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술사] 불상에 대하여

 1  [한국 미술사] 불상에 대하여-1
 2  [한국 미술사] 불상에 대하여-2
 3  [한국 미술사] 불상에 대하여-3
 4  [한국 미술사] 불상에 대하여-4
 5  [한국 미술사] 불상에 대하여-5
 6  [한국 미술사] 불상에 대하여-6
 7  [한국 미술사] 불상에 대하여-7
 8  [한국 미술사] 불상에 대하여-8
 9  [한국 미술사] 불상에 대하여-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미술사] 불상에 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불상의 정의

2. 불상의 유래

3. 불상의 출현

4. 불상의 구조와 세부명칭

5. 불상의 종류

①석가여래상(釋迦如來像)

②비로자나불상(毘盧遮那佛像)

③아미타여래상(阿彌陀如來像)

④약사여래상(藥師如來像)

⑤ 미륵불상(彌勒佛像)

6. 불상의 수인(手印)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전법륜인(轉法輪印)

설법인(說法印)

선정인(禪定印)

시무외인(施無畏印) · 여원인(與願印)

지권인(智拳印)

미타정인/아미타구품인(九品定印)

결론
본문내용
4. 불상의 구조와 세부명칭
[육계 肉髻] 부처의 머리 위에 혹과 같이 살이 올라온 것이나 머리뼈가 튀어나온 것. 지혜를 상징. 원래는 인도의 귀족들이 긴 머리카락을 위로 올려 묶었던 형태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임.
[나발 螺髮] 오른쪽으로 말린 꼬불꼬불한 나선형 모양의 머리카락.
[백호 白毫] 부처의 양 눈썹 사이에 오른쪽으로 말리면서 난 희고 부드러운 털.
[삼도 三道] 불상의 목 주위에 표현된 3개의 주름. 생사를 윤회하는 인과를 나타냄.
[광배 光背] 불, 보살의 머리나 몸체에서 발하는 빛을 조형화한 것.
[대좌 臺座] 불상을 받치는 받침대. 원래는 부처가 보리수 아래에서 불도를 깨달았을 때 앉았던 풀방석에서 유래.
[화불 化佛] 변화한 부처. 응신불 또는 변화불이라고도 한다. 불, 보살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나타나는 것으로 작은 여래형으로 표현된다.
[법의 法衣] 부처나 승려가 입는 의복.

5. 불상의 종류
①석가여래상(釋迦如來像)
석가여래상은 모든 불상의 근본이 되는 석가모니 부처님을 지칭한다. 석가모니란 석카족 출신의 성자란 뜻으로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분이라는 의미이다. 석존이라고도 하며 여러 종류의 부처들 중에서 유일하게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인물이었다. 석가여래상은 인간으로 출생한 석가모니가 수행을 통하여 부처가 된 과정과 이후 여러 설법과 관련된 상의 모습을 하고 있다. 대부분의 석가여래상은 득도하기 직전 마귀들의 유혹을 물리치는 항마촉지인의 수인을 하고 있다. 우주에서 제일 존귀한 분이라는 의미에서 세존(世尊)이라고도 한다.
☞감상: 여러 종류의 부처들 중 유일하게 역사적으로 존재했다는 점에서 불교를 믿는 사
람들에게 하나의 증거자료와 같은 역할을 하여 더 믿음이 간다는 측면에서 가장 널리 퍼
졌을 것 같다.

②비로자나불상(毘盧遮那佛像)
비로자나불은 세상의 모든 곳에 두루 광명을 비춘다고 한다. 이부처는 무량한 광명을 지니고서 설법하고 있으며 청정한 부처로 오직 한마음으로 생각하고 맑은 믿음으로 의심하지 않으면 나타난다고 한다. 비로자나란 ‘빛나는 것’을 의미한다. 원래는 태양의 빛을 의미하였으나 후에 불교의 근원적인 부처라 하였다. 이 부처는 무한한 과거로부터 끈임 없는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은 상이며 그 경지를 표현한 상이다. 수인은 지권인을 하고 있다. 대일여래라고도 불리며, 비로자나불은 불교의 본원적인 불상이며 법신불이라고 한다.
☞감상: 비로자나 불상은 통일신라 말기에 구산선문이나 밀교의 유입과 동시에 유행한 불상이라고 한다. 중생과 부처가 사실은 같은 것이어서 중생도 부처가 될 수 있고, 부처도 원래는 중생이었다가 깨달음을 얻은 것이라는 사상이 통일신라말기, 귀족들에게 수탈로 고생하며 현실의 고통을 벗어나고자하던 민중에게 먹혀든 것은 아닐까 생각해본다.

③아미타여래상(阿彌陀如來像)
서방정토인 아미타세계를 주재하는 여래로 감로왕여래, 무량광불, 무량수불이라고도 부른다. 모든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큰 기원을 품고 있는 부처이다. 일반 민중들이 이 부처를 염하면(나무아미타불) 죽은 후 극락인 서방정토에 다다를 수 있다고 한다. 설법인
참고문헌

장준식, (테마별로 읽는) 한국의 문화유산, 학연문화사, 2003.
엄기표 외, (그림과 명칭으로 보는) 한국의 문화유산, 시공테크 : 코리아비주얼스,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