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

 1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1
 2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2
 3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3
 4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4
 5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5
 6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6
 7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7
 8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8
 9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9
 10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10
 11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11
 12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12
 13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13
 14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14
 15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15
 16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16
 17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17
 18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18
 19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19
 20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문화] 중국의 역대여성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본론
1.시대별로 본 여성들의 문화
(1) 신화 속 여성-신성과 외경의 대상
(2)고대여성
①원시시대~룽산 문화시기
②하(夏)은(殷)
③주(周)
④춘추전국(春秋戰國)
⑤진(秦)
⑥한(漢)
⑦당(唐)
⑧송(宋)
⑨명(明)청(淸)
(3)근대여성
①근대 여성지위 향상의 원인
②여성지위 향상의 특징
③한계
2. 전족(纏足) -전족 한 쌍은 눈물 한 독
(1) 전족이란 무엇인가
(2) 전족의 기원과 확산
①전족의 기원에 대한 논쟁
②전족의 출현과 확산
③전족의 사회적ㆍ성적 측면
3. 중국의 유명 여성 인물 -측천무후 / 양귀비 / 서태후
(1) 측천무후
①측천무후는 누구인가?
②황후가 되기까지
③자식을 죽인 비정한 어머니
④최초의 여자황제
(2) 양귀비
①양귀비는 누구인가?
②양귀비와 현종의 사랑
③양귀비의 미용법
(3) 서태후
①서태후는 누구인가?
②서태후의 일생
(4)무측천, 양귀비, 서태후에 대한 우리만의 고찰
4. 성적 욕망의 제도적 장치: 기녀(妓女)
(1) 기녀의 탄생(誕生)
(2)기녀의 성(性)적 도구화(道具化)
(3) 기녀의 유형(類型)
①가기(家妓)
②관기(官妓)
③사기(私妓)
④영기(營妓)
⑤시기(市妓)
⑥궁기(宮妓)
(4)기녀의 운명
5. 첩
(1) 첩의 출현 이유
(2) 처와 첩의 구분
①처(妻)와 첩(妾) 사이의 차이
②정첩(正妾)과 천첩(賤妾)의 차이
(3)영화 ‘홍등’을 통해 보는 첩
Ⅲ. 결론
본문내용
I. 서론
태어날 때부터 남자와 여자는 다르다는 ‘남녀유별’의 유교적 정신이 중국의 전통적 여성관을 형성해 온 뿌리라 할 수 있다. 유교의 여성관은 생활의 규범과 예제를 발전시켜 중국 전통의 윤리관을 형성하였으며 오늘날까지 여성의 삶, 특히 지위와 역할부분에 있어서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남자와 여자는 본래 다르게 태어나 다른 성장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남녀유별은 ‘남외여내’ ‘남존여비’사상으로 구체화 되어 생활 속에서 그 양상을 드러내고 있다. 남외여내는 남녀간의 서로 다른 생활공간에 대한 규정이면서 동시에 또 여성은 안(內)을 다스리고 남성은 밖(外)을 주관한다는 분업분담의 의미였다. 남존여비는 음양론에 그 기초를 두고 있는데 남녀의 차이를 우주자연의 질서에서 비롯된 음양의 차이, 다시 말해 양은 강하고 존귀하며 음은 약하고 부드럽고 비천한 성질에 적용시켜 남녀의 서로 다른 역할과 차이를 규정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전통시대 여성들은 어떠한 모습으로 살아갔는지 각 조대별로 여성들의 문화를 살펴보도록 한다.

II.본론
1.시대별로 본 여성들의 문화
(1) 신화 속 여성-신성과 외경의 대상
서왕모는 중국의 ‘천지개벽 신화’에 나오는 여와와 더불어 중국 신화 속 대표적 여신이다. 이 여신이 언급된 『서해경』 속의 「서산경」의 기록을 보면 이렇게 써있다.

서왕모는 그 모양이 사람과 같고, 표범 꼬리에 호랑이 이빨을 하고서 휘파람을 잘 불며, 더벅머리에 머리 장 식을 꽂았다.

사람의 형상인데 표범 꼬리에 호랑이 이빨을 가진 무서운 여인인 것이다. 그런가 하면, 같은 『산해경』 속의 「해내북경」을 보면,

서왕모는 자그만 기대는 상에 기대앉아 머릿 장식을 꽂고 있는데, 그 남쪽에 세 마리 청조가 있다. 서왕모에게 잡혀 먹히는 것이다.

여기서는 ‘청조’를 잡아먹는 무서운 존재로 나온다. 이 외에도 같은 『산해경』 내 「대황서경」 에서도 서왕모는 무섭게 기술한다. 그런데, 주(周)나라 목왕이 각처를 주유(周遊)한 것을 기록한 기행문인 『목천자전』에서는 조금 다르다. 주왕이 서왕모를 만나고, 중국으로 돌아가면서 서왕모의 산을 임명해 주고, 게다가 그녀를 자신의 백성이라 일컫는다. 어느새 ‘표범 꼬리에 호랑이 이빨’이 달린 무서운 형상이 아니다. 서쪽 나라 여왕으로 깊은 인정마저 풍기는 대목도 엿보인다.
한(漢)대 『신이경』에서는 동쪽 나라에서 동왕공(東王公)이 새롭게 기록되는데, 이는 서왕모와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서왕모와 배필이 되도록 설정되기도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서유기』에서 도교의 최고신, 옥황상제의 비가 되어 천궁에서 반도원에 심은 복숭아 나무 3천6백 그루를 관리하고 천신의 수연을 맡아 차리게도 된다.
처음에는 반인반수의 흉신으로 등장했지만, 차츰 흉한 모습이 사라지고 여선으로 변하여 아름다운 여제로 정착하게 된다. 이 변화는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여와와 서왕모는 각각
참고문헌
이영자, 「중국여성 잔혹 풍속사」, 에디터, 2003
안병성웅, 「중국여성의 성과 예술」, 일월서각, 1985
고홍흥, 「(중국의) 전족 이야기」, 신아사, 2002
김향, 「세상을 뒤흔든 악녀들」, 가람기획, 1991
마거릿 니콜라스 저, 김진욱 역, 「세계의 악녀들」, 새론문화사, 1996
김인숙, 「(중국 중세) 사대부와 술, 약 그리고 여자」, 서경문화사, 1998
입간상개 저, 정성환 역, 「인물로 보는 중국역사」, 신원문화사, 1994
정상정 저, 송유진 역, 「소설 양귀비」, 을지출판사, 1990
펄벅 저, 이종길 역, 「연인 서태후」, 길산, 2003
김연정, 「당대 기녀류 소설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소동 저, 최현 역, 조지은 편, 「紅燈 ; 1934년의 도망 : 1920년대를 배경으로 한 중국여인들의 삶과 사랑」, 박우사,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