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김기진과 카프문학, 그리고 단편서사시

 1  [문학] 김기진과 카프문학, 그리고 단편서사시-1
 2  [문학] 김기진과 카프문학, 그리고 단편서사시-2
 3  [문학] 김기진과 카프문학, 그리고 단편서사시-3
 4  [문학] 김기진과 카프문학, 그리고 단편서사시-4
 5  [문학] 김기진과 카프문학, 그리고 단편서사시-5
 6  [문학] 김기진과 카프문학, 그리고 단편서사시-6
 7  [문학] 김기진과 카프문학, 그리고 단편서사시-7
 8  [문학] 김기진과 카프문학, 그리고 단편서사시-8
 9  [문학] 김기진과 카프문학, 그리고 단편서사시-9
 10  [문학] 김기진과 카프문학, 그리고 단편서사시-10
 11  [문학] 김기진과 카프문학, 그리고 단편서사시-11
 12  [문학] 김기진과 카프문학, 그리고 단편서사시-12
 13  [문학] 김기진과 카프문학, 그리고 단편서사시-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 김기진과 카프문학, 그리고 단편서사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2-1. 문학사적 흐름에서의 카프
2-2. 단편서사시론
2-3.「단편서사시의 길로」분석
2-4.「우리 오빠와 화로」분석
2-5.「단편서사시의 길로」텍스트 외적 분석
2-6. 임화의 단편서사시의 의의
2-7. 카프 안에서의 단편서사시론의 의의
3.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김기진은 단편서사시론과 카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있다. 사실, 논의의 중심인 단편서사시들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그 태생적 배경인 카프에 대한 언급이 꼭 필요한데, 카프에 대한 일반적인 개괄에 앞서, 우선 문학사적 흐름으로서의 카프에 관하여 간단히 언급하고자 한다. 이는 카프에 대한 일반적 인식- 정치적, 사회적 운동의 일환이라는 피상적 견해에 대한 ‘다르게 보기’로서 문학사의 한 경향으로 카프 문학의 의의를 조명하고자 했다.
본고는 김기진의 「단편서사시의 길로」를 분석을 위해, 그 배경을 김기진의 글들을 통해 살펴본 뒤, 텍스트를 분석하고, 이 글이 나오게 된 계기인 임화의 시「우리 오빠와 화로」와 같이 논의한 후, 이를 확장하여 텍스트 외적인 분석을 카프문학 내에서 단편서사시론이 가지는 문학사적 의의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2-1. 문학사적 흐름에서의 카프
프로문학-카프를 생각해 볼 때 우리나라 문학의 흐름 가운데서 이때만큼 정치적, 이념적 목소리가 직설적으로 강하게 나타난 적이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언뜻 보면 지금까지의 문학사에서 ‘사회주의’라는 이름으로 부표처럼 떠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면 정말 카프문학이 문학사에서 앞뒤 문맥과는 연결될 수 없는 독특한 경향으로밖에 볼 수 없는 것일까.
근대 이후 문학의 대략적인 흐름을 간단히 이야기하자면, 낭만적인 것과 현실적인 것의 순환으로 말할 수 있다. 1920년대 우리 시의 위상과 흐름은 크게 세 갈래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첫째는 흔히 낭만주의 시로 일컬어진 초기의 위상이며, 두 번째는 현실수용과 그 비판의 사회시, 세 번째는 민요시의 위상이 그것이다. 감태준,「근대시 전개의 세 흐름」, 김윤식 외, 『한국현대문학사』(현대문학, 1994), p. 129.
카프의 등장을 전후로 한 1920년대 전반의 문학 흐름에 대해 먼저 살펴보자면, 1920년대 초반을 주도한 낭만주의의 특징은 첫째, 과도한 감정의 분출과 현실도피적 정서, 둘째, 대상의 감각적 해석과 시어의 확충, 그리고 시의 장형화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책, pp. 130-132 참조.
초기 낭만주의 시에서는, 현실세계보다 피안(idea)의 세계를 동경했고, 그래서 대상을 시인 자신의 독자적이고 내면적인 관점으로 이해한다. 이 시기의 시들은 예술을 위한 예술처럼 시인 속으로, 문학 그 자체 속으로 최대한 침잠해 간 시기였다. 이후, 사회적으로는 러시아 혁명을 배경으로 낭만주의와는 사뭇 다른 현실적인 목소리가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이것이 바로 프로문학이다. 이들의 방향은 현실부정의 의식으로 출발했지만 현실의 환멸이나 도피가 아닌, 현실개혁의 방향으로 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역사문제연구소 문학사연구모임,『카프문학운동연구』(역사비평사, 1989), p. 15.
사회적으로는 러시아 혁명과 사회주의 사상의 확산을 배경으로 초기 낭만주의-낭만적인 것-에서 현실적, 직설적 목소리인 카프문학-현실적인 것-으로 전환되어 간다. 이 전환과정은 사회적인 요인 이외에, 낭만주의 내부에서 자신들의 시의 한계를 인식한 움직임이 있었다고 볼 수도 있다. 이상화의 ‘백조’ 동인으로서의 초기작「나의 침실로」와 후기의「빼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