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

 1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1
 2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2
 3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3
 4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4
 5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5
 6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6
 7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7
 8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8
 9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9
 10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10
 11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11
 12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12
 13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13
 14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14
 15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15
 16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16
 17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17
 18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18
 19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19
 20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사] 개화기 시기 신유형과 근대의식 -개화기 시가와 소설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계몽주의와 민족주의의 시대




Ⅲ. 근대 시가의 유형




Ⅳ. 개화기 소설




Ⅴ. 결론




Ⅵ. 참고문헌



Ⅶ. 부록


본문내용
3. 『서유견문』의 문제점들
유길준의 『서유견문』은 동도서기론을 기본으로 형성된 개화사상을 가장 폭넓게, 그리고 깊게 체계화한 저서로써, 개화에 관심을 가진 거의 모든 지식층에 상당한 영향력을 끼쳤다. 유길준은 『서유견문』에서 개화의 모델을 서구의 한정된 나라로 잡지 않았다. 그는 개화의 모델을 신적인 영역에 위치시켜 놓음으로써, 그의 개화론은 각국의 개화는 그 나라의 풍속과 이념에 알맞은 개화가 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발전해 나간다. 이런 유길준의 주장은 전통을 중요시하게 되며, 개화에 대해 몇 가지의 구분 한다. 첫째로 그는 그 나라의 처지에 합당하게 행하는 개화를 칭하는 실상개화(實狀開化)와 그저 부러워하는 마음에 겉보기에만 그럴싸한 개화를 칭하는 허명개화(虛名開化)로 나눈다. 둘째로 개화에 응하는 인간형에 대한 구분으로 개화하는 일을 주장하여 힘써서 개화에 앞장서는 자는 개화의 주인이며, 개화에 반해 말하기 좋아하는 자는 개화의 빈객 등으로 나눈다.
문학사적인 입장에서 본다면 『서유견문』의 가장 중요한 공적은 그것이 최초로 국한문을 혼용한 책이라는 점이다. 그것은 유길준의 시대에 이르면 한글의 압력, 다시 말하자면 대중의 압력이 한문을 압도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보여주며, 박지원, 김병연의 한문 문체 훼손의 진정한 의미를 생각게 해준다. 유길준은 말과 문자가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에 주목하고 말과 문자의 관계에 의거해서 국한문을 혼용했다. 유길준의 이와 같은 언어인식은 『서유견문』이 개화기 지식층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원인으로 작용하며, 그의 국한문 혼용은 그의 정치인으로서의 직분사상과 인민평등 사상의 결합으로 볼 수 있다.

4. 개화기 문체의 변혁
개화기 문체를 구분하면 1) 한문체 2) 국문체 3) 국한문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과 2)는 이전부터 있어온 것으로 전자는 양반계층의 전용어로, 후자는 부녀 및 서민들의 전용어로 병행되어 이중 구조를 보여주었으나 3)에 와서, 삼중구조의 양상을 보여주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은 오래가지 못하고 국한혼용체와 국문체라는 새로운 이중구조로 대치되게 된다.
4.1. 『서유견문』의 문체
유길준은 국한문체를 새로운 문체로 형성시키는데 큰 역할을 한 주체적 개인이다. 유길준의 『서유견문』은 이전에 《한성주보》,『농정섭요』등에서 이미 국한문이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저서 규모의 호한함과 언어관의 명확함, 당시 한문체에의 저항이라는 의미에서 국한문체를 새로운 문체로 형성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된다.
4.2. 《독립신문》의 국문체
《독립신문》은 국문체를 채택해 띄어쓰기를 의식함으로써 현저히 선진적인 언어 기능을
참고문헌
1. 기본자료
김윤식 ․ 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2008.
안국선, 『금수회의록』(외), 범우사, 2004

2. 논문 및 저서
권정화, 「남선의 굴절된 삶과 국토철학」, 국토 1999년 7월호, 1999,
김교봉.설성경, 「근대전환기 시가 연구」, 1996, 국학자료원
김영철, 「개화기 시가에 나타난 개화사상연구(Ⅱ)」 , 우리말글학회, 1983. 6.
김영철, 『한국 개화기 시가 연구』, 새문사, 2004,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2학동 「개화기 시가」; 황패강외 3인 편,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97,
김윤식 ․ 정호웅, 『한국소설사』, 문학동네, 2002,
윤해연, 「최남선의 ‘신체시’와 여타 시가 장르와의 관계」, 한국비평문학회, 비평문학 제25호, 2007. 4
임종찬, 『개화기시가론』, 국학자료원
장덕순, 『한국문학사』, 동화문화사, 1975
정기철. 「독립신문소재개화가사연구」, 한국어언어문학회, 한국언어문학 제42집,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