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1980년대 시문학(무크지와동인지를 중심으로)

 1  [현대문학] 1980년대 시문학(무크지와동인지를 중심으로)-1
 2  [현대문학] 1980년대 시문학(무크지와동인지를 중심으로)-2
 3  [현대문학] 1980년대 시문학(무크지와동인지를 중심으로)-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 1980년대 시문학(무크지와동인지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머리말

Ⅱ.몸말

1.부정기 간행물(무크지)

2.동인지

Ⅲ.맺음말
본문내용

Ⅰ.머리말
70․80년대의 우리 문학은 ‘민중(민족)문학의 시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민중문학이 대세를 이루었다. 민중문학이란 작품의 창작과 수용 주체, 그리고 그 내용이 민중적인 문학을 말하는데 이 민중문학은 1970년대 초에 우리 문학사의 전면에 떠올라 80년 5월 광주민주화 운동을 겪으면서 보다 과학화되고 풍요로워졌다고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80년대는 ‘시의 시대’로 불려질 만큼 우리 문학사상 어느 시기보다 많은 수의 시인들이 대거 문단에 등장했고 시가 양적으로 봇물처럼 터져 나온 시대였다. 80년대 문학은 80년 5월 피의 광주 사태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80년대 문학(민중문학)의 특징에 대해서 간략하게 언급해두자면 첫째, 노동자․농민․도시빈민 등 민중기층계급의 생활정서와 이들의 역사의식을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 둘째, 통일론에 대한 관심이 문학에서 고조되었다는 점. 셋째, 당대주의적 반역사성을 띤 지배계층과 대립관계에 설 수밖에 없었다는 점. 넷째, 재래식 문학 양식으로서의 시․소설․평론 등의 서구적 분류에서 탈피한다는 점.(→즉 노래마당을 비롯해 굿 등으로 문학적 표현매체와 방법론에서 해방됨.) 마지막으로, 문학성이나 이론만을 위한 문학이 아니라 투쟁을 위한 운동으로서의 문학이라는 점등을 들 수 있겠다. 80년대에 들어와서 70년대 내내 우리 문학과 문화의 중심적인 토론의 장 역할을 해오던 문학계간지 『창작과 비평』,『문학과 지성』, 그리고『뿌리깊은 나무』,『씨알의 소리』,『대화』등이 강제 폐간되는 것과 같이 문학은 정치․사회적인 압박을 강하게 받게 된다. 이들 잡지의 폐간은 어떤 의미에서 참된 우리 문학의 공백을 초래하게 되었고, 이 공백을 메우려는 여러 가지 문학적 시도 및 징후들이 80년대 (민중)문학의 전개로 이어지는데 부정기 간행물(mook)운동, 동인지 운동, 지역문학 운동 등에서 시작하여 장르확산 논의를 거치면서 후반기의 교육시․여성시 운동, 민족문학 주체 논쟁, 리얼리즘 논쟁 등으로 마감된다. 그 중에서도 80년대 한국 문학의 양상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동인활동(동인지 운동)과 부정기 간행물(무크운동)의 융성이라 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무크지(부정기 간행물)와 동인지의 실태를 중심으로 80년대 시문학의 양상을 짚어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백낙청,『한국문학의 현 단계Ⅲ』,창작과비평사,1984.
정과리,『문학,존재의 변증법』,문학과지성사,1985.
정지창,『민중문화론』,영남대출판부,1993.
장석주,『20세기 한국문학의 탐험』,시공사,2000.
원재길,「80년대 문학 종합 무크지의 실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