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과 무속의 관계

 1  유학과 무속의 관계-1
 2  유학과 무속의 관계-2
 3  유학과 무속의 관계-3
 4  유학과 무속의 관계-4
 5  유학과 무속의 관계-5
 6  유학과 무속의 관계-6
 7  유학과 무속의 관계-7
 8  유학과 무속의 관계-8
 9  유학과 무속의 관계-9
 10  유학과 무속의 관계-10
 11  유학과 무속의 관계-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유학과 무속의 관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유교와 무속의 개념적 이해
1. 유교의 개념과 형성과정및 기본사상

2. 무속의 개념과 특성

3. 한국의 유교 도입과 무속과의 변천관계

Ⅲ. 유교와 무속의 상관성
1. 유교와 무속의 淵源的 상관성

2. 유교와 무속의 神觀

3. 유교와 무속의 영혼관

4. 유교와 무속의 祭儀

Ⅳ.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문화는 매우 미묘하고 사소한 방식으로 인간의 행위에 영향을 미친다. 문화는 인간 행동이나 생활양식에서 확연히 드러나 보이기보다는 오히려 우리가 사소하다고 생각하는 이면에 깊이 숨겨져 있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대부분 그 존재조차 인식하지 못한채 지나치기 쉽상인 것이 문화의 속성이다. 이에 대해 사회학자 뒤르켐은 동일한 세계관과 윤리체계을 공유한 사회 구성원들은 어느 정도 변함없는 구조의 사회적 사실을 형성하여 세대를 거쳐 지속되는 집단 의식의 총체적 표현현상을 ‘집합표상’이라 일컫고 있다.
문화현상은 언제나 집합현상의 표상으로 나타날 수 밖에 없는데 그 이유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같은 사회속에 살고 있는 구성원들은 서로간의 문화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문화는 한 집단 구성원들의 집합적 정신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의 중심에는 항상 종교가 위치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의 민족문화의 중심에 위치한 종교는 무엇일까? 하지만 우리 고유 집합표상으로서의 정신 프로그램은 단연코 유교라고 답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은 일이다. 서구의 시각에서 문화유형을 분리하는 문화학자들에 의해 우리문화가 한마디로 ‘유교문화’로 단정지어지는것은 다소 위험한 발상이다. 우리의 내면적 무의식의 기층에는 우리 민족 고유의 토착신앙인 무교가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5세기경까지는 무교가 우리 민족의 유일한 종교로서 전통문화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외래종교와의 접촉으로 종교적 문화 혼합현상이 나타났던것이다. 무교는 우리 민족문화의 근원으로 외래문화인 유교가 무교의 바탕위에 수용되어 우리 문화로 정착되었다고 볼 수 있다.
종교가 문화를 대표한다면 종교의 만남은 문화와 문화의 만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무교가 유교와의 접촉으로 어떠한 문화변용을 거쳐 변화수용되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뒤르켐이 종교를 사회의 질서체계를 유지하는 이염체계로서의 기능으로 정의하였듯 유교가 우리 전통사회에 통치원리와 행동규범을 제공한 반면 무속은 원시신앙을 모태로 민중속에 깊이 뿌리내린 민간신앙으로 강인하게 지속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 결과 유교와 무속은 상이한 성격을 드러내면서 서로 깊은 영향을 주고 받았던 것으로 파악된다.1) 그러므로 유교와 무교의 신앙적 기반과 문화적 양상을 비교검토하여 양자의 공통점과 차이점의 상관관계를 비교하는 일은 종교적 문화변용을 이해하는데 매우 의의있는 일이라 하겠다.
이에 유교와 무속의 기본개념을 먼저 파악한 뒤 상호관계를 주시하면서 유고와 무속의 연원적 상관성을 살펴보고 神觀과 영혼관등의 교리적 기본과제를 비교하며 마지막으로 제의의 실천양식을 대비하여 분석, 비교고찰하고자 한다.

Ⅱ. 유교와 무속의 개념적 이해
참고문헌
* 금장태, 「유교의 사상과 의례」, 예문서원, 2000.
* 금장태, 「유학사상의 이해」,집문당, 1996.
* 금장태, 「한국유학의 탐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 금장태, 「유학사상과 유교문화」, 전통문화연구회, 1995.
* 최종성, 조선시대의 유교와 무속의 관계연구, 「민족과 문화」10집, 2001.
* 박용우, 한국 무속신앙에 관한 연구, 「민속학술자료총서 민속신앙1」, 터 우리마당, 2001.
* 김성례, 무속전통의 담론분석, 「한국문화인류학」22집, 1990.
* 정진홍, 한국의 종교문화와 민간신앙, 「민속학술자료총서 민속신앙3」, 터우리마당, 2003.
* Fred E. Jandt, 「Intercultural Communication」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98.
* 두산세계대백과 사전 Encyber
* http://prome.snu.ac.kr/~parkmk/r_paper1.htm
* http://www.yugyo.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