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

 1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1
 2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2
 3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3
 4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4
 5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5
 6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6
 7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7
 8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8
 9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9
 10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10
 11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11
 12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12
 13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13
 14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14
 15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15
 16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16
 17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17
 18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18
 19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19
 20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 김지하 `오적`과 군부독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김지하의 생애
3. 당대 시대상.
4. 유신정권 시대의 다른 시인들의 작품.
5. 『오적』본문.
6. 『오적』해석.
6.1 『오적』을 쓰게 된 시대적 배경.
6.2 『오적』을 쓰게 된 직접적인 원인.
6.3 작품 속 인물에 대해서.
7. 시인 김지하가 남진 것들
8. 김지하의 사회사상
9. 오적에서 나타나는 문체들
9.1. 풍자
9.2. 담시
10. 결론.
11.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김지하'란 작가를 모른다고 치더라도 보고서의 제목에서부터 이 작가가 군부 독제와 관련 된 인물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짐작일 뿐 그의 작품과 작가가 생소한 사람들이 많을 거라 생각하고, 우리 3조 에서는 부족하나마 '김지하'와 그의 유명한 작품 중 『오적』을 설명하면서 당대 시대상과 연관시켜 작품을 해석 하려 한다. 김지하의 『오적』을 읽었던 조원들은 시가 서사형식으로 되어있어 읽기 용이하고 쉬우며 재미까지 느껴진다고 말하였다. 우리는 그 조원 말에 동의하면서, 더 나아가 『오적』의 시에서 주는 오락성을 넘어 그 시가 담고 있는 시대 비판적인 정신도 찾아 이를 발표하려한다. 부족하나마 이 보고서를 읽은 독자들에게 조원들이 많은 공을 들여 작정한 보고서이므로 후한 평가를 부탁한다.

2. 김지하의 생애

김지하 : 본명은 영일(英一)이며, 지하(芝河)는 필명으로 '지하에서 활동한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반체제 저항시인
1980년대 중반 이후- 생명사상가로 활동하고 있는 시인이자 사상가

1941년 2월 4일 전라남도 목포의 동학농민운동가 집안에서 탄생
원주중학교 재학 중 천주교 원주교구의 지학순(池學淳) 주교와 인연을 맺은 뒤 서울 중동고등학교에 입학하면서 문학의 길로 들어섬.

1959년 서울대학교 미학과에 입학한 이듬해 4·19혁명에 참가,
민족통일전국학생연맹 남쪽 학생 대표로 활동, 학생운동
5·16군사정변 이후 - 수배를 피해 도피 생활

1963년 3월 《목포문학》에 김지하라는 필명으로 발표한 시〈저녁 이야기〉가 처음으로 활자화
같은 달 2년 동안의 도피 생활을 청산, 복학해 이듬해부터 전투적인 시를 발표.
1964년 6월 '서울대학교 6·3한일굴욕회담반대 학생총연합회' 소속으로 활동하다 체포, 4개월의 수감 1966년 8월 7년 6개월 만에 대학교를 졸업. 번역과 학생 연극에 참여

1969년 11월 시 전문지 《시인》에 5편의 시를 발표, 본격적으로 저항시인
1970년 《사상계》 5월호에 연행과 석방, 도피 생활
1974년 4월 체포되어 군법회의에서 사형선고, 1주일 뒤 무기징역으로 감형
1980년 형 집행정지로 풀려남.

1984년 사면 복권, 저작들도 해금. 1970년대 저작들이 재 간행
민중사상에 독자적 해석을 더해 '생명사상'이라 이름하고 생명운동 시작
변혁운동 진영으로부터 '변절자'라는 비난을 받음
참고문헌
1. 강정구, 「1970~90년대 민족 문학론의 근대성비판」, 국제어문학회, 국제어문 제38집, 2006. 12, pp. 287 ~ 310.
2. 양길승, 「 해방 50주년 기념 기획 : 시로 본 한국 현대사 1970년대-김지하 -그리고-」,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1995년 겨울호(통권 33호), 1995. 11, pp. 206 ~ 213.
3. 윤구병, 「抑壓으로부터의 해방과 詩的 眞實-김지하의 詩에 대한 辯證」, 실천문학사, 실천문학 통권 3호, 1982. 11, pp. 45 ~ 62.
4. 이은정, 「한국 근현대 베스트셀러 문학에 나타난 독서의 사회사- 1960~70년 대 베스트셀러 시에 나타난 독자의 실천적 독서 욕망」, 한국시학회, 한국 시학 연구 제13호, 2005. 8, pp. 219 ~ 244.
5. 한국일보, “ 사상계 필화사건-김지하의 '오적' ”, 2003년 6월 19일자.
6. 김지하, 󰡔오적󰡕, 답게, 2001.
7. 한국일보, “풍자시(諷刺詩)라고?”, 2006년 5월 26일자.
8. http://blog.daum.net/bohemian1953/7983085, “김지하 창작 판소리 `오적`(五賊)”, 2006년 10월 31일.
9. 김지하, 결정본 김지하 시전집-3 오적. 솔출판사.(1993)
10 김지하 , 김지하 전집 제 2편 사회사상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