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마케팅]설화수 사례를 통해서 본 화장품 시장의 디자인 핵심역량(A+리포트)

 1  [마케팅] [마케팅]설화수 사례를 통해서 본 화장품 시장의 디자인 핵심역량(A+리포트)-1
 2  [마케팅] [마케팅]설화수 사례를 통해서 본 화장품 시장의 디자인 핵심역량(A+리포트)-2
 3  [마케팅] [마케팅]설화수 사례를 통해서 본 화장품 시장의 디자인 핵심역량(A+리포트)-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마케팅] [마케팅]설화수 사례를 통해서 본 화장품 시장의 디자인 핵심역량(A+리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설화수 브랜드 컨셉

2. Design Philosophy

3. 문화마케팅

4. Brand Power - 설화수
본문내용
설화수 브랜드 컨셉

설화수(雪花秀)는 1997년 출시되어 2004년 리뉴얼된 고기능 한방 브랜드로 35세 이후 골든 에이지 층을 겨냥한 화장품이다. 골든 에이지 층은 사회·경제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무엇보다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여성들을 지칭한다. Brand Name은 눈꽃처럼 화사하고 아름다운 젊음을 지켜줌, 설화보다 더 뛰어난 한방제품을 의미하고 있다. 설화수는 한방 화장품 시장을 확보하기 위해 고급 한방 브랜드를 개발하면서 탄생하게 되었다.
설화수는 아모레퍼시픽에서 가장 비싸고 럭셔리한 화장품으로 설화수 개별 브랜드 하나로 5,000억 원대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설화수는 국내에서는 명품 브랜드로 자리 잡았지만 아직 글로벌 시장에서는 명품이라고 말하기는 힘들 것이다. 아모레퍼시픽은 글로벌 Top 10 진입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다.
설화수는 자음효과를 통해 피부, 마음, 몸을 조화롭게 가꾸어 주는 한방 브랜드이다. 피부노화를 근본부터 개선해 주는 한방 안티에이징 브랜드로 정통 한방 의학에 근거하여 경희대 한의대와 공동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한방 생약 화장품이다. 설화수의 효과는 음(陰) 부족으로 인해 기능이 저하되는 신체의 내, 외면에 음을 보충(자음:滋陰)함으로써 피부 노화를 근본적으로 개선해 준다. 설화수의 성분은 옥죽, 백합, 참작약, 연꽃, 자황의 5가지 한방생약을 약한 불로 18시간 이상 우려내어 만든 ‘자음단(滋陰丹)을 기본으로 제품별로 인삼, 은행잎, 치마버섯, 감초, 대추, 대황 등의 한방생약을 처방하고 있다. 설화수의 미용법은 손으로 직접 바르면서 기(氣)의 효과를 피부와 마음의 깊은 곳까지 전달하는 것이다.

Design Philosophy

설화수 디자인의 철학은 한국적인 미의식의 세계로 설화수 브랜드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 한국의 미는 외형적인 것뿐 만아니라 내면적인 것도 아름다운 것이다. 즉, 내면과 외면이 동시에 아름다워야 비로소 아름다움이 완성된다는 것이 한국의 미학이다. 설화수도 그런 철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화장품을 구매하는 여러 가지 속성 중에 디자인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디자인을 예쁘게 하고 감성적인 터치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항상 기능성과 창의성이 함께 겸비되어야만 혁신적인 디자인이 나올 수 있는 것이다.
설화수의 미의식은 격(格)으로 함축될 수 있다. 불멸의 가치를 지닌 아름다움으로 한국의 미적 가치로의 오름을 상징한다. ‘격’의 경지는 ‘휘(輝)’, ‘비(飛)’, ‘담(淡)’, ‘결’ 즉 4대 요소가 조화를 이루었을 때 비로소 완성된다.
휘(揮) - 맑고 은은한 빛을 뜻하며 우주의 질서와 아름다움을 다스리는 빛이다. 우리 정서 내면에 존재하고 있는 근원적인 빛의 이미지로 투명하고 맑은 우리 자연과 어우러지며 존재하는 은은한 빛깔이다.
비(飛) - 내면의 가치인 비(飛)는 쉼과 비움의 순환, 미의식의 본성을 뜻하며 자신의 존재와 내 안에 감춰진 아름다움의 존재를 믿는 것으로 형식적인 아름다움의 짐을 벗고 내면에 덕을 쌓아 몸과 마음이 날듯이 가벼워지는 것이다. 형식적인 아름다움에 스트레스를 받으면 오히려 아름다워질 수 없다. 자기 스스로 가장 아름답다고 생각하고 형식의 짐, 스트레스를 벗어버리면 자신의 아름다움이 믿어지고 몸과 마음이 날듯이 가벼워진다. 그래서 그런 이미지를 설화수가 추구하고 있다.
담(淡) - 담은 대표적인 동양사상의 키워드이다. 단아한 아름다움의 담(淡)은 정숙하고 기품이 배어 있는 멋이다. 욕심 없고 꾸밈새 없는 심상, 화려하지 않은 모양새로 정적이고 단아한 선으로 완성하는 동양적 아름다움이 담(淡)인 것이다. 우리나라의 여러 가지 공예품, 청자 등에서 느껴지는 담의 선이 있다.
결 - 어떤 공예품이나 작품을 장인이 만들었을 때 완성된 순간이 100% 아름다움은 아니다.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 시간이 오래 지나면서, 세월이 지나면서 손때가 묻어나면서 비로소 아름다움이 완성된다. 세월을 머금은 기다림인 ‘결’은 형태와 색채 안에 시간의 연륜이 배어나온다. 손 때와 손 맛, ‘우리 것’이 전하는 과거로부터 미의식과 시간적 가치가 담겨 있고 우리 옛 선인들이 누대에 걸쳐 쌓아온 공력과 정성이 스며있는 아름다움이 결이다.

하고 싶은 말
본 자료는 신촌 Y대 경영대학 [마케팅]수업 중간과제로 제출하여 A+를 받았던 리포트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목차 및 내용요약을 참고하시고 많은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