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비평] 이생규장전 분석 및 분석심리학

 1  [문학비평] 이생규장전 분석 및 분석심리학-1
 2  [문학비평] 이생규장전 분석 및 분석심리학-2
 3  [문학비평] 이생규장전 분석 및 분석심리학-3
 4  [문학비평] 이생규장전 분석 및 분석심리학-4
 5  [문학비평] 이생규장전 분석 및 분석심리학-5
 6  [문학비평] 이생규장전 분석 및 분석심리학-6
 7  [문학비평] 이생규장전 분석 및 분석심리학-7
 8  [문학비평] 이생규장전 분석 및 분석심리학-8
 9  [문학비평] 이생규장전 분석 및 분석심리학-9
 10  [문학비평] 이생규장전 분석 및 분석심리학-10
 11  [문학비평] 이생규장전 분석 및 분석심리학-11
 12  [문학비평] 이생규장전 분석 및 분석심리학-12
 13  [문학비평] 이생규장전 분석 및 분석심리학-13
 14  [문학비평] 이생규장전 분석 및 분석심리학-14
 15  [문학비평] 이생규장전 분석 및 분석심리학-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비평] 이생규장전 분석 및 분석심리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작품의 개괄적 소개

2. 이생규장전 분석
(1) 작가의 삶과 사상
(2) 금오신화의 창작과 전래
(3) 소설사적 위상
(4) 서사구조와 전개양상
(5) 이생규장전의 우의성

3. 분석심리학으로 읽어보기
(1) 분석심리학의 궁극적 관심
(2) 이생, 담장 안에서 自己를 보다
(3) 主人公과 作者의 관계
(4) 적극적인 여인과 소극적인 이생

4. 비평
(1) 성 윤리적 측면에서
(2) 적극적인 여성상
(3) 생존이냐, 절의냐
(4) 김시습의 궁극적 저작 의도
본문내용
1. 이생규장전 소개

작자 김시습
출전 금오신화(金鰲神話)
연대 조선 세조 때
형식 한문소설, 단편소설
갈래 전기소설, 염정소설, 명혼소설, 시애소설
성격 낭만적, 전기적, 비극적, 환상적
특징 비현실적이고 환상적인 내용
한문 문어체로 사물을 미화시켜 표현
시를 삽입하여 등장인물의 심리를 효과적으로 전달
배경 시간적 - 공민왕 때
공간적 - 송도
주제 죽음을 초월한 남녀 간의 사랑


2. 이생규장전 분석

(1) 작가의 삶과 사상

☑ 김시습 [金時習, 1435~1493]

생육신의 한 사람인 조선 전기의 학자이다. 유불(儒佛) 정신을 아울러 포섭한 사상과 탁월한 문장으로 일세를 풍미하였다. 금오산실에서 한국 최초의 한문소설 《금오신화》를 지었고 《탕유관서록》, 《탕유관동록》등을 정리했으며 《산거백영》을 썼다.
본관 강릉
호 매월당·동봉·청한자·벽산
별칭 법호 설잠, 시호 청간
활동분야 문학
출생지 서울
주요저서 《금오신화》《산거백영》


☑ 김시습의 생애
● 한미한 무반 가문의 후예로서 일찍이 어머니를 여의고(15세) 외가에 의탁
부친의 중병으로 가사마저 어려웠지만, 당대의 석학들에게 수학
과시(科試)에 낙방한데다가 세조가 왕위를 찬탈하자 이에 큰 충격
참고문헌
김병규, “「이생규장전」의 교수-학습 방안”, 전남대학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2007.
정상진, “의 교육적 대상과 의의”, 『교육논총』5 (2003).
이대형, “의 서사방식”, 연세어문학 제30·31호 합집 (1999).
김혜숙, “이생규장전, 그 寓意의 內幕”, 울산어문논집 제3집 (1987.6).
설중환, “이생규장전 분석심리학으로 읽어보기”, 『한국학연구』21 (2004.11).
김현룡, “「李生窺牆傳」과 鄭顯祖 奴女 說話”, 建國語文學 第9·10合輯.
최연희, “愛情 傳奇小說에 나타난 사랑과 죽음”,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임수진, “「금오신화」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와 來世觀,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최용철, “금오신화의 판본”, 국학자료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