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게놈프로젝트의 사회적 윤리적 쟁점

 1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사회적 윤리적 쟁점-1
 2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사회적 윤리적 쟁점-2
 3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사회적 윤리적 쟁점-3
 4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사회적 윤리적 쟁점-4
 5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사회적 윤리적 쟁점-5
 6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사회적 윤리적 쟁점-6
 7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사회적 윤리적 쟁점-7
 8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사회적 윤리적 쟁점-8
 9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사회적 윤리적 쟁점-9
 10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사회적 윤리적 쟁점-10
 11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사회적 윤리적 쟁점-11
 12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사회적 윤리적 쟁점-12
 13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사회적 윤리적 쟁점-13
 14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사회적 윤리적 쟁점-14
 15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사회적 윤리적 쟁점-15
 16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사회적 윤리적 쟁점-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사회적 윤리적 쟁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의미
Ⅲ.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유용성
Ⅳ.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사회적 쟁점
Ⅴ.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윤리적 쟁점
Ⅵ.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21세기의 현대 사회는 수많은 정보 통신의 발달로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 속에 존재하고 있다. 이는 눈부신 산업의 발달과 과학의 발전으로 가능해진 것이다. 이런 사회에서 살고 있는 우리들은 현대 사회의 빠른 발전과 함께 그에 어울릴만한 많은 문화적․사회적․정신적 충격 속에 살고 있다. 과학의 발달로 인한 풍요로운 물질 문명과 문화의 홍수, 정보의 홍수 속에서도 인간들은 만족하지 않고 더 새로운 영역, 인간이 알지 못하는 영역에까지 불굴의 정신으로 끊임없이 도전하고 있다. 그리고 급기야 그 도전은 옛날에는 인간으로서 감히 넘보지도 못했던 아니 생각지도 못했던 ‘신의 영역’에 까지 미치고 있다. 바로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영역이 그것이다.
1997년 2월 스코틀랜드 에딘버러의 로슬린 연구소는 7개월 된 복제양 '돌리(Dolly)'를 세상에 공개 하므로써 인간복제의 문제는 학계, 종교계 그리고 일반 시민의 관심사로 급격히 부상했다. 그 후 인간복제의 기술적 가능성을 높이는 발표들이 잇달아 나오고 있다. 98년 가을 미국인 시벨리는 소의 난자에 인간세포의 핵을 이식하여 배반포(후술)까지 발육시키는데 성공했다. 급기야는 20만 달러를 내면 아이를 복제해주며, 또 5만 달러를 내면 자녀의 사고에 대비해 아이를 복제할 수 있도록 유전자 세포 등을 보관해준다는 인간복제회사가 나타났다. 이 보도 내용의 신빙성 여하를 떠나서, 미래에 대한 장기적 전망들은 인간복제를 현실화될 수 있는 문제로 보고 있다. 미 프린스턴 대학 분자생물학 교수인 리 실버는 그의 저서{리메이킹 에덴}에서 결국 유전공학의 발달로ꡒ교배가 가능하지 않은 두 가지 인종으로 나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영국의 세계적 천체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도ꡒ유전적으로 변형된 진보한 새 인간이 다음 세기에 탄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런가 하면, 1969년 세계 최초로 생명윤리연구를 시작한 헤이팅스 연구소 소장인 대니엘 캘러헌은ꡒ유전공학연구나 정보화 사회, 인공지능개발 등은 이미 법률로 막을 수 있는 단계를 넘었다."고 말한다. 국내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1998년 12월 15일 경희의료원의 이보연 연구팀에 의하여 인간복제의 초기단계 실험이 성공되었다는 언론보도로 인하여 인간복제가 더 이상 실험 수준이 아닌 현실의 문제로 다가오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이제 인간복제 문제는 시간문제가 되고 있는 듯하다.ꡒ누가 고양이의 목에 방울을 달 것인가"하고 연구자들은 서로의 눈치만 볼뿐이다.
이러한 ‘신의 영역’으로만 생각해 왔던 생명현상의 인위적 조작 기술 즉, 인간게놈프로젝트의 현실화 가능성에 대하여 우리는 과연 어떻게 이 사태를 보아야 할 것인지, 또한 어떻게 대처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가 대두된다. 오늘날 과학의 발달로 생명현상의 조작과 유전자를 변형시키는 새로운 유전공학의 기술로 인해 자연과학적, 의학적으로 뿐만 아니라 윤리적, 법적으로도 새로운 국면에 이르게 되었다. 또한 종교계의 반발도 무시할 수 없는 문제이다. 인간게놈프로젝트는 아직 발전 역사가 짧고, 신기술에 속하지만 대단히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발전 가능성은 인간을 괴롭히는 여러 가지 불치병에 대한 치료제나, 부작용이 없는 인공장기의 개발, 노화를 지연시키
참고문헌
․문국진, 생명윤리와 안락사, 여문각, 1999
․성신여자대학교 「생명과 윤리」교양교재, 生醫 倫理學, 2001-1
․장은성, 생명의 책 게놈, 전파과학사, 2001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 의료․윤리․교육 제3권 제2호(통권 제4호), 2000
․악셀 칸․파브리브 빠삐용 지음, 황우석 감수․전주호 옮김, 인간복제, 푸른미디어, 1999
․W.S. 사하키안 저, 송휘칠․황경식 공역, 윤리학의 이론과 역사, 전영사, 2000
․스티븐 제이 굴드 외(저), 이한음(역). {클론 AND 클론}그린비, 1999


▶ 참고자료
․http://jurio.new21.org/posco/index2.html
․http://www.ks.ac.kr/~jhpark/AEE006.htm
․http://www.ddanzi.com/ddanziilbo/43/43t_071.htm
․http://seed.kyungsung.ac.kr/~g1998242301/bio3.htm
․http://www.kbac.or.kr/Mat17.htm
․http://21cgenome.kribb.re.kr/frontier/j1.htm
․http://www.cityand.com/~gene/genomp.htm
․http://my.dreamwiz.com/ghdvy/project.htm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