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신학] 개혁주의 목회 신학0209.hwp

 1  [목회신학] 개혁주의 목회 신학0209.hwp-1
 2  [목회신학] 개혁주의 목회 신학0209.hwp-2
 3  [목회신학] 개혁주의 목회 신학0209.hwp-3
 4  [목회신학] 개혁주의 목회 신학0209.hwp-4
 5  [목회신학] 개혁주의 목회 신학0209.hwp-5
 6  [목회신학] 개혁주의 목회 신학0209.hwp-6
 7  [목회신학] 개혁주의 목회 신학0209.hwp-7
 8  [목회신학] 개혁주의 목회 신학0209.hwp-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목회신학] 개혁주의 목회 신학0209.hwp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1. 목회신학의 정의
제 2 장
1. 구약
2. 공관복음과 사도행전
3. 목회 서신
4. 공동서신
제 3 장
1. 초기 기독교 시대
2. 중세 시대
3. 종교개혁과 그 유산
제 4 장
1. 슐라이어마허
2. 18, 19 세기의 목회 신학
3. 20세기의 동향
제 5 장
1. 목회신학의 회고
2. 자유에 대한 단성
3. 목회 신학의 전망
본문내용
제 1 장
1. 목회신학의 정의
목회신학에 재한 첫 번째 정이는 초대교회사를 연구한 실천신학자들인 영국이 린드세이, 스틀리터, 커크 등이 저술한 책에서 몰 수 있다. 목회신학에 대한 이들의 공통적 이해는 교회의 질서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이해는 초대교회의 본질과 형태를 연구하는 가운데서 나온 것이다.
목회신학에 대한 두 번째 정의는 일부 학자들이 심리학을 목회 영역에 도입함으로서 아주 최근에 활발하게 개발되기 시작한 것이다.
세 본째 정의는 목회신학을 사역에 있어서의 목회경영과 지도력의 문제를 연구하는 하나늬 학문으로 보려는 견해가 있다. 엥스타룸과 쉘러 와 같은 학자들의 저술이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하고 있다. 이들의 견해는 오늘날의 교회들은 현대 경영학의 원리를 도입하여 교회에서 업무의 위임 변화와 갈등의 관리. 성정을 위한 계획의 수립, 의사소통, 그룹 역학등 실제로 교회에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목회 적 주제들을 다루고 있음을 부인 할 수 없다.
네 번째는 시워드 힐트너의 목회신학에 대한 정의다. 그는 목회신학 서론이라는 책을 발표했는데, 여기서 그는 목회신학을 다음과 깉이 정의하고 있다. 첫째는 목회신학이 하나의 신학임을 확실히 한 점이고. 둘째는 신학과 목회 적 경험간의 밀접한 상호 작용과 그 목회 적 경험은 반드시 신학적 각성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강조한 점이고. 셋째는 목회신학의 본질은 목회의 어느 한 특정한 기능이 아니라 전체 목회적 과업에 대한 인식과 그 과업이 수행되는 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목양 적 관점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점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다섯 번째는 목회신학이란 목사의 직무와 기능들을 다루는 시학의 한 갈래로 모는 초마스 오덴의 정의이다. 하나의 신학으로서 목회신학은 성경이 증거하고 전통을 통해 전달되며, 비판적인 추론을 거쳐 목상하고, 개인적 사회적 체험에서 구체화된 하나님의 자기 계시에 관한 숙고를 추구한다.
마지막은 에드화드 투르나이의 목회신학에 대한 정의이다. 그는 목회는 교회 안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개개인에게 전달하는 데에 그 본질이 있다. 교회의 모든 정통 기능과 마찬기지로 목회도 교회에 주어진 살아 움직이는 하나님의 말씀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이 말씀이 여러 가지 모양으로 전달되어야 한다고 했다.
목회신학은 한편으로는 신학과 다른 한편으로는 목회라는 두 축의 중강에 서로 적절하게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목회신학은 이론적으로 보면 신학이 아니다. 그러나 목양의 관점에서 보면 신학이다. 목양적 관점이 신학을 알고 탐구하는 것은 당연한 이이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신학이 목양을 알고 탐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