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문학] 자본주의 사회 내에서의 `개인의 선`과 `공동의 선`

 1  [독일문학] 자본주의 사회 내에서의 `개인의 선`과 `공동의 선`-1
 2  [독일문학] 자본주의 사회 내에서의 `개인의 선`과 `공동의 선`-2
 3  [독일문학] 자본주의 사회 내에서의 `개인의 선`과 `공동의 선`-3
 4  [독일문학] 자본주의 사회 내에서의 `개인의 선`과 `공동의 선`-4
 5  [독일문학] 자본주의 사회 내에서의 `개인의 선`과 `공동의 선`-5
 6  [독일문학] 자본주의 사회 내에서의 `개인의 선`과 `공동의 선`-6
 7  [독일문학] 자본주의 사회 내에서의 `개인의 선`과 `공동의 선`-7
 8  [독일문학] 자본주의 사회 내에서의 `개인의 선`과 `공동의 선`-8
 9  [독일문학] 자본주의 사회 내에서의 `개인의 선`과 `공동의 선`-9
 10  [독일문학] 자본주의 사회 내에서의 `개인의 선`과 `공동의 선`-10
 11  [독일문학] 자본주의 사회 내에서의 `개인의 선`과 `공동의 선`-11
 12  [독일문학] 자본주의 사회 내에서의 `개인의 선`과 `공동의 선`-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독일문학] 자본주의 사회 내에서의 `개인의 선`과 `공동의 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내용분석

- 배경
: 물질에 근거한 개인 간 이해관계가 존재하는 자본주의 사회 및 작품의 내적 배경

- 인물
① 셴테와 슈이타
② 자본주의 사회의 구성원들
③ 물장수 왕과 세 명의 신들

- 브레히트의 타 작품과 연결하여 살펴본
‘정(正)’과 ‘반(反)’의 명제

2) 형식분석

- 서사극적 요소

- 서사극 내의 교육극적 요소

Ⅲ.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Der ‘gute’ Mensch von ‘Sezuan’?

작품 분석의 도입에도 들어가기 전에 ‘사천의 선인’이라는 제목을 화두로 던진 것은, 우리가 이 작품의 집필 배경이나 등장인물 분석에 앞서 이 작품의 모든 것을 대변하고 있는 작품의 제목에 대하여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우리는 토의 과정에서 브레히트가 왜 하필 사천이라는 곳에 셴테와 슈이타, 그리고 나머지 인물들을 가져다 놓았으며, 왜 선인이라는 어휘를 사용한 것인지, 혹은 선인이라는 것이 진짜 작품 내에 존재하는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을 가지고, 제목 한 줄을 놓고서 굉장히 심도 깊은 토론을 진행하였다. 자칫하면 소모적일 수도 있었던 긴 시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 과정을 통하여 작품 전체의 맥락을 보다 더 자세히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었고, 그래서 본론에서 진행되는 작품 분석 과정에서는 ‘사천’이라는 곳을 설정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와, ‘선’의 개념을 중심적으로 다루며 작품에 대하여 살펴보려 한다.
작품에 대하여 간단하게 개괄적인 설명을 언급해 보자면, ‘사천의 선인’은 베르톨트 브레히트가 1920년대 중반에 《사랑의 상품 Die Ware Liebe》이라는 제목의 5개 장면으로 시작한 작품으로서, 1938년부터 1940년 사이에 본격적인 집필이 이루어져 1941년에 마지막으로 개작되었다. 그 후 이 작품은 1943년에 초연되었다. 이는 브레히트의 가장 성공적인 작품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하며, 앞서 언급한 것처럼 시간상으로도 1920년부터 작품 구상이 시작되어 1939년 덴마크 망명 중에 본격적 집필이 재개된 것을 보아 브레히트의 많은 노력이 들어간 작품이라 평가될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한편으로는, 형식과 주제 면에서 희곡의 개방적인 형식이 잘 드러난 ‘비유극’으로서 중국을 배경으로 한 연극적 형식을 빌린 우화라고도 설명할 수 있겠다. 사천성이라는 가공적인 땅에서 일어난 이 허구의 이야기는 관객에게 착함과 삶이 양립할 수 없는 사회의 기구한 모순에 대한 비판을 불러일으키도록 한다.
작가는 주인공을 선인과 악인이라는 대립적인 두 존재로 분열시키는 이화(異化)작용을 기본적인 전략으로 하여 고통 받는 여인의 삶을 심도 있게 형상화한다. 배우는 맡은 배역을 연기하면서 관객을 대상으로 직접 그 삶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그 외에도 셴테-슈이타를 둘러싼 8인 가족 및 다양한 등장인물, 신들과 왕의 양태나 작품의 배경 분석은 ‘사천의 선인’이 가지고 있는 서사극 ․ 교육극적 요소를 보여준다.
우리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요소들의 분석을 통하여 ‘개개인의 선, 개인을 위한 선이라는 것의 존재’에 대한 물음으로 작품의 정(正), 즉 These를 세우고서, 작품에 대한 부정의 변증법 ․ 절망과 희망의 변증법적 설명을 본론에서 시작하도록 하겠다.
작품 내에서는 절대적인 합(合)의 도출 보다는, 도출의 ‘가능성’을 볼 수 있다는 정도로 결론을 내었으며, 이전에 수업시간에 다루었던 브레히트 시와의 연결을 통해서도 희망을 내다보도록 할 것이다.
Ⅱ. 본론

1) 내용분석

- 극의 흐름 및 배경

신들의 탐색과 셴테와 슈이타의 경험이 평행을 이루며 진행된다. 물장수 왕 씨는 사천으로 찾아온신들에게 숙소를 마련해주는 것을 계기로 셴테와 그들의 만남을 제공한다. 이후 신들과 셴테는 재판에서 재회하게 될 뿐, 셴테의 경험에 신들이 직접 개입하지는 않는다. 그저 물장수의 꿈을 통해 신들은 인간세계와 셴테에 관한 소식을 전해듣게 된다. 마지막에도 신들은 셴테의 호소에도 불구하고 무책임하게 반응하고 자리를 떠나갈 뿐이다.
극은 주인공인 셴테와 슈이타와 주변 인물들 사이의 현실적 갈등으로 펼쳐진다. 셴테와 시민들의 갈등은 ‘담배가게’로 상징되고 있는 ‘자본주의 사회’로의 편입에서부터 시작된다.

- 인물 분석

ⅰ. 센테 / 슈이타

신들이 사천성에서 찾게 되는 유일한 선인인 셴테가 하필 가진 것 없는 매춘부로 설정된 것은 무엇 때문이었을까. 단지 작품만을 놓아두고 시작한 분석에 있어서, 셴테의 이러한 처지는 어쩌면 처음부터 우리가 '물질이', '자본주의가' …로 시작하는 우리의 결론을 이끌어주고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셴테는 몸을 팔아 생계를 유지하는 선한 여인으로 등장한다. 셴테를 '선하다'고 말하는 신들과 물장수 왕 씨의 판단은 잠시 뒤로하고, 셴테는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는 친절한
참고문헌
서적)
Bertolt Brecht,『브레히트 희곡선집. 2 : 갈릴레이의 생애, 사천의 선인』,임한순 편역,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Bertolt Brecht,『사천의 선인』, 임한순 역, 한마당, 1997
얀 크노프,『베르톨트 브레히트』, 이원양 역, 인물과 사상사, 2007
이상일,『브레히트(브레히트와 서사극)』, 건국대학교출판부, 1996

논문)
조경식, (1999)「브레히트의 희곡은 단지 이데올로기 비판인가 ? - 『 사천의 선인 』 을 예로 들어서 -」,『독일언어문학』, 한국독일언어문학회
최승수, (1989) 「B. Brecht 의 에 나타난 사회의 모순과 인격의 분열 」,『독일문학』, 한국독어독문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