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교육 한국의 미래 교육] 사이버 교육과 한국의 미래 교육방향

 1  [사이버교육 한국의 미래 교육] 사이버 교육과 한국의 미래 교육방향-1
 2  [사이버교육 한국의 미래 교육] 사이버 교육과 한국의 미래 교육방향-2
 3  [사이버교육 한국의 미래 교육] 사이버 교육과 한국의 미래 교육방향-3
 4  [사이버교육 한국의 미래 교육] 사이버 교육과 한국의 미래 교육방향-4
 5  [사이버교육 한국의 미래 교육] 사이버 교육과 한국의 미래 교육방향-5
 6  [사이버교육 한국의 미래 교육] 사이버 교육과 한국의 미래 교육방향-6
 7  [사이버교육 한국의 미래 교육] 사이버 교육과 한국의 미래 교육방향-7
 8  [사이버교육 한국의 미래 교육] 사이버 교육과 한국의 미래 교육방향-8
 9  [사이버교육 한국의 미래 교육] 사이버 교육과 한국의 미래 교육방향-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이버교육 한국의 미래 교육] 사이버 교육과 한국의 미래 교육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사이버스페이스
Ⅲ. 도구적 사이버 교육
Ⅳ. 도구적 사이버 교육의 속성
Ⅴ. 우리나라의 사이버 교육
Ⅵ. 새로운 접근 -문화 공간으로서의 사이버스페 이스, 그리고 사이버 교육
Ⅶ맺음말
본문내용
사이버스페이스

구체적으로 사이버스페이스가 무엇이냐에 대한 정의는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다만 계속해서 벌어지고 있는 사이버 문화의 현상들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는 정보 사회학 쪽에서 시도되는 사이버스페이스에 대한 정의를 이용해 보고자 한다. 민경배(사이버 문화 연구소) 표현을 빌리면 사이버스페이스는 데이터베이스(Data Base), 미디어(Media), 네트워크(Network)라는 세 가지의 모습으로 해석된다.
데이터베이스라는 개념으로 보았을 때, 이전의 수직적이고 폐쇄적인 서버-클라이언트 방식의 비민주적인 정보의 흐름은 수평적이고 개방적 네트워크인 인터넷이라는 거대한 데이터베이스에게 점점 밀려나고 있다. 개개의 네티즌들은 스스로가 정보의 생산자임과 동시에 소비자이며 자기 정보의 관리자로서의 자격을 획득하였다. 데이터에 대한 중앙의 통제와 검열은 사실상 무의미해져 간다. 일단 공개된 디지털 데이터는 순식간에 무한 복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복제된 데이터는 원형 그대로 무수히 재복제가 이루어지고 이렇게 세포 분열된 수많은 데이터들은 복잡하게 얽히고 섥혀 있는 네트워크 속으로 흩어져 버린다. 이제 데이터의 통제와 검열은 오직 개개의 정보 생산자와 소비자의 자기 검열 과정에서만 의미를 갖는다. 말 그대로 정보의 홍수, 정보의 바다인 것이다.
다음으로 미디어로서의 사이버스페이스를 살펴보면, 현실 세계에서는 대중매체가 지배계급의 손에 독점되어 있기 때문에, 대중은 지배계급의 메시지를 일방적으로 수용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사이버스페이스는 현실 세계에서 스스로의 목소리를 낼 수 없는 힘없는 일반 대중들이 기성 매체에 의존하지 않고도 얼마든지 자신의 생각과 메시지를 전지구적 차원으로 전파하고 여론을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제공해 준다. 사이버스페이스를 구성하고 있는 홈페이지, 웹진, 디지털 신문, 게시판 등 다양한 사이트(Site)들은 그 각각이 기성 매체들에 대한 대안 매체로서 사회적 역할을 담당한다. 이런 인터넷의 미디어적인 속성은 다양한 강의나 컨텐츠를 교육 현장에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로서의 개념이 있다. 모뎀은 개개의 컴퓨터 앞에 앉아 있는 사람과 사람을 연결시킨다. 네티즌들은 전자우편을 통해 서로의 의사를 전달하고, 뉴스그룹을 통해 관심 있는 현안을 토론하고, 채팅을 통해 실시간으로 대화를 나눈다. 네트워크로 연결된 전화줄 속에는 디지털 데이터 뿐 아니라 인간들의 감정과 정서, 의견과 사상까지도 비트 단위로 흘러 다니고 있다. 네트워크로서의 사이버스페이스는 첫째, 권위적이고 불평등한 현실 세계의 장벽이 제거된 자유로운 의사 개진과 활발한 토론으로 자발적인 여론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거시적인 정치․경제적 담론으로부터 사사로운 연예계의 뒷소문에 이르기까지 현실 세계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사회적 현안들을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은 채 공론화 시킨다. 셋째, 시공간적 제약 및 성별, 연령, 계층, 인종 등의 사회적 조건을 초월하여 개개의 관심과 이해를 중심으로 한 사이버 공동체의 결성을 촉진시킨다.
민경배는 이 세 가지 개념 규정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로서의 사이버스페이스는 열린 문화를 지향하고 미디어로서의 사이버문화는 대항 문화를 지향하며 네트워크로서의 사이버문화는 공동체 문화를 지향한다. 그리고 대안 문화로서의 사이버 문화의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이상의 3 가지의 사이버스페이스에 대한 개념 중 앞의 데이터베이스와 미디어로서의 사이버스페이스에 대한 개념은 어느 정도 확립된 개념으로, 현재 우리 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는 정보 교육의 배경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고, 마지막의 네트워크 공동체로서의 사이버스페이스는 아직 그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 정보 교육의 내용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우리는 앞으로 글을 전개하면서 앞의 데이터베이스와 미디어로서의 개념이 뒷받침하는 사이버 교육을 도구적 사이버 교육으로 정의하고 네트워크로서의 사이버 교육을 사이버 사회교육으로 정의하여 사용할 것이다.
참고문헌
정보화사회의 교육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한영훈, 고려대학교
N 세대의 무서운 아이들 / 돈 탭스콧 지음 ; 허운나 ; 유영만 [공역] 물푸레 , 1999.
http://www.keris.or.kr/
정보사회학 강의록, 민경배, 2002.2학기 고려대학교
2001 교육정보화백서,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