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소설] D. H. Lawrence 로렌스

 1  [영미소설] D. H. Lawrence 로렌스-1
 2  [영미소설] D. H. Lawrence 로렌스-2
 3  [영미소설] D. H. Lawrence 로렌스-3
 4  [영미소설] D. H. Lawrence 로렌스-4
 5  [영미소설] D. H. Lawrence 로렌스-5
 6  [영미소설] D. H. Lawrence 로렌스-6
 7  [영미소설] D. H. Lawrence 로렌스-7
 8  [영미소설] D. H. Lawrence 로렌스-8
 9  [영미소설] D. H. Lawrence 로렌스-9
 10  [영미소설] D. H. Lawrence 로렌스-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미소설] D. H. Lawrence 로렌스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작가소개
⑴ D. H. Lawrence의 생애
⑵ D. H. Lawrence 작품특징
⑶ D. H. Lawrence 주요 작품
- 사랑하는 여인들 (Women in Love)
- 무지개 (The Rainbow)

Ⅱ. 작품소개
⑴ 등장인물소개
⑵ 줄거리
⑶ 작품특징과 의의
⑷ 작품분석 및 감상

Ⅲ. 번역오류수정

Ⅳ. 생각해보기
본문내용
⑵ D. H. Lawrence 작품특징
D.H. 로렌스는 소설을 많이 썼지만 시집도 발표한 적 있고, 무엇보다 새롭게 떠오른 미국에 대한 문명 비판과 기울어져 가는 '대영제국'의 관습과 제도, 그 허위의 윤리의식을 두 손을 꽉 붙들고 정면으로 바라본 작가다.\그의 대표작은 이 작품이 처음 출판된 것은 1928년 6월, 이탈리아.
영국과 미국의 출판업자들이 인쇄를 거부하자 로렌스 자신이 직접 제작하여 피렌체에서 출판하였다. 그러나 이 책은 영국과 미국의 세관을 통과할 때마다 외설물 단속에 걸려 압수되곤 하였다. 소설뿐만 아니라 이탈리아에서 영국으로 보낸 시집 원고와 편지까지 압수당하였다. 런던 경시청은 로렌스의 그림까지 탄압하였다. 런던의 워런 화랑에서 전시하던 로렌스의 그림을 스코틀랜드로 옮기고는 불태워버리겠다고 협박까지 하였다.
로렌스는 자신의 소설과 3류 호색문학은 분명히 다르다고 주장하면서 이렇게 말하였다.
“호색문학은 성을 모욕하고 먹칠하려는 시도이다.
이는 용서할 수 없다. 이는 생명이 있는 인간관계에 대한 모독이다.”
다시 말해 로렌스는 자신의 작품이 바로 ‘생명이 있는 인간관계에 대한 존중’을 다루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소설의 한 대목에서 로렌스는 이렇게 말한다.
“성은 모든 접촉 중에서 가장 밀접한 유일한 접촉이오.
그리고 우리가 두려워하고 있는 것도 바로 그 접촉이지요.
우리들은 반쯤 의식하고 반만 살아 있는 셈입니다.
우리들은 생기를 띠고 또렷이 이해해야 해요.
특히 영국인들은 서로 조금은 섬세하고 부드럽게 접촉해야만 하지요.
이것이 우리들에게 무엇보다 필요하답니다.”
로렌스는 건전한 성의 회복만이 비참한 기계문명에서 인간을 구원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영국 상류사회를 혐오하였고 언제나 정면으로 대립하였다.
또 이성 중심주의와 과학물신을 거부하였으며 귀족계급의 속물주의에 대해서도 어떤 자리에서든 거침없이 비난을 퍼부었다.


⑶ D. H. Lawrence 주요 작품
- 사랑하는 여인들(Women in Love)
영국의 소설가 데이비드 로렌스의 대표작.
1971년 집필. 1920년 출판. 내면묘사와 상징적 수법을 구사하여 이상적인 남녀관계, 현대인의 정신적 황폐성을 파헤친 소설이다. 분석적이고 파괴적인 현대문명을 근본적으로 부정하지 않는 제럴드와 구드런은 서로의 자아의 투쟁에서 파국을 맞는다.
한편, 생명의 본원으로 되돌아가 문명의 재생을 지향하는 버킨과 어슐러는 독립된 자유로운 자아의 균형을 구하여 조화에 이른다. 그러나 그들이 어떤 사회적 창조를 성취하는가는 분명하지 않다.

- 무지개(The Rainbow)
로렌스의 초긴 작품인 백공작(The white peacock)을 비롯하여 침입자(The Trepasser). 아들과 연인(Sons and Lovers)은 그 스타일이나 처리법이 인습적인 연대기 소설 형식에 가까웠지만 그 후 출판된 무지개에서는 새로운 스타일이 도입되었다. 즉, 어느 등장인물이 어떤 표정으로 언행하고 어떠한 결말에 도달하는가 하는 재래식의 심리묘사나 플롯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주어진 사건이 진정으로 삶다운 삶을 성취했는가 하는 그 본질적인 실존인 “임(being)”의 상태를 밝히는 일이었다. 다시 말해서 재래의 소설에 나오는 ‘일관성이 있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