리공주를 통해 살펴 본 서사 무가의 특징
2.3.8. 바리공주와 다른 서사장르와의 관련성
3. 맺음말
본문내용
‘신’은 인간의 나약함이 창조해 낸 존재이다. 인간은 신에게 의지하고 기원함으로서 자신의 고난과 위기를 극복하려 한다. 그런데 지금, 우리가 믿고 있는 신은 누구인가? 어느 날부턴가 한국인의 마음속에는 서양의 신이 자리 잡고 있었고 한국의 신을 믿는 것은 미신이라 여기었다. 예배를 드리고 불경을 드리는 것은 신성한 것인데 굿을 하는 것은 미신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굿을 드리는 신성한 제의와 그 대상인 전통 신 까지 모두 헛된 것, 믿지 말아야 할 것, 요사스러운 것으로 취급되었다. 이렇게 타박을 받는 현실에도 불구하고 우리 신의 내력담은 전승자의 입에서 입으로 구전되고 있다. 이때 전승자는 하늘과 땅을 잇는 매개인 무당으로 그들은 우리 신의 역사를 지키고 있는 것이다. 특히 서사적 유형의 무가는 인간과 지상 만물의 창조도 나타나기에 우주의 근원에 대한 우리 선조의 인식을 살펴 볼 수 있기에 중요한 유산이므로 반드시 연구하고 보존할 가치가 있다.
여기에서는 전국적으로 전승되고 있는 무조신 바리공주의 서사 구조에 대해 살펴봄으로서 우리의 전통적인 신은 어떠한 모습을 하고 있는지, 어떻게 태어나고 어떠한 과정을 거쳐 신이 되었는지 알아보고, 우리 삶의 인식이 어떻게 드러나 있는지 살펴보겠다.
참고문헌
김승찬•곽진석•류종목•박경수•이헌홍•정상진•한태문•황경숙,『한국구비문학론』, 새문社, 2003
김열규•김태곤•서대석•이상일•황루시•로랠 켼달,『한국의 무속문화』, 박이정, 1998
김의숙•이창식,『구비문학이란 무엇인가』, 푸른사상, 2004
김진영•홍태한,『바리공주 전집1』, 洪起元, 1997
이경엽,『무가문학연구』, 박이정,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