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화] 중국 방언문화와 푸퉁화(普通話)

 1  [중국문화] 중국 방언문화와 푸퉁화(普通話)-1
 2  [중국문화] 중국 방언문화와 푸퉁화(普通話)-2
 3  [중국문화] 중국 방언문화와 푸퉁화(普通話)-3
 4  [중국문화] 중국 방언문화와 푸퉁화(普通話)-4
 5  [중국문화] 중국 방언문화와 푸퉁화(普通話)-5
 6  [중국문화] 중국 방언문화와 푸퉁화(普通話)-6
 7  [중국문화] 중국 방언문화와 푸퉁화(普通話)-7
 8  [중국문화] 중국 방언문화와 푸퉁화(普通話)-8
 9  [중국문화] 중국 방언문화와 푸퉁화(普通話)-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문화] 중국 방언문화와 푸퉁화(普通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중국의 방언 다양성과 그에 따른 문화 분열의 가능성

2. 언어통일이 필요한 이유
가. 의사 소통 용이
나. 경제 발전
다. 문화적 통합

3. 중국 전체의 통합된 언어를 만들려는 노력
가. 표준어 보급의 역사
나. 정부의 푸퉁화 보급 노력 1
다. 정부의 푸퉁화 보급 노력 2

4. 중국 이중언어 정책에 대한 반대/저항하는 입장

5. 결론 - 푸퉁화 보급도 필요하나 방언 보존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본문내용
1. 중국의 방언 다양성과 그에 따른 문화 분열의 가능성
문화란 어떤 특정 사회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생활양식, 신념, 태도와 그것을 결정하는 그 사회 특유의 의미체계를 말한다. 그러므로 한 집단이 강력한 결속력을 지니기 위해서는 문화를 공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언어는 문화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언어가 곧 문화 그 자체라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에 언어적 차이로 인해 문화의 공유를 통한 국가 결속이 힘든 것이 현실이다. 광대한 영토로 인해 각 지역마다 방언이 심각한 차이를 보인다. 여기서는 언어적 차이로 인한 중국 분열의 가능성을 짚고 넘어갈 것이다. 최영애, [중국어란 무엇인가]

중국 방언들 간의 심각한 차이는 주로 지리적 요인에서 기인한다. 영토가 넓다 보니 거리가 너무 멀어 방언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자면 베이징(北京)방언과 가장 거리가 먼 광둥(廣東)지역의 방언, 푸지엔(福建) 지역 및 타이완(臺灣) 지역의 방언 등에서 심각한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 외에도 양쯔강 같은 거대한 자연 환경이 방언의 차이를 가져오기도 한다.
그렇다면 방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현재 중국의 학자들은 한어(漢語) 방언을 크게 7가지로 구분한다.

가. 관화(官話) 방언: 이 방언지역은 양쯔강 이북 전체지역 및 양쯔강 중상류 이남지역으로운남(雲南)성 귀주(貴州)성 전역과 광서(廣西)성 서북부와 호남(湖南)성의 서북모퉁이까지 포함되는 광대한 지역이다. 관화방언은 사용인구 분포지역도 넓고 사용인구도 한족(漢族) 인구 전체의 70%나 된다. 북경어(北京語)가 대표방언이다.

나. 오(吳) 방언: 이 방언은 강소(江蘇)성에서 양쯔강 이남지역 진강(鎭江) 동쪽지역에서 사용하는데 진강(鎭江)은 官話방언 지역임으로 포함되지 않는다. 그리고 절강(浙 江)성 대부분의 지역이 이 방언지역이다. 吳라는 명칭은 이 지역을 차지했던 옛나라 이름을 딴 것이다. 소주(蘇州)어가 대표방언이며, 사용인구는 8천만여명으로 한족인구의 8.4% 정도로 두 번째로 많이 쓰는 방언이다.그 유명한 상해(上海) 말도 오(吳) 방언에 속하지만, 거주민의 유동성과 다양성으로 인하여 순수성을 많이 잃었기 때문에 대표방언 자리는 上海 바로 옆에 자리잡은 도시 소주(蘇州)어에 내어준다.

다. 상(湘) 방언: 호남(湖南)성에서 서북쪽 모퉁이 일부만 제외한 나머지 전체지역에 분포되어있으며 사용인구는 4천6백여 만 명으로 한족 인구의 5% 정도가 된다. 대표 방언지역은 장사(長沙)이다.

라. 감(贛) 방언: 강서(江西)성의 대부분 지역에 분포돼있다. 양쯔강 남안에 자리한 호북(湖北)성 동남쪽 일부지역도 이 방언지역에 속한다. 남창(南昌)어가 대표방언이며 사용인구 2천여만명 은 한족의 2.4% 정도를 차지한다.

마. 객가(客家) 방언: 이 방언의 명칭은 북방에서 남방으로 이주한 이주민을 가리키는 이름이다. 사용인구는 3천7백여만 명으로 한족의 4% 정도가 되며 광동(廣東)성 동남부에 위치한 매현(梅縣)어가 대표방언지역이다.

바. ⑥粵(월) 방언: 광동(廣東) 말이라고도 한다. 월(粵)은 본래 월(越)과 음과 의미가 같은 글자로 춘추시 대에 존재했던 越나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명칭이다. 광동성의 객가(客家) 방언지역을 제외한 중부와 서남부지역 광서성의 동남부 및 홍콩, 마카오 등지 그리고, 동남아 화교, 북미화교들 대부분이 월(粵) 방언을 사용한다. 5천 만 명 이상의 사용인구로 한족의 약 5% 가량 된다. 대표 방언지역은 광주(廣州)이다.

사. ⑦민(閩) 방언: 복건(福建)성이 주요지역이며, 광동성의 조주(潮州)․산두(汕頭) 지역 해남(海南)성 대부분지역과 절강(浙江)성 남부일부에서 사용하는 방언으로, 이 방언은 중국의 방언 가운데서 가장 복잡하게 여러 갈래로 갈라지며 음도 가장 복잡한 방언이다. 동남아와 남양군도의 화교 중에도 민(閩) 방언을 사용하는 인구가 많으며 타이완은 전체가 閩방언 지역으로 우리가 보통 “대만말”이라고 부르는 것이 바로 민 방언 중에서도 민남(閩南) 방언이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사실은 위의 7가지 방언만 해도 56개 민족 중 하나인 한족의 방언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http://blog.naver.com/smncha?Redirect=Log&logNo=150018695956
이제 이에 덧붙여서 나머지 55개 소수민족의 언어에 대해 표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소수 민족
언어
조선족
조선어 사용.
오로첸족
오로첸어가 있으나 문자는 한자 사용.
다우얼족
다두얼어 사용. 문자는 없음.
만족
만어 사용. 만문자 있었으나 거의 소멸.
어원크족
어원커어 사용. 네가지 방언으로 나뉨.
위구족
야오어 사용.
몽골족
자체 언어 소유.
투족
한어와 장족어 통용.
허저족
허저어 사용.
싸라족
싸라어 사용(한어와 유사).
마오난족
장족어, 한어 사용. 자체 언어 소유.
요족
야오어 사용.
써족
셔어 사용. 두가지 방언 (1:99의 비율)
징족
징어 사용. 한자 사용.
투쟈족
투쟈족어 사용. 오늘날 90%가 한어 사용.
고산족
고산족어 사용.
동향족
몽고어와 유사한 동향어 사용.
보안족
보안족어 소유. 대다수가 한어에 능통.
까자흐족
돌궐어족에 속하는 까자흐족어 사용.
시버족
시보어 사용. 시보 문자 소유.
우즈베크족
우즈베커어 사용. 평상시 위구르어 사용.
로씨야족
로씨아어 소유. 대부분 한어 사용.
끼르끼즈족
끼르끼즈족어 사용.
따지크족
따지크족어 사용. 위굴문 사용.
위구르족
위구르족어 사용.
타타얼족
타타얼어 사용. 이외 두 가지 언어 통용.
챵족
챵족어 사용.
푸미족
푸미족어 사용. 다양한 언어 능통. 한자 사용.
나시족
나씨어 사용.
지누족
요우러, 푸위엔 2가지 방언 사용.
와족
와 방언, 뿌라오커 방언, 아와 방언 사용.
라후족
라후시, 라후나 방언 사용. 보통화 사용.
먼빠족
먼빠어 사용.
장족
장어 사용.
로바족
로바족어 사용.
묘족
묘어 사용. 수많은 방언 존재.
바이족
바이어 사용. 한어 사용.
더앙족
더앙족 고유언어 사용.
아창족
아창족 고유 언어 사용. 한어와 따이족어 사용.
두롱족
두롱족 고유 언어 사용. (네 개의 방언)
뚱족
뚱어 사용. 남북 두 개의 방언.
누족
누족어 사용. (꽁샨, 푸꽁, 삐장 3개 방언)
징퍼족
징포어 사용.
수이족
마오난어 사용.
리수족
리쑤어 사용. (차이가 심한 2개의 방언 존재).
따이족
따이어 사용.
이족
이어 사용.
회족
한어 통용.
하니족
하니족 고유 언어 사용.
부이족
부이족 고유 언어 사용.
쫭족
쭈앙어 사용.
리족
리어 사용. 문자는 없음.
부랑족
부랑족 고유 언어 사용.
무로족
고유 언어 있으나 한어와 장족어 능통.
거로족
거라오어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