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

 1  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1
 2  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2
 3  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3
 4  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4
 5  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5
 6  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6
 7  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7
 8  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8
 9  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9
 10  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10
 11  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11
 12  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12
 13  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13
 14  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14
 15  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15
 16  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16
 17  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17
 18  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18
 19  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피터드러커 New society 1-3장 요약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제 1부 산업적 기업

1. 새로운 사회질서
1.1. 대량생산의 원리
1.2. 의사소통의 확립

2. 현대 사회의 기업
2.1. 기업은 하나의 제도2.2. 사회의 거울로서의 기업
2.3. 경영과 소유의 분리
2.4. 산업사회는 다원주의 사회

3. 기업의 해부3.1. 산업적 기업의 성질
3.2. 새로운 계층
3.3. 기업의 3중적 특성
3.4. 공장공동체

4. 손실회피의 원칙
4.1. 손실의 중요성
4.2. 산업생산의 미래비용
4.3. 석유없는 유정
4.4. 손실회피와 사회적이익

5. 생산성 향상의 원칙5.1. 산업이전 경제에서의 변화
5.2. 산업경제에서의 확장
5.3. 생산성 향상의 네가지 방법

6. 수익성과 실적6.1. 수익성은 기업활동과 정책의 제 1원칙6.2. 스스로의 변화: 산업사회의 법적, 정치적구조와 무관
6.3. 현재소득의 현재비용과 미래비용의 충당여부: 이윤분배와 무관
6.4. 수익성은 기업스스로와 사회에 대한 책임의 표현

제 2부 산업질서의 문제_경제적 대립

7. 임금분쟁의 진정한 문제
7.1. 임금은 진정한 문제인가?
7.2. 현재비용으로서의 임금
7.3. 소득으로서의 임금8. 생산성 향상에 대한 근로자의 저항
8.1. 생산성 향상에 대한 반감
8.2. 생산성 향상8.3. 근로자의 저항

9. 이윤에 대한 반감9.1. 이해에 대한 오해
9.2. 착취로서의 이윤
9.3. 임원의 봉급과 이윤문제
9.4. 필요한 것은 더 많은 이윤
9.5. 갈등의 해결책은 부

제 3부 산업질서의 문제_경영진과 노조

10. 통치기구로서의 경영진의 정당성10.1. 경영진은 기업의 필요성에 대한 목적함수
10.2. 소유권과 통제권의 분리
10.3. 계몽전제주의로의 회귀

11. 노동조합주의는 살아남을 수 있는가11.1. 노동조합
11.2. 노조조의의 한계
11.3. 노조의 구조적 문제

본문내용
제 1부 산업적 기업

1. 새로운 사회질서

1.1. 대량생산의 원리

대량생산은 산업혁명 이후 진행된 사회질서의 주요한 변화 중 가장 대표적이다. 산업주의의 기본원리들은 대량생산 체제 안에서 성숙했으며, 또한 보편화 되었다. 대량생산 원리 속에서 우리는 전기 산업사회의 전통적인 사회질서에 대한 해결책 뿐 아니라 사회조직의 새로운 원리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대량생산의 핵심은 전문화와 통합 두 가지 개념에 있다.
전문화란 거의 모든 인간 활동의 기초가 되는 분업이라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두 사람 이상의 노동에 의존하는 모든 생산 활동은 통합에 의존하고 있다.
전문화에 대한 오래된 개념과 새로운 개념의 차이를 말하자면 과거에는 하나의 활동이 개인이나 국가가 생산하기에 가장 적합한 한 가지 제품만 만들어내도록 한정된다면 그 활동이 곧 전문화라고 볼 수 있었다. 장인 한명이 하나의 신발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현대에는 대량생산 체제 안에서 전문화된 숙련 기술을 가진 사람이 없다. 오늘날에는 며칠간의 짧은 훈련을 거치면 자동설비가 완비된 공장에서 숙련된 작업자가 될 수 있다.
대량생산 체제의 조직에서 개별 노동단위는 생산물이라고 볼 수 없다. 하나의 작업이 곧 노동의 단위다. 따라서 오직 공장이라는 조직만이 생산물을 만들어 낼 수 있을 뿐이다.
이렇게 생산물을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개별 작업이나 하나의 단일동작에 의해 노동을 분리하는 새로운 의미의 전문화는 오늘날 산업의 지배적인 원리가 되었다.
앞서 말한 전문화는 각자가 정해진 작업 또는 동작에 얽매여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새로운 전문화라는 개념에서는 그 누구도 생산물을 만들어내지 않는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