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다문화와 단일문화 공간, 이태원

 1  [도시] 다문화와 단일문화 공간, 이태원-1
 2  [도시] 다문화와 단일문화 공간, 이태원-2
 3  [도시] 다문화와 단일문화 공간, 이태원-3
 4  [도시] 다문화와 단일문화 공간, 이태원-4
 5  [도시] 다문화와 단일문화 공간, 이태원-5
 6  [도시] 다문화와 단일문화 공간, 이태원-6
 7  [도시] 다문화와 단일문화 공간, 이태원-7
 8  [도시] 다문화와 단일문화 공간, 이태원-8
 9  [도시] 다문화와 단일문화 공간, 이태원-9
 10  [도시] 다문화와 단일문화 공간, 이태원-10
 11  [도시] 다문화와 단일문화 공간, 이태원-11
 12  [도시] 다문화와 단일문화 공간, 이태원-12
 13  [도시] 다문화와 단일문화 공간, 이태원-13
 14  [도시] 다문화와 단일문화 공간, 이태원-14
 15  [도시] 다문화와 단일문화 공간, 이태원-15
 16  [도시] 다문화와 단일문화 공간, 이태원-16
 17  [도시] 다문화와 단일문화 공간, 이태원-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도시] 다문화와 단일문화 공간, 이태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태원의 낮- 공간의 차이에서 오는 문화의 이질감
1-1 여기는 한국이 아니여~
1-2 이태원(梨泰園)과 이태원(異台院)
1-3 이 세계의 이방인
1-4 이태원 잘 알지도 못 하면서 - 비틀거리는 거리

2. 이태원의 밤- 한 공간에서 시간차로 생기는 문화의 차이
2-1 이태원 속의 소외된 서울/한국
2-2 이태원이란 이런 델까? 춤추고 술 마시고 어지러워
2-3 What's Up 이태원
본문내용
“이태원(梨泰園)과 이태원(異台院)"



‘李泰院', '利泰院'이라고도 쓴다. 대개 역원(驛院)을 두면 그 주위에 마을이 형성되고 마을의 이름도 원의 이름을 따라 부르는 일이 관례처럼 되어 왔다. 서울 남산의 남쪽, 지금의 용산구 이태원동의 동북쪽에 역원 이태원을 두었는데 주변에 마을이 생기자 그 이름도 이태원이라 부르게 되었다. 네이버 백과사전


보통 지명의 유래와 크게 다를 바 없이, 이태원(梨泰園)이라는 역원의 이름을 따 만들어진 동네 이태원. 주변에 배나무가 많았다고도 하는 글을 보면서 형식적으로 ‘아, 그렇구나!’ 고개를 살짝 끄덕이며 아무렇지 않게 다른 조사로 이어지려는 순간, 눈에 들어 온 또 다른 유래설이 있었다. 임진왜란 뒤에 귀순한 왜인들이 마을을 이룬 곳으로 태생이 다른 사람이 산다고 이타인(異他人)이라 일컫다가 후에 음을 따라 이태원으로 고쳐졌다고. 이 것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당시에 침입한 왜군들이 이 마을에 있었던 운종사(비구니 절)에 머물면서 여승들을 겁탈한 사건과 이름이 관련이 있다고 하는데. 그 여승들이 낳은 아이들이 모여 살던 동네라 다를 이(異), 태반 태(胎)를 써서 이태원(異胎圓)으로 불렀다는 것이다.

"이태원(李泰院)은 목멱산 남쪽에 있는데, 그곳에는 맑은 샘물이 산에서 쏟아져 내려오고 절의 동쪽에는 큰 소나무들이 가득하니 성안의 부녀자들이 피륙을 세탁하고 바래기 위해 이곳에 많이 모였다… 남산 남쪽의 이태원 마을 사람들은 차삼(茶蔘)을 심고 홍아(紅牙)를 경작하는 일을 좋아한다." 조선시대 성종 때, 학자 성현(成俔)이 쓴 문집 '용재총화' 중 평화로운 이태원의 모습
3) ‘한양이야기’ 가람기획

산수가 수려해 길손이 끊이지 않았고 뜨내기가 많아 번잡하긴 했어도 이처럼 평화로운 마을이었던 이태원이 겪은 임진왜란이라는 아픔. 이 이야기 속의 이태원이 지금의 이태원이 맞는다면, 분명 이태원의 시작은 한 나라의 아픈 과거의 산실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에도 일본에 지배받던 시절, 용산 일대에 일본군 조선주둔군 사령부가 들어왔고, 해방 후 한국전쟁이 끝나고 미군이 주둔하게 되면서 빼앗긴 나라의 군부를 장악해 버린 상징적 의미의 공간이 되어버린 듯싶었다. 시작이 이국의 아이를 임신한 곳이었다면 미군 주둔 당시에는 양공주를 탄생시켰던 지역임이 머릿속에 들어오면서 이태원에 대해 덤덤하던 마음이 어느새 측은함으로 바뀌어 있었다.
참고문헌
-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28511
- 성현, 「용재총화」, 솔, 1997
- 이숙, 「관광이 지역주민에게 미치는 영향연구」, 경희대 경영대학원, 1991
- 최기탁, 「이태원 관광특구내 도입시설·서비스의 수요자 요구에 대한 탐색적 연구」, 2008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월드컵지원연구단, 「이태원 장소마케팅 전략 연구」, 2001
- 전영미, 「골목에서 서울찾기」, 랜덤하우스중앙, 2005
- 주거환경신문, http://www.rcnews.co.kr
- 서울경제신문, http://economy.hankooki.com
- 신윤동욱 기자 外, 「이태원은 누구의 땅인가?」 한겨레21, 2007
- 전영미, 「골목에서 서울 찾기」, 랜덤하우스, 2009
- 권오은, 「이태원 밤거리」, http://hansimun.net/koe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