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문화] 프랑스 영화

 1  [프랑스문화] 프랑스 영화-1
 2  [프랑스문화] 프랑스 영화-2
 3  [프랑스문화] 프랑스 영화-3
 4  [프랑스문화] 프랑스 영화-4
 5  [프랑스문화] 프랑스 영화-5
 6  [프랑스문화] 프랑스 영화-6
 7  [프랑스문화] 프랑스 영화-7
 8  [프랑스문화] 프랑스 영화-8
 9  [프랑스문화] 프랑스 영화-9
 10  [프랑스문화] 프랑스 영화-10
 11  [프랑스문화] 프랑스 영화-11
 12  [프랑스문화] 프랑스 영화-12
 13  [프랑스문화] 프랑스 영화-13
 14  [프랑스문화] 프랑스 영화-14
 15  [프랑스문화] 프랑스 영화-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프랑스문화] 프랑스 영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프랑스 영화의 탄생 및 형성 과정

Ⅱ. 프랑스 영화의 역사
1. 뤼미에르 형제~ 유성영화의 탄생 (1895~1930)
2. 세계대전 이후의 프랑스 영화 (1930~1950)
3. 누벨바그에서 영화 탄생 100년의 역사까지 (1950~1990)

Ⅲ. 누벨바그
1. 누벨바그(nouvelle vague)란?
2. 누벨바그의 특징
3. 누벨바그의 영향
4. 누벨바그 시대의 대표적 거장 프랑수와 트뤼포/ Fransois Truffaut(1932~1984)

Ⅳ. 프랑스 영화와 미국 할리우드 영화
1. 프랑스영화와 미국 영화의 특징
2. 프랑스영화와 미국 영화의 차이점
3. 누벨바그와 할리우드 - 「쥴앤짐」과 「007시리즈」
4. REVIEW


본문내용
뤼미에르 형제와 조르주 멜리에스

최근 일부 영화사가들은 현제 전 세계의 영화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미국 영화의 강력한 지배력을 의식하면서, 1893년 키네토스코프를 발명했던 에디슨과 딕슨을 새롭게 영화의 아버지로 숭상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에디슨과 딕슨의 키네토스코프는 이전까지의 영사기계들에 결여되어있던 ‘필름 천공술’ 과 ‘필름 정착장치’ 의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인간과 현실 세계의 움직임을 동일한 형태로 재현한 세계 최초의 기계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전 세계의 대다수 영화사가들은 아직도 뤼미에르 형제를 진정한 영화의 발명가로 간주한다. 무엇보다 뤼미에르 형제는 ‘스크린’을 통한 영사의 기능을 영화에 부여했기 때문이다. 즉 ‘영사불가능’ 이라는, 에디슨의 키네토스코프가 지닌 치명적인 약점을 보완하면서, 영화를 수십 명 혹은 수백 명 이상이 모여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이른바 ‘대중문화’ 의 한 장르로 탄생시켰다. 영화에 ‘대중성’ 이라는 가장 중요한 속성을 부여함으로써, 이후 영화가 신생 장르의 한계를 넘어 중요한 현대 예술의 한 장르로 빠르게 자리 잡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 것이다.

한편, 뤼미에르 형제의 뒤를 이어 영화에 뛰어든 멜리에스는 1902년에 영화사에 길이 남을 또 하나의 중요한 공헌을 세운다. 뤼미에르의 최초의 영화 이후 약 6년간 세계 각지에서 다량으로 쏟아져 나온 짧은 영화들은 거의 모두가 현실과 실재를 그대로 담은 일종의 기록 영화였는데, 멜리에스는 처음으로 영화에서의 허구적인 스토리 구축의 가능성을 선보였던 것이다.
참고문헌
⇒블로그 : http://blog.daum.net/sks466/15707713
http://blog.naver.com/jtkimm/60002269367 『그녀의 턱선이 떠올려지다.』
“50년대 할리우드 B급 영화의 어마어마한 이야기”『screen 2003년 9호 』. 구글칼럼:
http://www.cricum.org/gnu4/bbs/board.php?bo_table=col_jookw&wr_id=185

⇒BOOK
⋅트뤼포 시네필의 영원한 초상/ 앙투안 드 베크, 세르주 투비아나 지음, 한상준 옮김
⋅세계 영화사 잭 씨 엘리스(1988)
⋅프랑스 영화의 이해/김호영, (2003).p 15 ~53
⋅뱅상 피넬 외 4인.(2000). 『프랑스 영화』서울: 창해ABC북. pp.9~24
⋅장 피에르 장콜라.(2003). 『프랑스 영화사』서울: 동문선. pp.15~33
⋅김성곤(1994) 『김성곤 교수의 영화 에세이』. 열음사.
⋅유지나/이용관(1997). 『유지나VS이용관 영화논쟁100라운드』.미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